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소화활동설비로 옳은 것은
제연, 연결송수관, 연결살수, 비상콘센트, 무선통신보조, 연소방지
2
소화기 설치 기준 중 위락시설은 바닥면적 몇 제곱미터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으로 해야하는가?
30
3
소화기 설치기준 중 바닥면적 50제곱미터 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으로 해야하는 특소대는?
공연장, 집회장, 관람장, 문화재, 장례시설, 의료시설
4
소화기 설치기준 중 근생 판창운 노숙 전시장 공동주택 업무 방송통신 공장 항공기 및 자동차 관련시설 관광휴게시설은 바닥면적 몇 제곱 미터 마다 능력단위 1단위 이상인가?
100
5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소화기까지의 보행거리로 옳은 것
소형 20 대형 30
6
소화기 설치기준 중 각 층이 2이상의 거실로 구획된 경우 바닥면적 ㅇㅇ 제곱미터 이상이면 각각 배치한다
33
7
옥내소화전설비 수원의 방수압력 단위MPa
0.17~0.7
8
옥내소화전설비 수원의 양 (30층 미만)
130L/min x 최대2개 x 20분
9
옥내소화전설비 수원의양 중 30층 이상 49층 이하인 경우(고층 건축물)
5.2 세제곱미터 (130L/min x 40분) x 최대 5개
10
옥내소화전설비 수원의 양 중 50층이상 초고층건축물의 경우
7.8 세제곱미터 (130L/min x 60분) x 최대 5개
11
옥내소화전설비 의 가압송수장치 중 고가수조의 설명으로 옳은 것
1.비상전원이 필요없다, 2.신뢰성이 높다, 3.부대시설이 필요없다, 4.저장제한이 없다, 5.방수압 감소가 없다
12
옥내소화전설비 의 가압송수장치 중 펌프의 설명으로 옳은 것
1.비상전원이 필요하다, 2.신뢰성이 낮다, 3.부대시설이 필요하다, 4.저장제한이 없다, 5.방수압 감소가 없다
13
옥내소화전설비 의 가압송수장치 중 압력수조의 설명으로 옳은 것
1.비상전원이 필요없다, 2.부대시설이 필요하다, 3.저장제한은 2/3 이하이다, 4.방수압 감소가 있다
14
옥내소화전설비 의 가압송수장치 중 가압수조의 설명으로 옳은 것
1.비상전원이 필요없다, 2.부대시설이 필요하다, 3.저장제한은 98%이다, 4.방수압 감소가 없다
15
펌프 가압송수장치의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
펌프의 토출 측에는 압력계 흡입 측에는 연성계 또는 진공계를 설치한다
16
펌프 가압송수장치이 성능시험배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성능은 체절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의 1.ㅇㅇ% 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정격토출량의 2.ㅇㅇ% 로 운전 시 정격토출압력의 3.ㅇㅇ% 이상이 되어야한다. 유량측정장치는 펌프의 정격토출량의 4.ㅇㅇ% 이상 측정할 수 있는 성능이 있어야 한다
1.140, 2.150, 3.65, 4.175
17
옥내소화전설비의 방수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1.수평거리는 25 미터, 2.호스의 구경은 40 밀리미터, 3.노즐의 구경은 13 밀리미터, 4.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1.5 미터 이하
18
스프링클러설비 수원의 방수압력 단위MPa
0.1~1.2
19
스프링클러설비 수원의 양
80L/min x 헤드 기준개수 x 20분
20
스프링클러설비 수원의양 중 30층 이상 49층 이하인 경우(고층건축물)
3.2 제곱미터 (80L/min x 40분) x 설치 장소별 스프링클러헤드의 기준개수
21
스프링클러설비 수원의 양 중 50층이상 초고층건축물의 경우
4.8 제곱미터 (80L/min x 60분) x 설치 장소별 스프링클러헤드의 기준개수
22
스프링클러설비의 설치장소별 헤드의 수평거리 중 내화구조인 경우
2.3 미터 이하
23
스프링클러설비의 설치장소별 헤드의 수평거리 중 기타구조인 경우
2.1 미터 이하
24
스프링클러설비의 설치장소별 헤드의 수평거리 중 "무대부, 특수가연물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1.7 미터 이하
25
옥외소화전설비 수원의 방수압력 단위MPa
0.25~0.7
26
옥외소화전설비 수원의 양
350L/min x 최대2개 x 20분
27
옥외소화전설비의 호스접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1.수평거리는 40 미터, 2.호스의 구경은 65 밀리미터, 3.노즐의 구경은 19 밀리미터
28
이것은 탱크화재시 폭발에 의하여 고정방출구가 파괴되는 결점을 보완한 것이다. 탱크 저부에서 포를 주입한다
3형 방출구
29
이것은 방출된 포가 액면 위에서 전개될 수 있도록 탱크 내부에 포의 통로가 있는 설비이다
1형 방출구
30
이것은 방출된 포가 탱크의 측판 내부에 흘러내려서 액면에 전개되도록 포의 반사판(디플렉터)을 방출구에 설치한 설비이다
2형 방출구
31
이것은 플로팅루프탱크의 측면과 굽도리판에 의하여 형성된 환상부분에 포를 방출하여 소화작용을 하도록 설치된 설비이다
특형 방출구
32
이것은 탱크저부에서 포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호스를 이용해서 포가 액면에 효과적으로 떠오르게 하는 방법이다
4형 방출구(반표면하주입방식)
33
발신기의 종류로 옳은 것
P형 발신기 , T형 발신기, M형 발신기
34
자동화재탐지설비중 발신기의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
1.스위치는 바닥으롭부터 0.8 미터 이상 1.5 미터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2.각 부분으로부터 발신기까지의 수평거리 25 미터 이하가 되도록 한다, 3.별도로 구획된 실로서 보행거리 40 미터 이상일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하여야한다
35
열 감지기의 종류 중 일정한 상승률, 일정한 온도 중 어느 한 기능이 작동되면 작동신호를 발하는 것은
보상식
36
열 감지기의 종류 중 주위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은?
정온식
37
열 감지기의 종류 중 주위온도가 일정 상승률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은?
차동식
38
연기 감지기 중 1.연기에 의하여 이온전류가 변화하여 작동하는 것 과 2.광량이 변화하여 작동하는 것은
이온화식 광전식
39
소방시설의 경계구역 중 옳은 것
1.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한다. 다만 500 제곱미터 이하의 범위 안에서는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다, 2.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 제곱미터 이하로 하고 한변의 길이는 50 미터 이하로 한다 다만 주된 출입구에서 그 내부 전체가 보이는 것에 있어서는 한 변의 길이가 50 미터 범위 내에서 1000 제곱미터 이하로 할 수 있다, 3.계단 경사로는 별도의 경계구역으로 높이 45 미터 이하로 한다. 엘레베이터 승강로에 대하여는 별도로 경계구역을 설정한다., 4.지하층의 계단 및 경사로(지하층의 층수가 1일 경우는 제외)는 별도로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한다, 5.외기에 면하여 상시 개방된 부분이 있고 차고 주차장 창고 등에 있어서는 외기에 면하는 각 부분으로 부터 5 미터 미만의 범위 안에 있는 부분은 경계구역의 면적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40
1.화재발생 신호를 수신기에 수동으로 발신하는 장치를 말한다 2.화재시 발생하는 열 연기 불꽃 또는 연소생성물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수신기에 발신하는 장치를 말한 3.화재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표시 및 강조하여 주는 장치르 말한다
1.발신기 2.감지기 3.수신기
41
음향장치의 우선경보방식의 대상은 (지하층은 제외)
층수가 11층(공동주택의 경우 16층)이상인 특소대
42
11층이상인 특소대에서 2층 이상에 화재발생시 경보대상인 것
발화층, 직상 4개층
43
11층이상인 특소대에서 1층에 화재발생시 경보대상인 것
발화층, 직상 4개층, 지하층
44
11층이상인 특소대에서 지하층에 화재발생시 경보대상인 것
발화층, 직상층, 기타 지하층
45
특소대의 음향장치의 설치기준
특소대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음향장치까지의 수평거리가 25 미터 이하로 한다
46
피난구유도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1.녹색바탕에 백색문자이다, 2.옥내로부터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 및 그 부속실의 출입구에 설치한다, 3.직통계단,직통계단의 계단실 및 그 부속실의 출입구에 설치한다, 4.출입구에 이르는 복도 또는 통로로 통하는 출입구에 설치한다, 5.안전구획된 거실로 통하는 출입구에 설치한다, 6.피난구의 바닥으로부터 높이 1.5 미터 이상에 설치한다
47
공연장 집회장 관람장 운동시설 유흥주점영업시설에 설치하여야하는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종류
대형피난구유도등, 통로유도등, 객석유도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