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고전문학이란? (정의)
모든 언어권에서 불후의 작품들을 낳은 시대의 문학을 지칭
2
고전문학은 우리나라 민족사가 성립된 이후 OO와 OO에 걸치는 긴 기간동안 만들어진 문학이다.
고대, 중세
3
박지원은 어디 사이에 있었나?
인간 밖인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사이에 있었다.
4
세속의 인간 세계와 초인간적 신성 세계가 합쳐져 무엇을 의미?
하나의 전체, 신화적 세계관
5
고려시대 후기
고려가요, 시조, 경기체가 창안
6
신화에서 전승자의 태도?
신성성, 숭고미
7
신화의 배경?
신성한 장소, 태초의 시간
8
신화의 증거물?
포괄적
9
신화의 전승범위?
민족 국가
10
전설에서 전승자의 태도?
진실성, 비장미
11
전설의 배경?
구체적 장소, 시간
12
전설의 증거물?
구체적
13
전설의 전승범위?
특정 지역
14
민담에서 전승자의 태도?
흥미, 해학미
15
민담의 배경?
막연한 장소, 시간
16
민담의 증거물?
보편적
17
민담의 전승범위?
전 세계적
18
전설의 특징
전설은 자아와 운명의 갈등, 등장인물 사이의 갈등, 비극적 결말의 특징이 있어 근대장르인 소설에 가장 가깝다.
19
신화의 분류?
창세신화(창세가) / 건국신화(단군신화, 동명왕신화) / 무속신화(제석본풀이, 바리데기)
20
단군신화(고조선) 구조?
삼대기 구조(환인-환웅-단군)
21
주몽신화(고구려) 구조?
삼대기 구조(천제-해모수-주몽)
22
천지왕본풀이는 어떤 작품과 비슷한가?
창세가
23
초공본풀이는 어떤 작품과 비슷한가?
제석본풀이
24
구지가(龟旨歌)의 특징
주술성을 지님
25
<구지가>와 <해가>의 내용 차이점
구지가: 왕의 출현, 공적이고 집단적 해가: 용에게 납치된 수로부인의 구출, 사적이고 개인적
26
황조가(黃鳥歌)의 특징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개인적 서정시 - 집단가요에서 서정시로 넘어가는 단계
27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의 작가
[고조선] 1. 백수광부의 아내 2. 곽리자고 3. 곽리자고의 아내(여옥) - 노래전사
28
주술이란?(정의)
화자가 청자의 태도 변화를 강력히 요구하는 성격을 띈 언어
29
'여론의 힘이 모든지 가능하다'와 비슷한 뜻?
중구삭금
30
<구지가>와 <해가>의 차이점
구지가가 왕의 강림을 바라는 사회적, 집단적인 소망을 담은 것 해가는 '수로부인의 귀환'이라는 개인적 소망을 달성하기 위한 것
31
우리나라 최초의 서정시는 어떤 작품?
황조가
32
한문학의 담당층?
6두품(골품제의 피해자로, 시대의 모순을 가장 잘 인식했다)
33
화왕계의 작가와 특징?
작가: 설총(신문왕) 특징 1. 우언의 시초(장미vs백두옹) 2. 꽃의 의인화 - 임금의 도리 풍자
34
화랑세기의 작가와 특징
작가: 김대문(진골) 특징: 진골의 입장에서 신라 문화 이해, 정리(정식 기록물로 인정할 수 있나로 진위 논란 중)
35
토황소격문의 작가와 특징?
작가: 최치원 특징: (수필)1. 황소의 죄상 고발, 항복 권유 2. 설득적, 위협적
36
당나라 유학파(역사적 인물에서 상징적 인물로 변모)였던 사람은?
최치원
37
최치원 작품?
수필 <토황소격문> / 한시 <추야우중>, <제가야산독서당>
38
고려의 가전(체)에 영향을 준 작품은?
화왕계
39
전설과 민담에서 영웅의 모습을 띈 인물들?
서동, 거타지, 김유신
40
신이한 능력을 발휘하는 고승의 인물들?
원효, 의상
41
태평송의 작가와 특징?
작가: 진덕여왕(신라) 특징 1. 반어법, 대구법 사용 2. 의연한 기상과 기개 (당나라의 도움을 받기 위한 외교적 발언)
42
<여수장우중문시>와 <태평송>의 공통점
현존하는 작가가 확인된 가장 오래된 한시이다.
43
현전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한시의 작품?
여수장우중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