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임상심리사 2급 실기 79-118번
  • 박유진

  • 問題数 40 • 9/15/2023

    記憶度

    完璧

    6

    覚えた

    14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79. 다음보기는 슈퍼비전의 기능에 대한 설명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수 있는 슈퍼비전의 기능을 쓰시오. (20년1회7번/1회) (A)기능은 슈퍼바이지의 업무능력 개선에 목표를 두고 업무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B) 기능은 슈퍼바이지의 업무만족감 고취를 목표로 하여 효과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심리적 자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A: 교육적 기능 B: 지지적 기능 교육적 기능 관리적 행정적 기능: 관리자로서 기관의 규정과 절차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준다. 지지적 기능

  • 2

    80. 만성정신과환자의 치료 및 재활을 위한 가족의 태도로서 긍정적인 태도와 부정적인 태도를 각각 3가지씩 쓰시오. (20년1회8번/3회)

    긍정적인 태도 ① 환자가 치료와 재활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지지하고 돕도록 한다. ② 환자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약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도록 격려한다. ③ 환자가 병원이나 지역 사회 내에서 보다 나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환자의 입장을 대변해준다. ④ 차분하고 인내하는 집안 분위기를 유지하도록 한다. 부정적인 태도 ① 환자에게 지나치게 과잉개입하며 자신의 모든 것을 희생한 채 환자를 헌신적으로 돌본다. ② 환자에게 지나친 잔소리를 하거나 비관적인 어투로 말한다. ③ 가족 내에서 환자를 따돌리거나 친구를 만나지 못하게 한다. ④ 환자가 금세 호전될 것이라 기대한다.

  • 3

    81. 정신지활자의 평가 전 면담 시유의사항을 2가지 서술하시오. (20년1회9번/1회)

    ① 부적응적 사고와 경험의 강화 방지: 임상가는 내담자에게 있는 기괴한 생각과 감각적 경험을 면담 과정에서 끌어내되, 그 내용이 강화 받지 안도록 해야 한다. ② 면담과정에서의 초점 유지: 정신병적 증상을 보이는 환자는 면담에서 종종 초점을 벗어나 엉뚱한 반응을 한다. 이때 임상가는 짧고 직설적인 질문을 하거나 불필요한 업근에 대해 관심을 보이지 않는 등 환자로 하여금 면담 속에서 배회하거나 종잡을 수 없이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4

    82.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정신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환자교육 방법 중 2가지를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20년1회10번/1회)

    ① 증상관리 교육: 환자들에게 문제 증상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교육시킴으로써 스스로 증상을 관리하여 재발과 입원을 막도록 하는 교육 프로그램 ② 약물관리 교육: 환자들에게 약물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함께 적절한 투약방법을 교육함으로써 약물을 더 잘 복용하고 재발을 막도록 돕는 교육 프로그램

  • 5

    83. Beck의 인지치료의 핵심과제로서 자기점검은 5개의 칼럼으로 구성된 사고기록지를 통해 가능하다. Beck과 그의 동료들이 제안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사고기록지의 5가지 칼럼 내용을 쓰시오. (20년1회11번/2회)

    ① 상황: 불쾌한 감정을 유발한 실제 사건, 생각의 흐름, 기억의 내용을 기술 ② 감정 또는 정서: 앞선 상황에서 발생한 감정의 유형 및 감정의 강도 ③ 자동적 사고: 감정과 연관된 자동적 사고 및 그 사고의 확신 정도를 기술 ④ 합리적 반응: 자동적 사고에 대한 합리적 반응 및 그 반응의 확신 정도 ⑤ 결과: 현 상황에서 자동적 사고에 대한 확신 정도를 재평정하며, 그에 대한 감정 강도를 기술.

  • 6

    84.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20년1회12번/2회) 40대 남성인 A씨는 오염에 대한 생각으로 반복적인 손 씻기 행동을 보이고 있다. A씨도 그와 같은 생각이 부적절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지만 잘 통제되지 않은 채 반복적으로 의식에 떠밀려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1) A씨의 주요 증상을 토대로 진단명을 쓰시오. (2) 적절한 치료기법을 쓰시오. (3) 치료 과정을 4단계로 약술하시오.

    (1) A씨의 주요 증상을 토대로 진단명을 쓰시오. 강박장애 (2) 적절한 치료기법을 쓰시오. 노출 및 반응방지법 (3) 치료 과정을 4단계로 약술하시오. 노출: 강박적 사고를 유발하는 자극에 대해 충분한 시간 동안 직면하도록 한다. 상상: 강박적 행동을 하지 않으면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비극적인 결말에 대해 상상하게 한다. 행동방지: 강박적 사고에 의해 나타나는 강박적 행동을 제지한다. 치료유지: 약 10회 내원이나 전화상담을 통해 환자가 그와 같은 치료효과를 지속시키도록 고무한다.

  • 7

    85. 다음 보기의 웩슬러 지능검사의 대략적인 검사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이는 환자의 유형을 쓰시오. (20년1회13번/1회) 상식, 어휘, 토막짜기, 점수는 높은 수준을 보이는 반면, 공통성, 모양 맞추기 점수는 낮은 수준을 보인다. 언어성 지능이 동작성 지능보다 높은 양상을 보인다.

    뇌손상 장애 일반적으로 뇌손상 장애를 가진 환자들은 소검사 평가치상 변산이 가장 큰 경향이 있으며 언어성 지능과 동작성 지능 간에 유의미한 점수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또한 뇌 손상 장애의 양상은 개념적 언어적 개념형성 능력이나 추상적 추론능력의 어려움(공통성이 낮다면), 시각-운동 협응 능력(모양맞추기가 낮다면)의 어려움 등 질적인 지표로 나타나기도 한다. 상식, 어휘, 토막짜기는 병전지능 추정의 기준인데 낮지 않으니 병은 아니다.

  • 8

    86. MMPI 검사 결과 L척도와 K척도는 30 이하이고, F척도는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결과를 토대로 유추할 수 있는 환자의 상태를 2가지 기술하시오.

    ① 신체적 정서적 곤란은 인정하나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자신도 능력도 결여되어 있다. ② 문제 해결을 위한 도움을 얻고자 의도적으로 증상을 과장하거나 정신적 장애가 있는 것처럼 위장한다.

  • 9

    87. MMP의 6번 척도(Pa)에서 T점수가 72점인 경우 임상적으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5가지를 쓰시오. (20년1회15번/2회)

    ① 대인관계 예민성 ② 피해의식 ③ 만연한 의심 ④ 경직된 사고 ⑤ 관계망상

  • 10

    88. 로샤검사 결과를 엑스너 방식으로 채점하고자 한다. 엑스너 종합체계방식의 주요 채점 항목을 5가지만 기술하시오. (20년1회17번/2회)

    ① 반응영역: 수점자의 주된 반응이 어느 영역에 대해 일어나고 있는가 ② 발달질: 반응영역에서 발달수준은 어떠한가 ③ 결정인: 반응을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친 반점의 특징을 어떠한가 ④ 형태질: 반응이 잉크반점의 특징에 얼마나 부합하는가 ⑤ 반응내용: 반응은 어떤 내용의 범주에 들어가는가 ⑥ 평범반응: 일반적으로 흔히 나타나는 반응인가 ⑦ 쌍반응: 사물에 대해 대칭적으로 지각하고 있는가 ⑧ 조직화 활동: 자극을 어느 정도 조직화하여 응답하고 있는가 ⑨ 특수점수: 어떤 특이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가

  • 11

    89. 기능성 기억장애와 기질성 기억장애의 예를 한 가지씩 쓰고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20년1회18번/2회)

    ① 기능성 기억장애의 예: 친구가 교통사고를 당하는 광경을 목격한 후 당시의 사고에 대한 기억을 일시적으로 잊는 것 ② 기질성 기억장애의 예: 교통사고로 뇌손상을 입은 환자가 심각한 기억 손실과 함께 주의집중 곤란, 정서적 증상을 보인다. ③ 차이점: 기능성기억장애는 뇌의 병변이 아닌 심리적 요인에 의해 기억 기능이 억제되거나 기억력이 저하되는 것인 반면, 기질성 기억장애는 뇌의 병변이나 감각기관의 장애 등으로 인해 기억력이 저하된느 것이다. ④ 기능성 기억장애는 급작스럽고 완전하게 기억이 회복되는 경우가 많은 반명, 기질성 기억장애는 기억이 회복하더라도 그 속도가 느리고 불안전환 경우가 많다.

  • 12

    90. 아동 평가에서 특정 문제영역이 아닌 광범위한 문제 영역에 대해 보호자의 보고를 토대로 평가할 수 있는 평정척도가 있다. 그에 해당하는 평정척도를 2가지 쓰시오. (20년회19번/3회)

    ①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② 아동인성평정척도

  • 13

    91. 내담자가 상담을 끝낼 준비가 되었는지를 평가할 때 유용한 영역을 6가지 쓰시오. (20년2회1번/1회)

    ① 내담자의 초기 문제와 증상이 감소 혹은 제거되었는지를 확인한다. ② 내담자의 상담 원인이 되었던 스트레스 유발 감정이 제거되었는지를 확인한다. ③ 내담자의 대처능력과 자기 자신 및 타인에 대한 이해 능력 정도를 평가한다. ④ 내담자의 대인관계 능력을 확인한다. ⑤ 내담자의 생활계획 수립능력과 생산적인 활동능력을 평가한다. ⑥ 내담자의 여가생활 활동능력을 평가한다.

  • 14

    92. 다음 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20년2회2번/2회) 내담자: 이건 정말 믿을 수가 없어요. 선생님, 지난 번 상담을 받을 때 남편이 집에 일직 들어오겠다고 약속했잖아요? 그런데 정말로 남편이 제 시간에 맞춰 집에 오더라구요. 그렇게 약속을 잘 지킬 줄 몰랐는데, 정말 깜짝 놀랐다니까요. 보기에서 내담자의 말에 대한 상담자의 공감적 반응을 적절히 제시하시오.

    공감은 감정이입적 이해로 불림, 치료자가 내담자의 경험을 마치 자기 자신의 것처럼 지각하고 이해하며 그 이해한 것을 내담자에게 전달하는 것. “남편 분께서 지난번 상담에서 한 집에 일찍 들어오겠다는 약속을 지켜주어서 상담자인 저로서도 정말 놀랍고 기쁘네요.” 반영적 반응: 내담자의 말과 행동에서 표현되는 감정, 생각, 태도 등을 참신할 말로 부연해주는 것. 공감적 반응은 상담자가 직접 경험하지 않고도 내담자의 감정을 거의 같은 수준으로 이해

  • 15

    93.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담관게에서 제시되는 일반적인 윤리원칙을 5가지 쓰시오. (20년2회3번1회)

    ① 자율성: 상담자는 내담자의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해야 한다. ② 덕행: 상담자는 내담자의 성장과 복지에 기여하여야 한다. ③ 무해성: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피해를 끼쳐서도 내담자가 타인에게 피해를 끼치는 것을 내버려두어도 안된다. ④ 공정성: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차별적인 대우를 해서는 안되며 인종과 성별, 종교적 신념에 관계없이 내담자를 동등하게 대우 ⑤ 성실성 또는 충실성: 상담자는 내담자를 상담할 때 신뢰를 바탕으로 성실히 임해야 한다. 여기서 성실은 곧 충실, 신뢰, 약속 이행 등을 의미한다.

  • 16

    94. 정신역동치료의 특징을 5가지 기술하시오. (20년2회4번/1회)

    ① 환자의 감정과 정서 표현에 초점을 둔다. ② 과거 경험을 강조한다. ③ 대인관계의 경험에 주목한다. ④ 치료적 관계를 강조한다. ⑤ 환자의 소망, 꿈, 공상 등 심리내적 역동을 탐색한다.

  • 17

    95. 불안장애에 대한 행동치료레 근거한 학습이론과 그 구체적인 치료기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20년2회5번/3회)

    행동치료의 학습이론 불안의 발달과 지속에 대한 학습이론은 ABC패러다임의 기본원리를 토대로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각적 조건형성에 의한 학습 양상을 강조하는 2요인 이론에 의해 잘 설명된다. 따라서 행동치료는 행동을 직접 변화시키기보다는 그 행동에 선행하는 조건 및 후속하는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행동의 전반적인 맥락을 변화시키고자 한다. 구체적인 치료기법 체계적 둔감법: 특정한 상황이나 상상에 의해 조건형성된 불안이나 공포에 대한 불안 자극을 단계적으로 높여가며 노출시킴으로써 내담자의 불안 반응을 경감 또는 제거한다. 털짐승을 무서워하는 아이에게 근육이완을 통해 몸의 긴장을 풀도록 한 후, 가장 낮은 수준의 자극(털옷)에서부터 가장 높은 수준의 자극(털짐승)으로 자극 상황을 단계적으로 경험하도록 한다.

  • 18

    96. 토큰경제에서 강화하는 학습이론의 어떤 원리를 근거로 한 것인지 쓰시오. (20년2회6번1회)

    조작적 조건형성

  • 19

    97. 다음 보기의 빈칸에 들어갈 용어를 각각 쓰시오. (20년2회7번/1회) 통제자극의 유형 중 어떤 반응이 특정 자극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강화되었다면 이는 ( A )이며, 어떤 반응이 특정 자극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소거되었다면 이는 ( B )이다.

    A: 변별자극 혹은 강화자극(S위에 작은 D) B: 소거자극(S위에 작은 세모)

  • 20

    98. 소크라테스식 대화의 특징을 3가지 제시하고, 소크라테스식 대화의 구체적인 예를 2가지 쓰시오. (20년2회8번/3회)

    소크라테스식 대화의 특징 ① 일련의 신중한 질문을 통해 내담자 자신의 대안적 해결책 탐색 ② 내담자 자신이 경험한 사건에 대한 보다 자세하고 진솔한 진술 유도 ③ 치료자의 비판단적 ∙ 교육적 접근을 통한 내담자의 역기능적 신념의 변화 유도 구체적인 예 ① 논리적 ∙ 경험적 ∙ 실용적 논박 그와 같은 신념이 타당하다는 논리적 ∙ 경험적 ∙ 실용적 근거는 무엇인가? ② 대안적 논박 현 상황에서 좀 더 타당한 대안적 신념은 없는가?

  • 21

    99. 접수면접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5가지 쓰시오. (20년2회8번/2회)

    ① 접수면접을 위한 기본 정보 ② 내담자의 호소문제 ③ 현재 및 최근의 주요 기능 상태 ④ 스트레스의 원인 ⑤ 호소 문제와 관련된 개인사 및 가족관계 ⑥ 외모 및 행동

  • 22

    100. 웩슬러 지능검사의 소검사 항목 11가지를 제시하고 각 소검사의 측정내용을 기술하시오. (20년2회12번/2회)

    언어성 소검사 ① 상식: 일상의 사실적 지식의 범위, 과거의 학습 및 학교 교육, 지적 호기심 혹은 지식추구 활동, 일상세계에 대한 관심, 장기기억 등을 측정한다. ② 숫자 외우기: 주의집중력, 기계적 학습, 즉각적인 기계적 회상 등을 측정한다. ③ 어휘: 언어발달의 정도, 단어 지식 및 언어적 개념 형성 등을 측정한다. ④ 산수: 청각적 기억, 연속적 능력, 주의집중력 및 낮은 주의산만 등을 측정한다. ⑤ 이해: 실제적 지식의 표명, 사회적 성숙도, 과거 경험의 평가 능력 등을 측정한다. ⑥ 공통성: 개념적 사고, 언어적 유창성과 관련된 연합능력 등을 측정한다. 동작성 소검사 ① 빠진곳찾기: 시각적 재인 및 동일시, 부분에 대한 전체의 인식 등을 측정한다. ② 토막짜기: 전체를 구성요소로 분석하는 능력, 공간적 시각화 능력 등을 측정한다. ③ 모양 맞추기: 각 부분들 간의 관계 예측, 시각-운동 협응능력 등을 측정한다. ④ 바꿔쓰기: 인지적 유연성, 지시를 정확히 따르는 능력, 지필기술 ⑤ 차례 맞추기: 계획하는 능력, 시간 순서 및 시간개념, 시각적 조직화 등을 측정한다.

  • 23

    101. 다음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20년2회13번/2회) 인천광역시의 00중학교 1학년에 대학중인 A군은 부모가 이혼한 상태이다. A군은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으며, 보통 주말이나 방학을 이용하여 아버지와 지내고 있다. A군은 아비저의 말을 잘 따르는 편이고 자신도 아버지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을 좋아한다. 그런데 A군은 수업 시간에 주의가 산만하고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으며, 종종 짜증을 부리는 모습을 보였다. A군에 대한 웩슬러 지능검사 결과 언어성 IQ는 114, 동작성 IQ는 134, 전체 IQ는 126을 나타냈다. 특이한 것은 산수에서 7점, 숫자에서 11점으로 다른 하위검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A군의 지능검사 결과 전체IQ는 126으로 우수의 범위에 해당한다. 그러나 언어성과 동작성의 차이가 15점 이상인 경우 임상적 신경학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되며, 특히 그 차이가 20점 이상인 경우 뇌손상이나 정신장애를 의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언어성 IQ가 동작성 IQ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언어능력 및 읽기능력 등에서 저조한 수행을 나타내 보일 수 있고 이는 자폐증 학습장애,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등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 보기의 사레의 내용만으로는 진단이 어렵지만 A군이 주의가 산만하고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으며 종종 짜증을 부리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를 시사한다

  • 24

    102. MMPI-2에서 재구성 임상척도를 개발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시오. (20년2회14번/2회)

    원판 MMPI의 임상척도들을 제작할 때 경험적인 방식으로 문항들을 구성하였기에 같은 임상척도에 포함된 문항들이 이질적인 면도 있는 반면, 임상척도들 간의 상관도 높고 서로 독립적이지 않은 면도 있었다. 이와 같이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은 각각의 임상척도에 포함된 문항들 중 일부는 환자들이 공통적으로 치료받고 싶어하는 정서적 고통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임상척도의 상승이 의미하는 바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상승척도쌍, 소척도, 내용척도 등을 활용해왔다. MMPI-2에 포함된 재구성 임상척도는 그 동안 임상척도의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해석상의 모호함을 감소시키고 변별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25

    103. MMPI-2의 재구성 임상척도 중 다른 사람들이 믿을만하지 못하고 남을 배려하지 않고 자신만 생각하면 착취적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상승하는 척도를 쓰시오. (20년2회15번/1회)

    RC3: 냉소적 태도 MMPI-2 재구성 임상척도 ① RCd: 의기소침: 수검자가 경험하고 있는 전반적인 정서적 불편감 및 정서적 동요를 나타낸다. ② RC1: 신체증상 호소: 신체적 건강에 대한 집착 ③ RC2: 낮은 긍정 정서: 삶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적 관여가 경감되어 있음을 나타냄 ④ RC3: 냉소적 태도: 타인에 대한 신뢰를 지나치게 공언하는 특성 높으면 다른 사람을 믿지 못하고 자신만 생각 낮으면 사람을 너무 잘 믿음 ⑤ RC4: 반사회적 행동: 반사회적 특성에 대한 보다 순전한 측정치 이자 지표 ⑥ RC6: 피해의식: 피해의식 사고에 대한 보다 순전한 측정치 ⑦ RC7: 역기능적 부정 정서: 이 척도는 불안과 짜증을 비롯한 다양한 부정적 정서경험(강박은 불안 짜증이잖아) ⑧ RC8: 기태적 경험: 정신병적 장애에서 관찰되는 감각, 지각, 인지 및 운동상의 장애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기태: 기이하고 괴상한 모양) ⑨ RC9: 경조증적 상태: 경조증적 상태

  • 26

    104. 치료와 재활 의미와 차이를 기술하시오. (20년2회16번/4회)

    의미 치료: 어떤 질병, 장애 또는 문제를 치료, 치유, 완화하기 위해 계획된 체계적 과정 및 활동 재활: 장애인의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 경제적 ∙ 직업적 가용능력을 최대한 회복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과정 및 활동 차이 치료는 개인의 증상과 병리를 감소시키는 데 초점을 두는 반면 재활을 개인의 강점이나 자원을 개발시키는 데 초점을 둔다,

  • 27

    105. 전화로 어떤 여성이 다급한 목소리로 자신이 방금 강간을 당했다고 보고하면서 두려워하고 있다. 상담사로서 취할 조치 방법을 5가지 쓰시오. (20년2회19번/2회)

    ① 심리적 안정 및 지지하기 ② 성폭력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파악 및 증거 보관에 대한 당부 ③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 찾기 ④ 병원 연계 ⑤ 법적 ∙ 의료적 절차에 관한 정보 제공 및 전문기관 연계: 내담자가 혼자서 해결해나가기 어려운 법률적 의료적 문제들에 대한 정보 제공과 그에 대해 충분히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전문기관 연계

  • 28

    106. 다음보기의 신경심리검사들이 평가하는 인지기능 영역을 쓰시오. (20년2회20번/2회) Cotrasting Program / Go-No-Go Test / Fist-Edge-Palm / Alternating Hand Movement / Alternting Square and Triangle / Luria Loop /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COWAT) / Korean-Color Word Stroop Test(K-CWST)

    전두엽 집행기능(전두엽 실행기능 또는 전두엽 관리기능)

  • 29

    107. 해결중심치료에서 사용하는 해결지향적 질문유형을 3가지 쓰시오. (20년3회2번/2회)

    ① 상담 전 변화에 관한 질문 ② 예외질문 ③ 기적질문 ④ 척도질문

  • 30

    108. 인지 ∙ 정서 ∙ 행동적 상담의 ABCDE 모델에 기초하여 치료계획을 쓰시오. (20년3회4번/2회)

    ① 제 1단계 -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의 구분 ② 제 2단계 - 내담자의 자기보고 및 상담자의 관찰을 통한 비합리적 신념의 발견 및 인식 유도 ③ 제 3단계 -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에 대한 논박 ④ 제 4단계 -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바꾸기 위한 연습 유도 및 과제 부여 ⑤ 제 5단계 – 합리적 행동의 시연 및 새로 학습한 결과의 실제 작용

  • 31

    109. 심리치료자가 내담자에 대해 비밀보장을 할 수 없는 경우를 5가지 쓰시오. (20년3회6번/3회)

    ① 내담자가 자신이나 타인의 생명 혹은 사회의 안전을 위협하는 경우 ② 내담자가 감염성이 있는 치명적인 질병이 있다는 확실한 정보를 가졌을 경우 ③ 미성년인 내담자가 학대를 당하고 있는 경우 ④ 내담자가 아동학대를 하는 경우 ⑤ 법적으로 정보의 공개가 요구되는 경우

  • 32

    110. 다음보기의 사례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20년3회7번/1회) 올해 중 3인 A군은 평소에 친구들과 못어울림, 매울 아침 학교가기 거부. A군은 학교 친구들이 자기를 따돌린다고 죽고 싶을만큼 학교 가기 싫다 함. A군의 덩치는 또래 아이들보다 크고 태권도도 어릴 떄부터 배움. 중학교에 진학 후 성적인 최하위권으로 떨어짐. 최근 실시한 집단지능검사에서 일반계 고등학교 진학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됨. 어머니는 A군이 그만큼 심각한 상태인지 A군의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훈육해야 하는지 등의 문제 호소. A군은 무표정한 얼굴에 약간 어눌한 말투, 발음도 부정확하며 자신의 문제들을 쉽게 포기하려하는 모습을 보임. 보기의 사레에 제시된 내담자 A군의 행동변화를 위한 행동수정의 원리를 3가지를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① 상반행동의 강화원리: 아동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중단하도록 하기 위해 수정하고자 하는 행동과 모순되거나 혹은 동시에 그 행동과 함께 수행될 수 없는 상반행동을 강화한다. ② 점진적 접근원리: 아동이 이전에 하지 못했던 새로운 행동을 하도록 가르치기 위해서는 그 하위단계의 행동들을 강화해 가면서 점차적으로 목표행동에 접근해 나가도록 한다. ③ 모방원리: 아동에게 새로운 행동을 가르치기 위해 영향력이 있는 사람의 바람직한 행동을 관찰할 기회를 제공하여 그 행동을 모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목표행동을 배우도록 한다.

  • 33

    111. 직업재활을 해야 하는 이유를 3가지 쓰시오. (20년3회8번/1회)

    ① 생계의 수단 – 경제생활 유지 ② 사회적 기여의 수단 – 사회적 욕구 충족 ③ 자아실현의 수단 – 자기성취와 자기발전

  • 34

    112. 임상적 연구나 의사결정을 할 때 임상적 판간 및 통계적 판단을 사용하게 된다. 임상적 판단보다 통계적 판단을 사용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장점 및 단점을 각각 2가지씩 쓰시오. (20년3회9번/2회)

    통계적 판단 장점 ① 개념의 구체화 및 조직화 과정을 통해 모호한 개념을 보다 명확하게 정의함으로써 통계적 공식에 따른 구체적인 예측이 가능하다. ② 객관적으로 도출된 공식, 명확한 준거, 회귀분석 등을 통해 임상적 판단이 극복하기 어려운 신뢰도 결여의 문제를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다. 단점 ① 인간의 본질적 복잡성을 수량화하는 것은 그 자체로 한계가 있다. ② 개인의 내면적 특성을 점수로 환원하는 것에 대해 내담자의 심리적인 거부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윤리적인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임상적 판단 장점 ① 다양한 검사자료, 사레사, 의학적 기록, 언어적 행동 및 비언어적 행동의 관찰에 의한 광범위한 정보들을 토대로 비교적 정확성 있는 판단을 기할 수 있다. ② 과학적 예측모델이나 회귀분석에 근거한 통계적 접근이 어려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단점 ① 통계적 접근에 비해 신뢰성이 떨어진다. ② 임상가의 주관적 편견이 개입될 수 있으며 검사 과정상의 편향이 나타날 수 있다.

  • 35

    113. 심리검사 결과의 올바른 해석을 위한 해석지침을 4가지 쓰시오. (20년3회10번/2회)

    ① 해석의 기본관점 수립 ② 통계학적 해석에 대한 설명 ③ 개인 간 차이와 개인 내적 차이의 명료화 ④ 측정오차를 고려한 해석

  • 36

    114. 심리평가보고서를 작성할 때 심리검사 결과와 생활사적 정보를 통합하는 중요한 이유에 대해 기술하시오. (20년3회11번/4회)

    객관적 검사나 투사적 검사로 제시되는 심리검사는 내담자의 직접적인 반응을 통해 내담자의 심리적 특성과 현재의 상태를 표출하지만 내담자의 반응에 의한 주관적인 정보이다. 반면, 상담자가 관찰자로 수집하는 내담자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정보, 생화사적 정보, 다양한 기록자료 등은 내담자의 심리적 상태를 파악하는데 유효한 객관적인 정보에 해당한다. 그래서 주관적인 정보와 객관적인 정보는 서로 통합됨으로써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내담자에 대한 보다 정확한 진단 및 평가가 가능하다.

  • 37

    115. 웩슬러 지능검사의 언어성 소검사 중 기본지식(상식)이 측정하는 측면 5가지를 쓰시오. (20년3회12번/2회)

    ① 일상의 사실적 지식의 범위 ② 과거의 학습 및 학교 교육 ③ 지적 호기심 ④ 일상세계에 대한 관심 ⑤ 장기기억

  • 38

    116. 어떤 환자에게 MMPI를 실시한 결과 L척도와 K척도의 T점수가 7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방어적 성향이 강하여 검사 결과를 해석하기 어려울 정도였으나, 이 환자에게 심리검사는 꼭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때 임상심리사가 취할 수 있는 방법을 2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20년3회13번/2회)

    ① 프로파일의 신뢰성이 극단적으로 결여된 경우: 수검자가 솔직하지 못한 태도를 취함으로써 타당도 프로파일에서 극단적인 신뢰성 결여를 나타낼 경우 임상척도들에 대한 해석 자체를 보류해야 한다. ② 방어적 태도가 문제시 되는 경우: 타당도 프로파일이 비록 덜 극단적이지만 방어적 태도가 문제시 될 경우 임상척도들의 프로파일에 대해서 잠정적으로 해석을 내리지만 수검자의 방어적 수검 태도를 고려하면서 해석을 내려야 한다.

  • 39

    117. MMPI 검사결과 타당도 척도에 대한 T점수가 L척도 46, F척도 110, K척도 45로 나타났으며 5번 Mf 척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임상척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프로파일을 나타낼 수 있는 성향을 가진 사람들의 유형을 3가지 쓰시오. (20년3회14번/2회)

    ①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움을 구하고자 의도적으로 과장하거나 정신장애로 위장하는 경우 ② 검사 자체 또는 검사자에게 저항하는 사람 ③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거나 다른 사람을 기만할 목적을 가진 사람

  • 40

    118. 로샤검사의 특수점수에서 특수내용의 종류를 3가지 쓰고, 각각에 대해 설명하시오.

    ① 추상적 내용: 수검자가 상징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 채점되는 것으로 인간적인 정서나 감각을 나타내는 인간경험 반응과 분명하고 구체적인 상징적 표상을 언급한 반응으로 두 종류의 반응 유형이 있다. ② 공격적 운동: 운동반응에서 싸움, 반응, 파괴, 공격성 등 분명하게 공격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채점된다. ③ 협조적 운동: 운동반응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의 대상들이 협조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경우 채점 된다. ④ 병적인 내용: 대상을 파괴되거나 손상된 것으로 보는 반응 또는 대상에 대한 우울한 감정을 부여하는 반응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채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