暗記メーカー

お問い合わせ
ログイン
건축기사 필기 건축구조 - 3
  • 우상

  • 問題数 30 • 7/4/2024

    問題一覧

  • 1

    말뚝기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마찰말뚝은 주위 흙과의 마찰력으로 지지되며 n개를 박았을 때 그 지지력은 n배가 된다.

  • 2

    말뚝기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사질토(砂質土)에는 마찰말뚝의 적용이 불가하다.

  • 3

    등가정적해석법에 의한 건축물 내진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지표면조도

  • 4

    등가정적해석법에 의한 건축물의 내진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노풍도계수

  • 5

    내진설계에 있어서 밑면전단력 산정인자가 아닌 것은?

    진도계수

  • 6

    지진하중 설계 시 밑면 전단력과 관계없는 것은?

    가스트계수

  • 7

    등가정적해석법에 따른 지진응답계수의 산정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스트영향계수

  • 8

    구조물의 내진보강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구조물의 중량을 증가시킨다.

  • 9

    지진의 진도와 규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규모는 지반의 운동정도를 평가하나 정밀하지는 않다

  • 10

    지진계에 기록된 진폭을 진원의 깊이와 진앙까지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지수로 나타낸 것으로 장소에 관계없는 절대적 개념의 지진크기를 말하는 것은?

    규모

  • 11

    지진에 대응하는 기술 중 하나인 제진(製震)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소형 건물에 일반적으로 많이 적용된다.

  • 12

    다음 중 내진 I등급 구조물로 적절한 것은?

    0.015 hsx

  • 13

    활하중의 영향면적 산정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KDS 기준)

    부하면적 중 캔틸레버 부분은 영향면적에 단순합산

  • 14

    과도한처짐에의해 손상되기쉬운 비구조요소를지지또는 부착하지않은바닥구조의 활하중L에의한순간처짐의 한계는?

    l/360

  • 15

    바람의 난류로 인해서 발생되는 구조물의 동적 거동성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균변위에 대한 최대변위의 비를 통계적인 값으로 나타낸 계수는?

    가스트영향계수

  • 16

    바람의 난류로 인해 발생되는 구조물의 동적 거동 성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균변위에 대한 최대변위의 비를 통계적 인 값으로 나타낸 계수는?

    가스트 영향계수

  • 17

    강도설계법에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공칭강도 산정시 사용되는 강도감소계수로 옳지 않은 것은?

    압축지배단면 중 나선철근으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부재: 0.65

  • 18

    풍하중 산정시 중요도분류에 따른 중요도 계수를 옳게 나타낸 것은?

    중요도(특) - 중요도계수 1.00

  • 19

    철근콘크리트 보 설계 시 적용되는 경량콘크리트계수 중 모래경량콘크리트의 경우에 적용되는 계수값은 얼마인가?

    0.85

  • 20

    일반 또는 경량콘크리트 휨부재의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한 추가 장기처짐 산정과 관련하여 5년 이상일 때 지속하중에 대한 시간경과계수는 얼마인가?

    2.0

  • 21

    철근콘크리트 보의 장기처짐을 구할 때 적용되는 5년 이상 지속하중에 대한 시간경과계수 ξ의 값은?

    2.0

  • 22

    각 지반의 허용지내력의 크기가 큰 것부터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A. 자갈 B.모래 C. 연암반 D.경암반

    D>C>A>B

  • 23

    기초 설계 시 인접대지를 고려하여 편심기초를 만들고자 한다. 이 때 편심기초의 지내력이 균등해지도록 하기 위한 가장 타당한 방법은?

    지중보를 설치한다.

  • 24

    강도설계법에서 직접설계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설계 시 적용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모든 하중은 슬래브판의 특정지점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이어야 하며 활하중은 고정하중의 3배 이하이어야 한다.

  • 25

    철근콘크리트 구조설계 시 고려하는 강도설계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철근과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중립축으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 26

    철근콘크리트 구조설계 시 고려하는 강도설계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 설계방법은 탄성이론하에서 이루어진 설계법이다.

  • 27

    압축이형철근의 정착길이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전경량콘크리트를 사용한 경우 기본정착길이에 0.85배하여 정착길이를 산정한다.

  • 28

    인장이형철근 및 압축이형철근의 정착길이(ld)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KDS 기준)

    계산에 의하여 산정한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항상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 29

    철근의 정착길이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압축이형철근의 정착길이 ld는 항상 150mm이상이어야 한다.

  • 30

    인장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ld)는 기본정착길이(lab)에 보정계수를 곱하여 산정한다. 다음 중 이러한 보정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이 아닌 것은?

    하중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