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Solution이란?
용매+용질이다
2
Solvent란?
대체로 액상으로 용액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3
Solute란?
용질로 녹는 고체나 기체로 용액의 일부분을 이룸
4
Mixture이란?
혼합물로 서로 다른 물질이 고르게 섞여 있지만 고유한 성질은 잔존함
5
Diffusion이란?
확산으로 밀도 차이나 농도 차이에 의해 물질을 이루고 있는 입자들이 농도가 높은 쪽에서 농도가 낮은 쪽으로 액체나 기체 속으로 분자가 퍼져 나가는 현상
6
Saturation이란?
포화로 물질이 더 이상 녹지 않는 상태이다
7
Precipitating이란?
침전으로 용액으로부터 고체의 결정이 만들어지는 현상
8
물이 강력한 용매로 작용할 수 있는 이유를 서술하시오
물 분자가 지니는 극성으로 인해 화학적특성을 가지는데 이 때문에 자연에 존재하는 용해제 가운데 가장 효과적임
9
Salinity란?
염분으로 물에 녹아 있는 무기입자의 총량
10
일정성분비의 원리에 대해 서술하시오
바닷물에 들어 있는 용존물의 양은 시료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주성분 이온 사이의 비율은 일정한 것 = 해염의 총량이 얼마이든 간에 각 종류의 염 사이의 비율은 같음
11
해수에 들어 있는 염소, 브롬, 아이오딘 이온의 총량을 재는 방법은?
염소도
12
해수를 채취하거나 분석하는 방법의 종류를 서술하라
1. CTD and Roseete samplers 2. Remote sensing 3.ROV 4. Data logger
13
해수가 더 짜지지 않는 이유는?
화학평형을 이루기 때문 = 더해지는 이온만큼 제거된다
14
Residence time이란?
체류시간으로 어느 원소의 원자가 해양에 머무르는 평균시간 해수에 들어있는 어느 원소의 양/어느 원소의 해양 유입률
15
퇴적물의 일부는 지판의 순환에 따라 사라지는 구간은?
섭입대
16
해류의 종류 2가지의 명칭과 차이점을 서술하시오
1. 밀도류이고 밀도 차에 의해서 생성되는 해류 보통 심층수에 형성 2. 취송류이고 바람에 의해 만들어지는 해류 보통 표층수에 형성
17
Conservative constituent란?
보존성분으로 해수의 성분 중 성분비가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변화가 아주 천천히 일어나는 성질을 가진 성분
18
Nonconservative constituent란?
비보존성분으로 생물학적 과정이나 계절변동, 그리고 짧은 지질학적 순환과 관련이 있는 물질
19
이산화탄소는 표층 해수에 ()의 15%를 차지하는데 ()는 무엇이고 해당 이유를 서술하시오
녹아 있는 용존 기체이고, 이산화탄소는 물과 반응하여 탄산을 만들어 질소나 산소보다 1000배 이상 잘 녹기 때문
20
Acid란?
수소이온을 내어 놓는 물질
21
Base란?
수소 이온을 받으려는 물질
22
pH란?
용액의 산도 또는 알칼리도를 나타내는 눈금으로 한 눈금의 변화는 수소 이온 농도가 10배 변함을 의미
23
정상적인 바닷물의 pH범위는?
pH 8 전후
24
중층, 심층에서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 할 수 있는 이유는?
동물이나 박테리아 호흡, 표층에서 떨어지는 작은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때문
25
해수에서 pH를 낮추어 깊이에 따라 산성화가 나타나는 이유는?
수온은 낮고, 압력은 아주 크며, 광합성을 하는 식물도 살지 않아 이산화탄소가 증가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