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미군정시기
1945~1948
2
기존 파출소를 지구대,파출소 체제로 개편
2004
3
경찰역사ㅣ헌법에 ‘경찰중립화’ 규정
1960
4
경찰관 해외주재관제도 신설
1966
5
경무국을 경무부로 승격
1946
6
제1기 여자경찰간부
안맥결
7
목포 경찰서장으로 재임하면서 시민들과의 유혈충돌을 피하도록 조치
이준규(민주,인권)
8
한국경찰권 상실과정
취. 한. 외국인. 감옥. 위탁 취극서(재한국 일본인) 재한국 외국인 감옥 위탁
9
내무부장관 산하에 치안국설치
1948
10
경찰서에 청문감사관제 도입
1999
11
시도에 전투경찰대 기동타격대 향토예비군 발족
1968
12
경부관제 선포
1900
13
경찰역사ㅣ범죄피해자보호
2018
14
국가경찰 위원회와 치안행정협의회 설치
1991
15
소방업무가 민방위본부로 이관
1975
16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 출범
2006
17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설치
1955
18
경찰역사ㅣ 국립경찰전문학교 교수로 발령받아 후배교육에 힘쓰다 군사정권이 일어나자 사표
안맥결
19
정풍운동
1976
20
전투경찰대 설치법
1970
21
지방경찰규칙제정하여 작용법적근거마련
1896
22
경찰법 제정
1991
23
구례 경찰서장 보도연맹
안종삼(인권경찰)
24
경찰공무원법 제정
1969
25
내평전투에서 북한군 1만명의 진격을 1시간 이상 지연시킨 후 전사
노종해(호국경찰)
26
경찰대학 개교
1981
27
경찰병원을 책임운영기관화(특별회계)
2005
28
1968년1.21무장공비침투사건 당시 청와대를 사수
최규식,정종수(호국경찰)
29
경찰청 생활안전국에 여성청소년과 신설
2005
30
해양경찰청을 해양수산부로 이관
1996
31
경범죄 처벌법 제정
1954
32
경찰역사ㅣ경찰관 인권보호운동
2020
33
경찰청 외사관리관을 외사국으로 확대개편
2006
34
빨치산 토벌 주역
차일혁(호국경찰,문화경찰,인본경찰)
35
독립운동가 출신 최초 여성경찰관
안맥결
36
해양경찰대 발족
1953
37
경찰서비스헌장
1998
38
경찰윤리헌장 선포
1966
39
중앙경찰위원회(6인)신설
1947
40
경찰대학 설치법 제정,공포
1979
41
내무부 치안국을 치안본부로 개편
1974(1975)
42
여자경찰제도 신설
1946
43
범죄와의 전쟁 선포
1990
44
경찰법 제정으로 치안본부가 경찰청으로 승격
1991
45
사이버테러대응센터 신설
2000
46
성산포 경찰서장으로 재직시 총살명령에 주민들을 방면함
문형순(민주,인권)
47
경찰역사ㅣ의무경찰제 도입
1982
48
제주4.3사건
문형순(민주경찰,인권경찰)
49
경찰관 직무직행법
1953
50
경찰청 수사국 내에 인권보호센터 신설
2006
51
중경시기 내무부 직속으로 경찰조직인 경위대설치
1941
52
경찰병원 설치
1949
53
5.18민주화 운동
안병하,이준규(민주경찰,인권경찰)
54
미군정기 비경찰화
위생ㅡ이관 경. 고. 사 ㅡ폐지 경제경찰 업무 고등경찰 경찰사법권
55
국방사령부와 같은 직급인 경무부로 승격
1946
56
MBC드라마 수사반장의 실제모델
최중락(수사경찰의 표상)
57
MBC여명의 눈동자 주인공
차일혁(호국경찰,문화경찰,인본경찰)
58
미군정청 산하에 경무국 설치
1945
59
모슬포서장
문형순(민주경찰,인권경찰)
60
경찰역사ㅣ국가수사본부 신설
2021
61
경찰역사ㅣ 투표함 바꿔치기를 목격하고 기자회견을 통해 세상에 알렸다
박재표 (표 구라 박제)
62
경찰헌장 제정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