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발생 요인: 화석 연료 과다 사용, 삼림 파괴로 대기 중 이산화 탄소 증가
지구 온난화
2
피해: 영구 동토층 해빙, 기상 이변 발생(홍수, 가뭄, 태풍, 폭설 등), 빙하 면적 축소, 해수면 상승과 저지대 침수(키리바시, 투발루), 동식물의 서식 환경 변화
지구 온난화
3
발생 요인: 경지와 목장 확대
열대림 파괴
4
발생 요인: 과도한 목재 생산
열대림 파괴
5
발생 요인: 도로 및 도시 건설
열대림 파괴
6
피해: 생물 종의 다양성 감소
열대림 파괴
7
피해: 토양 침식
열대림 파괴
8
피해: 지구 온난화의 가속화
열대림 파괴
9
발생 요인: 가뭄의 장기화
사막화
10
발생 요인: 과도한 방목과 경작
사막화
11
피해: 식량 생산 감소
사막화
12
피해: 황사 심화
사막화
13
발생 요인: 자동차 배기가스와 공장의 매연(아황산가스 또는 질산가스, 빗물과 결합)
산성비
14
피해: 국경을 넘어 넓은 지역에 피해를 줌(∵ 편서풍)
산성비
15
피해: 건축물 부식
산성비
16
피해: 삼림 파괴
산성비
17
발생 요인: 염화 플루오린화 탄소(주로 냉장고나 에어컨 등의 냉매나 발포제, 분사제 등으로 사용되는 프레온 가스)의 사용 증가
오존층 파괴
18
피해: 피부암, 백내장 발병률 증가
오존층 파괴
19
피해: 식물의 광합성 둔화(먹이사슬 기초 무너짐)
오존층 파괴
20
(사막화) 사헬지대
great green wall
21
(사막화) 아랄해
코크 아랄댐
22
협약 내용: 물새 서식지로서 중요한 습지를 국제적으로 조호
람사르 협약
23
협약 내용: 오존층 파괴 물질의 생산 및 사용을 단계적으로 감축
몬트리올 의정서
24
협약 내용: 유해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 및 처리 통제
바젤 협약
25
협약 내용: 대기 오염 물질의 장거리 이동 규제(산성비)
제네바 협약
26
협약 내용: 심각한 가뭄 및 사막화의 영향을 받는 국가의 사막화 방지
사막화 방지 협약
27
협약 내용: 지구의 온난화 규제 (1992)
리우환경협약
28
협약 내용: 기후 변화 대응 방식 규정(목표: 선진국만 온실가스 총 배출량을 감축)
교토 의정서
29
협약 내용: 2020년을 시작으로 2050년까지 지구촌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만들자(개발 도상국에도 감축 의무 부여)
파리 협정
30
비정부 기구(NGO)
그린피스, 지구의 벗, 세계 자연 기금
31
사막화로 인한 식생 감소로 일교차가 작아진다. (O / X)
X
32
지구 온난화로 인해 툰드라의 영구 동토층의 분포 범위가 축소될 것이다. (O / X)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