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부동침하 방지 대책 중 기초 구조 부분 5가지,상부 구조 부분 4가지
기초 구조 부분 1.마찰말뚝을 사용하고 서로 다른 종류의 말뚝 혼용 금지 2.지하실 설치 3.언더피닝 공법 적용 4.경질지반에 지지시킬 것 5.독립 기초인 경우 상호간을 연결 상부 구조 부분 1.건물의 경량화 및 중량 분배 고려 2.건물의 길이를 짧게하고 강성을 높일 것 3.인접 건물과의 거리를 멀게 할 것 4.신축줄눈 설치
2
언더피닝 공법을 시행하는 목적과 그 공법의 종류
목적 : 기존 건축물의 기초를 보강하거나 새로운 기초를 설치하여 기존 건축물을 보호하는 보강 공사 공법 종류 : 이중널말뚝 공법,현장타설 콘크리트 공법,강재 말뚝 공법,모르타르 및 약액 주입공법
3
언더피닝 공법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 2가지
기존 건축물의 기초를 보강할 때 새로운 기초를 설치하여 기존 건축물을 보호해야 할 때
4
온통기초 터파기량,되메우기량,잔토처리량
터파기량 : V=Lx*Ly*H 되메우기량 : V=터파기량 - 지중구조부 체적 잔토처리량 : V=GL이하 구조부체적 * 토량환산계수(L)
5
독립기초 터파기량,되메우기량,잔토처리량
터파기량: V=h/6[(2a+a')b+(2a'+a)b'] 되메우기량: V=터파기량 - 지중구조부 체적 잔토처리량: V=GL이하 구조부 체적 * 토량환산계수(L)
6
콘크리트량 1.기초판 2.푸팅
1.기초판 V1 : a*b*d 2.푸팅 V2 : h/6[(2a+a')b+(2a'+a)b']
7
거푸집량 1.기초판 2.푸팅
1.기초판 V1 : 2(a+b)*d 2.푸팅 V2 : (a+a')/2*h'*4
8
철근 응력-변형률 곡선 4개 주요영역/5개 주요 포인트
탄성영역,소성영역,변형경화영역,파괴범위 비례한도,하위항복점,변형경화점,극한강도점(네킹),파괴점
9
철근배근 시 철근이음 방식 3가지
기계식이음,용접이음,가스압접이음,겹침이음
10
철콘 공사에서 철근이음을 하는 방법 중 가스압접으로 이음할 수 없는 경우 4가지 1
1.강도나 항복점이 다를 때 2.철근 재질이 상이할 때 3.직경 차이가 6mm 초과할 때 4.0도 이하에서 작업할 때
11
현장에서 반입된 철근은 시험편을 채취한 후 시험을 하여야 하는데 그 시험의 종류를 2가지 쓰시오
휨강도시험,인장강도시험
12
강재의 항복비를 설명하시오
강재가 항복에서 파단에 이르기까지를 나타내는 기계적 성질의 지표로써,인장강도에 대한 항복강도의 비
13
철근의 단부에 갈고리를 만들어야 하는 철근 4가지 1
굴뚝의 철근,원형철근,띠철근,스터럽
14
철근의 이음방법에는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에 의한 ()외에 ()또는 연결재를 사용한 ()이 있다. 1
겹침이음,용접이음,기계식이음
15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하면서 철근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이유 3가지 1
1.소요강도를 확보 2.콘크리트의 유동성을 확보 3.재료의 분리를 방지
16
염분을 포함한 바다모래를 골재로 사용하는 경우 철근 부식에 대한 방청상 유효한 조치 4가지 콘크리트 내의 철근의 내구성에 영향을 주는 부식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 4가지
1.에폭시 코팅 철근 / 철근에 아연도금 피복 처리 2.골재에 제염제 혼입 3.콘크리트에 방청제 혼입 4.피복두께를 크게함
17
철근과 철근의 순간격은 굵은 골재 최대치수의 ()배 이상, ()mm이상, 이형철근 공칭직경의 ()배 이상으로 한다.
4/3배,25mm,1배
18
피복두께의 정의와 철근 피복두께의 유지목적 2가지
정의 : 콘크리트 표면에서부터 가장 근접한 철근 표면까지의 거리 유지목적 : 콘크리트 유동성확보,소요강도 확보,내구성 확보,내화성 확보
19
수중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피복두께를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00mm (이상)
20
철근공사에서 철근 선조립 공법의 시공적인 측면에서의 장점 3가지
1.철근량 절감 2.철근 기능공의 절감 3.공기단축 가능
21
이형철근과 배력근의 정의
이형철근 : 콘크리트와 부착력 증진을 위해 표면에 리브와 마디등의 돌기가 있는 봉강 배력근 :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
22
거푸집 존치기간 조강포틀랜드,1종,2종 20도 이상 10~20
2일4일5일 3일6일8일
23
콘크리트헤드를 설명하시오
타설된 콘크리트 윗면으로부터 최대 측압면까지의 거리
24
거푸집 측압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건축현장의 콘크리트 부어넣기 과정에서 거푸집 측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4가지
1.슬럼프값이 클수록 크다. 2.벽 두께가 두꺼울수록 크다. 3.타설속도가 빠를수록 크다. 4.습도가 높을수록 크다.
25
대형 시스템 거푸집 중 갱폼의 장단점 2개씩 쓰시오
장점 1.조립 및 해체작업 생략 2.노동력 절감 및 공기단축 단점 1.제작장소 및 해체 후 보관장소 필요 2.최초현장 조립시간 필요
26
기초,보 옆,기둥 및 벽의 거푸집 존치기간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Mpa이상에 도달한 것이 확인될 때까지로 한다. 다만 거푸집 널 존치기간 중의 평균 기온이 10도 이상 20도 미만이고,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를 사용할 경우 재령 ()일 이상이 경과하면 압축강도 시험을 행하지 않고도 거푸집을 제거할 수 있다.
5Mpa,6일
27
작업발판 일체형 거푸집의 종류 3가지
슬라이딩폼,갱폼,클라이밍폼
28
거푸집 공법 설명 1.슬립폼 2.트래블링폼
1.콘크리트를 부어넣으면서 거푸집을 연속으로 끌어올려 금수탑,전망탑과 같이 단면형태의 변화가 있는 구조물에 이용하여 시공이음이 없는 균일한 시공이 가능한 거푸집 2.트래블러라는 장치를 이용하여 수평 이동이 가능한 대형 시스템화 거푸집으로 터널이나 지하철 공사 등에 사용
29
시공이 빠르고 이음이 없는 수밀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는 벽체전용 시스템 거푸집 종류 3가지
슬라이딩폼,갱폼,클라이밍폼
30
시스템거푸집 중에 바닥슬래브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대형 거푸집으로써 거푸집널,장선,멍에,서포트를 일체로 제작하여 수평 및 수직 이동이 가능한 거푸집은?
플라잉폼
31
알루미늄 거푸집을 일반 합판 거푸집과 비교하여 골조품질과 거푸집 해체 작업 시 발생될 수 있는 장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1.골조품질 : 골재의 수직,수평 정밀도가 우수하며 면처리 작업이 감소한다 2.해체작업 : 거푸집 해체 시 소음이 저감되고 해체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32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1.슬라이딩폼 2.와플폼 3.터널폼
1.콘크리트를 부어넣으면서 요크로 거푸집을 연속으로 끌어올려 silo,굴뚝과 같이 단면형태의 변화가 없는 구조물에 이용하는 수직활동의 거푸집 2.무량판 구조에서 2방향 장선 바닥판 구조가 가능하도록 된 특수상자 모양의 기성재 거푸집 3.한 구획 전체의 벽판과 바닥판을 ㄱ자 형 또는 ㄷ자 형으로 짜는 거푸집
33
1.길이조절(신축)이 가능한 무지주공법의 수평 지지보 2.무량판 구조에서 2방향 장선 바닥판 구조가 가능하도록 된 특수상자 모양의 기성재 거푸집 3.벽식 콘크리트 구조를 시공할 때 한 구획 전체의 벽판과 바닥판을 일체로 제작하여 한 번에 설치,해체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1.페코빔 2.와플폼 3.터널폼
34
1.무량판 구조에서 2방향 장선 바닥판 구조가 가능하도록 된 특수상자 모양의 기성재 거푸집 2.대형 시스템화 거푸집으로써 한 구간 콘크리트 타설 후 다음 구간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한 거푸집 3.유닛 거푸집을 설치하여 요크로 거푸집을 끌어올리면서 연속해서 콘크리트를 타설가능한 수직활동 거푸집 4.아연도 철판을 절곡 제작하여 거푸집으로 사용하며,콘크리트 타설 후 마감재로 사용하는 철판
1.와플폼 2.트래블링폼 3.슬라이딩폼 4.데크플레이트
35
철근콘크리트 공사에 이용되는 스페이서의 용도에 대하여 쓰시오
철근의 피복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바닥이나 벽의 거푸집 널에 철근을 대는 것
36
1.슬래브에 배근되는 철근이 거푸집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격재(굄재) 2.벽거푸집이 오므라드는 것을 방지하고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격리재 3.거푸집 긴장철선을 콘크리트 경화 후 절단하는 절단기 4.콘크리트에 달대와 같은 설치물을 고정하기 위해 매입하는 철물 5.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며 벌어지는 것을 막는 긴장재
1.스페이서 2.세퍼레이터 3.와이어 클립퍼 4.인서트 5.폼타이
37
1.철근의 피복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벽이나 바닥 철근에 대어주는 것 2.벽 거푸집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격리와 긴장재 역할을 하는 것 3.기둥거푸집의 고정 및 측압 버팀용으로 주로 합판 거푸집에서 사용되는 것 4.거푸집의 탈형과 청소를 용이하게 만들기 위해 합판 거푸집 표면에 미리 바르는 것
1.스페이서 2.세퍼레이터 3.칼럼밴드 4.박리제
38
1.보나 트러스 등에서 그의 정상적 위치 또는 형상으로부터 상향으로 구부려 올리는 것이나 구부려 올린 크기 2.거푸집의 일부로 소정의 형상과 치수의 콘크리트가 되도록 고정 또는 지지하기 위한 지주
1.솟음(캠버) 2.동바리
39
일반적인 철근콘트리트(RC) 건축물의 철근 조립순서를 보기에서 골라 쓰시오
기초철근-기둥철근-벽철근-보철근-바닥철근
40
시멘트 분말도 시험방법 3가지
표준체 시험,비표면적 시험,피크노미터 시험
41
KS L 5201에서 규정하는 포틀랜드시멘트의 종류 5가지
1종 - 보통 2종 - 중용열 3종 - 조강 포틀랜드 4종 - 저열 포틀랜드 5종 - 내황산염
42
시멘트의 종류 1.조기강도가 크고 수화열이 많으며 저온에서 강도의 저하율이 낮고,긴급공사,한중공사에 쓰임 2.석탄대신 중유를 원료로 쓰며,제조 시 산화철분이 섞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미장재,인조석 원료에 쓰임 3.내식성이 좋으며 발열량 및 수축률이 작다. 대단면 구조체,방사성 차단물에 쓰임
1.조강 시멘트 2.백색 시멘트 3.중용열 시멘트
43
시멘트의 주요화합물 4가지와 그 중 28일 이후 장기강도에 관여하는 화합물을 쓰시오
주요화합물:규산2석회,규산3석회,알루민산3석회,알루민산철4석회 콘크리트 28일 이후의 장기강도에 관여하는 화합물:규산2석회
44
시멘트 응결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4가지
1.알루민산3석회가 많을수록 응결속도가 빠르다 2.온도가 높고 습도가 낮을수록 응결속도가 빠르다 3.시멘트 분말도가 높을수록 응결속도가 빠르다 4.slump가 낮을수록 응결이 빠르다
45
알칼리 골재반응의 정의를 설명하고 방지대책 4가지
정의:시멘트의 알칼리성분과 골재의 실리카성분이 반응해 수분을 지속적으로 흡수 팽창하여 균열이 발생하거나 붕괴되는 현상 방지대책 1.알칼리 함량이 0.6%이하인 저 알칼리 시멘트 사용 2.방수제를 사용하여 진행을 억제시킴 3.단위 시멘트양을 적게할 것 4.알칼리 반응성 골재 사용금지
46
골재의 상태는 절대건조상태,기건상태,표면건조내부포화상태,습윤상태가 있는데 이것과 관련 있는 골재의 흡수량과 함수량에 간단히 설명하시오
흡수량:절대건조상태에서 표면건조포화상태가 될 때까지의 흡수 하는 수량 함수량:습윤상태의 골재 내,외부에 함유된 전체 물의 양
47
콘크리트 골재가 가져야하는 요구 품질사항 4가지
1.표면이 거칠고 둥근 모양일 것 2.입도가 적당하고 좋을 것 3.견고하며 강도가 클 것 4.실적률이 클 것
48
골재 수량에 관련된 설명 1.습윤상태 2.흡수량 3.절건상태 4.기건상태 5.표면수량
1.습윤상태:골재 입자 내부에 물이 채워져있고 표면에도 물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 2.흡수량: 절대건조상태에서 표면건조포화상태가 될 때까지의 흡수하는 수량 3.절건상태:110도 정도에서 24시간 이상 골재를 건조시킨 상태 4.기건상태:골재 내부에 약간의 수분이 있는 대기중의 건조상태 5.표면수량:골재의 표면에 묻어있는 수량으로,표면건조 포화상태에 대한 시료 중량의 백분율
49
콘크리트의 유효흡수량
표면건조내부포수상태의 콘크리트에서 기본건조상태의 물의 양을 뺀 것
50
다음 용어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1.잔골재율(S/a) 2.조립률(FM)
1.잔골재율 : 골재 절대용적의 합에대한 잔골재 절대용적의 백분율 2.조립률 : 10개의 체로 체가름 시험 후에 남은 양의 누적백분률의 합을 100으로 나눈 지표
51
절건비중,표건비중,겉보기비중,흡수율 (A,B,C)
A:절건질량 B:표면건조포수상태 C:수중질량 절건비중:A/B-C 표건비중:B/B-C 겉보기비중:A/A-C 흡수율:B-A/A*100(%)
52
AE제에 의해 생성된 Entrained Air의 목적 4가지 (=혼화제,ae제목적)
시공연도개선,단위수량감소,동결융해저항성 증대,재료분리 감소
53
전기로에서 페로실리콘 등 규소합금 제조과정 중 부산물로 생성되는 매우 미세한 입자로써 고강도 콘크리트 제조 시 사용되는 이산화 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혼화재 명칭
실리카흄
54
주어진 색에 알맞는 콘크리트용 착색제 초록/빨강/노랑/갈/검/백
초록 /빨강/ 노랑/ 갈/ 검/ 백 산화크롬,산화제2철,크롬산바륨,이산화망간,카본블랙,백연
55
혼화제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아래 설명이 뜻하는 혼화제 명칭 1.공기연행제로써 미세한 기포를 고르게 분포시킨다 2.염화물에 대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한다 3.기포작용으로 인해 충전성을 개선하고 중량을 조절한다
1.AE제 2.방청제 3.기포제
56
1.혼화재의 정의 2.혼화재의 종류 3.혼화제의 정의 4.혼화제의 종류
1.혼화재의 정의:시멘트량의 5% 이상이 사용되어 배합계산에 포함되는 재료 2.혼화재의 종류:고로 슬래그,Fly ash,폴라존,폴리머,실리카흄 3.혼화제의 정의:시멘트량의 1%미만으로 약품적 성질만 가지고 있는 재료로 배합계산을 무시하는 재료 4.혼화제의 종류:AE제,AE감수제,표면활성제,응결경화 촉진제
57
1.인트랩드 에어 2.인트레인드 에어
1.콘크리트 비빔 시 함유되는 1~2%의 불균질 공기 2.AE제 사용시 형성되는 4~6%의 균질한 공기
58
혼합시멘트 중 플라이애쉬 시멘트의 특징 3가지
1.시공연도개선 2.초기강도 감소,장기강도 증진 3.화학적 저항성 증진
59
다음에 해당되는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1.일반콘크리트 2.무근콘크리트 3.단면이 큰 콘크리트
1.20~25mm 2.40mm 3.40mm
60
콘크리트 슬럼프손실의 원인 3가지
1.콘크리트의 수화작용 2.높은기온, 센바람으로 인한 증발로 자유수 감소 3.레미콘 운반 지연 또는 현장대기시간으로 인한 과대 비빔
61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설명한 것 1.수량에 의해 변화하는 콘크리트의 유동성 정도 2.작업의 난이정도 및 재료분리에 저항하는 정도
1.반죽질기 2.시공연도
62
콘크리트의 반죽질기 측정방법 3가지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시공연도를 측정하는 시험 3가지
슬럼프시험,비비시험,흐름시험
63
다음 측정기별 용도를 쓰시오 Washington Meter Earth Pressure Meter Piezo Meter Dispenser
Washington Meter:콘크리트 내 공기량 측정 Earth Pressure Meter:측압 측정 Piezo Meter:간극수압 측정 Dispenser:AE제의 계량
64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 헛응결(False set)에 대해 기술하시오
시멘트에 물을 주입하면 10~20분 정도 후에 굳어졌다가 다시 묽어지고 그 후에 순조롭게 경화하는 현상
65
다음 용어를 설명 1.슬럼프 플로우 2.조립률
1.슬럼프 플로우: 슬럼프 시험을 통해 콘크리트의 퍼진 정도를 나타내며 초유동화 콘크리트의 시공연도를 측정하는 것 2.조립률: 10개의 체로 체거름 시험을 한 후 남은 양의 누적백분율의 합을 100으로 나눈 지표
66
콘크리트 구조체공사의 VH(Vertical Horizontal)공법에 관하여 기술
벽이나 기둥등의 수직부재를 먼저 타설하고, pc판과 맞물린 후에 Topping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
67
다음의 용어를 쓰시오 1.블리딩 2.레이턴스
1.블리딩: 콘크리트 타설 시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물이 윗면으로 솟아오르는 현상 2.레이턴스: 콘크리트를 부어넣은 후 블리딩수의 증발에따라 콘크리트면에 침적된 백색의 미세물질
68
다음의 콘크리트 용어에 대해 간단히 설명 1.알칼리 골재 반응 2.인트랩트 에어 3.배쳐플랜트
1.시멘트의 알칼리 성분과 골재의 실리카 성분이 반응해서 수분을 지속적으로 흡수 팽창하여 균열이 발생하거나 붕괴되는 현상 2.콘크리트 비빔 시 함유되는 1~2%의 불균질 공기 3.물,시멘트,골재 등을 정확하고 능률적으로 자동중량 계량을 해서 혼합하는 콘크리트 생산,기계설비
69
다음용어를 설명 1.솟음(Camber) 2.토핑콘크리트
1.보나 트러스 등에서 그의 정상적 위치나 형상으로부터 상향으로 구부려 올리는 것 또는 구부려 올린 크기 2.바닥판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하중의 균일한 분포를 위해 프리스트레스 혹은 기성콘크리트 바닥판 위에 타설하는 현장치기 콘크리트
70
콘크리트 타설 시 현장 가수로 인한 문제점 3가지 콘크리트 타설 중 가수하여 물시멘트 비가 큰 콘크리트로 시공하였을 경우 예상되는 결점4가지
1.콘크리트 강도저하 2.내구성,수밀성 저하 3.재료분리 및 블리딩 현상 증가 4.건조수축 및 침강균열 증가
71
이어치기 시간이란 1층에서 콘크리트 타설,비비기부터 시작해서 2층에 콘크리트를 마감하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다. 계속 타설 중의 이어치기 시간간격의 한도는 외기온이 25도 미만일 때는 ()분,25도 이상에서는 ()분으로 한다
150분,120분
72
다음 용어를 간단히 설명 1.콜드조인트 2.블리딩 3.시공줄눈 4.조절줄눈
1.콘크리트 이어치기할 때 콘크리트가 일체화되지 않아 발생하는 계획되지 않은 조인트 2.콘크리트 타설 시 아직 굳지않은 콘크리트에서 물이 윗면으로 솟아오르는 현상 3.한번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없는 경우 계획하는 줄눈 4.지반 등 안정된 위치에 있는 바닥판이 수축에 의하여 균열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줄눈
73
신축줄눈 정의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수축 또는 부동침하,진동 등에 의해 균열이 예상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조인트
7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프리텐션방식과 포스트텐션 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1.pre-tension공법: ps강재를 긴장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ps강재와 콘크리트를 접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 2.post-tension공법:쉬스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ps강재를 삽입,긴장,고정하여 그라우팅한 후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
75
지반 등 안정된 위치에 있는 바닥판이 수축에 의하여 표면에 균열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줄눈 콘크리트 경화 시 수축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고 슬래브에서 발생하는 수평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한다. 벽과 슬래브 외기에 접하는 부분 등 균열 예상되는 위치에 약한 부분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다른 부분의 균열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조절줄눈
76
1.조절줄눈 2.미끄럼줄눈 3.시공줄눈 4.신축줄눈
77
콘크리트의 시공과정 중 휴식시간 등으로 응결하기 시작한 콘트리트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이어칠 때 일체화가 저해되어 생기는 줄눈은?
콜드조인트
78
레미콘 공장을 현장에서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유의사항 3가지
1.현장과의 운반 거리 및 시간 2.콘크리트 제조능력 3.레미콘 운반차 대수
79
Ready mixed concrete가 현장에 도착하여 타설될 때 시공자가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행하여야 하는 품질관리 항목 3가지
1.슬럼프시험 2.압축강도 측정용 공시체 제작 3.공기량시험
80
미경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구조물의 일정 부위를 남겨 놓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초기건조수축이 완료되면 나머지 부분을 타설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줄눈은?
지연줄눈
81
콘크리트의 다짐 시 진동기를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에는()현상이 생기고,AE콘크리트의 경우()이 많이 감소한다.
재료분리,공기량
82
레디믹스트콘크리트가 현장에 도착했을 때 검사사항 4가지
공기량시험,공시체 압축강도 시험,슬럼프시험,염화물 함유량
83
레미콘(보통-25-24-150)의 현장도착 시 송장표기에 대해 각각 의미하는 내용
보통:골재의 종류에 따른 구분 25:굵은 골재 최대치수 25mm 24:호칭(28일 압축)강도 24Mpa 150:소요 슬럼프 값 150mm
84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1.AE감수제 2.쉬링크믹스트 콘크리트
1.시멘트의 입자를 분산시켜 필요한 수분량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유동성을 높이기 위한 혼화제 2.믹싱 플랜트 고정 믹서에서 어느정도 비빈 것을 트럭 믹서에 실어 운반 중에 완전히 비비는 것
85
콘크리트 배합시,레디믹스트콘크리트 배합표에 보통 골재는 ()상태의 질량,인공경량골재는 ()상태의 질량을 표시한다. ()의 경우에는 혼화재를 사용할 때로 물에 대한 시멘트와 혼화재의 질량 백분율로 계산하여 고려한다.
1.표면건조포화 2.절대건조 3.물-결합재
8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이용되는 긴장재의 종류 3가지
pc강선 및 pc강연선,pc강봉,pc경강선
87
프리스트레스트 콘트리트에 사용되는 강재를 긴장재라고 총칭하며,()방식에서 pc강재의 삽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타설 전 미리 매립하는 관(튜브)을 ()라고한다.
포스트텐션,쉬스 또는 덕트
88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현상에 대해 설명하시오
콘크리트 부재가 화재로 가열되어 표면부가 소리를 내며 급격히 파열되는 현상
89
콘크리트 구조물의 화재 시 급격한 고열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폭렬현상 방지대책 2가지
1.내화피복을 실시하여 열의 침입을 차단한다 2.흡수율이 작고 내화성이 있는 골재를 사용한다
90
숏크리트 공법의 정의를 기술하고,그에대한 장단점을 1개씩 쓰시오
정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시공면에 분사하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장점 1.협소한 공간에서 시공가능 단점 1.분진발생과 재료낭비가 심함
91
매스콘크리트 수화열 저감을 위한 대책 3가지
1.단위시멘트량 감소 2.선행냉각이나 관로식냉각에 의한 타설온도 저하 3.저열 시멘트 (또는 중용열시멘트)사용
92
매스콘크리트 온도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기본적인 대책 3가지
1.중용열 시멘트 사용 2.pre-cooling방법 사용 3.단위시멘트량 감소
93
콘크리트 응결경화 시 콘크리트 온도 상승 후 냉각하면서 발생하는 온도균열 방지대책 3가지
1.단위시멘트량감소 2.저열성시멘트 (또는 중용열시멘트) 사용 3.플라이 애쉬 또는 고로슬래그 등 혼화재료 혼입
94
한중콘크리트는 초기강도 ()Mpa까지는 보양을 실시한다. 한중콘크리트 물 시멘트비는 ()%이하로 한다.
5Mpa,60%
95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섬유의 종류 3가지
강섬유,탄소섬유,유리섬유
96
한중콘크리트의 초기동해 방지대책 3가지,한중콘크리트 초기양생 주의점 3가지
한중콘크리트의 초기동해 방지대책 1.초기강도 5Mpa를 발현할 때까지 보온양생 실시 2.물시멘트비를 60%이하로 유지 3.AE제,AE감수제,고성능 AE감수제 등의 혼화제 혼입 한중콘크리트의 초기양생 주의점 1.초기강도 5Mpa를 발현할 때까지 보온양생 실시 2.보온양생 종료 후 콘크리트가 급격히 냉각 및 건조되지 않도록 틈새없이 덮어 양생을 계속함 3.AE제,AE감수제,고성능 AE 감수제 중 1가지 사용
97
한중콘크리트는 일평균 기온이 ()도 이하의 동결 위험이 있는 기간에 타설하는 콘크리트,W/C는 ()%이하 이며 동결 방지를 위해 ()를 사용해야한다.
4도,60%,AE제
98
한중콘크리트의 문제점에 대한 대책 3가지
1.보온양생실시 2.AE제사용 3.물시멘트비를 60%이하로 유지
99
높은 외부기온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슬럼프 저하나 수분의 급격한 증발 등의 염려가 있을 경우에 시공되는 콘크리트로써 하루 평균기온이 25도를 초과하는 경우 ()콘크리트로 시공하여야 하며,콘크리트는 비빈 후 즉시 타설하도록 하고, KS F2560의 지연형감수제를 사용하는 등의 일반적인 대책을 강구한 경우라도 ()이내에 타설하여야 한다. 또한 타설할 때의 콘크리트 온도는 ()도 이하이어야 한다.
서중,90분,35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