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DO실험시 시료의 용량은?
300ml
2
DO실험의 원리는 ?
시료에 MnSO₄와 KISA용액을 넣은면 Mn(OH)₂가 생상, Mn(OH)₂가 용존산소에 의해 MnO(OH)₂가 된다, 이때 H₂SO₄를 넣어 MnO(OH)₂와 H₂SO₄에 의해 I₂가 단독으로 존재한다, I₂를 0.025N Na₂S₂O₃ 로 적정해 용존산소량을 측정한다
3
DO실험의 순서는?
DO병에 시료 300ml를 넣는다, MnSO₄ 1ml와 KISA 1ml를 넣는다, 혼합후 침전시킨다, H₂SO₄ 2ml를 넣는다, 시료 200ml를 덜어낸다, 0.025N Na₂S₂O₃로 황색이 될때까지 적정한다, 전분 1ml를 넣어 보라색으로 변화시킨다, 무색이 될때 까지 적정한다
4
DO의 농도계산식은?
a x f x (V₁/V₂) x (1000 / V₁ - R) x 0.2, a : 적정에 소비된 Na₂S₂O₃의 양, f : 역가, V₁ : 전체시료의 양, V₂ : 적정에 사용한 시료의 양, R : MnSO₄용액과 KISA용액의 첨가량, 0,2 : Na₂S₂O₃ 1ml에 들어있는 산소의 양(mg)
5
DO실험에서 전분의 역할은?
I₂는 전분을 만나면 보락색으로 변한다 즉, 전분은 지시약의 역할을 한다
6
BOD실험시 시료의 용량은?
DO병을 쓰므로 똑같이 300ml
7
BOD실험의 원리는?
시료를 20‘C에서 5일간 배양했을때 호기성미생물에 의해 소비되는 용존산소(DO)의 양을 이용해 BOD를 구할수있다
8
BOD의 구성요소는?
유기물, 호기성미생물 : 없으면 식종, 산소 : 부족하면 희석수를 넣는다(희석수 : 산소 + 영양물질), 영양물질 : 호기성미생물의 컨디션을 좋게해준다
9
과포화란?
조류가 많아 산소가 과다할때, 산소량이 8.8~9.2ppm이상
10
희석배수란?
전체시료의 양 / 희석시료중의 시료의 양
11
BOD에서 25%, 1% 희석했을때의 희석배수는?
BOD의 시료의 양은 300ml이고 희석배수 = 전체시료의 양 / 희석시료의 시료의 양이다, 300ml x 0.25 = 75ml 300ml / 75ml = 4배 희석, 300ml x 0.01 = 3ml 300ml / 3 = 100배 희석
12
BOD분석시 주의사항은?
미생물에 성장하기 좋은 환경조건이여야한다(5일간 살기적합해야한다), 20’C에서 과포화여야한다 : 8.8~9.2ppm이상, 햇빛을 차단해 Algae작용을 방지한다 : 산소를 발생시키므로, 넣는시간, 꺼내는 시간을 동일하게해야한다, 5일간 배양후 잔여산소가 있어야한다 : 과포화의 40~70%(3.5~6.2ppm)
13
미생물에 성장제한이 없는 환경조건은?
독성x, 영양물질 충분, 호기성미생물 충분 : 없으면 식종, 적당한 pH : 6.5~8.5, 적당한 완충능력
14
BOD실험의 순서는?
희석수 준비 : 산소가 적을때, 식종희석수 준비 : 호기성미생물이 없을때, 희석수 or 식종희석수를 1L 준비한다, 시료를 BOD병에 300ml씩 총 3개로 나눈다, 초기 DO를 측정한다 : DO₁, 20’C에서 5일간 배양시킨후 DO를 측정한다 : DO₂, BOD를 계산한다 : DO₁ - DO₂
15
희석수를 만드는법
증류수를 1L 준비한다 : 300ml 시료 3개가 필요하기 때문에, 20‘C에서 용존산소를 포화상태로 만든다 : 8.8~9.2ppm이상, 인산염 완충액, 황산마그네슘 용액, 염화칼슘 용액, 염화제이철 용액을 1ml씩 넣어준다 : 영양물질들, pH를 확인 후 중성(pH : 7.2)로 만들어준다, 초기 DO를 측정한다 : DO₁, 20’C에서 5일간 배양 후 DO를 측정한다 : DO₂, BOD를 측정한다
16
희석수의 BOD는?
0.2mg/L이하이다, 희석수에는 호기성 미생물이 없기때문에 산소를 소모하지않아 DO값 변화가 거의 없다
17
식종희석수를 만드는 방법은?
희석수를 1L 준비한다 : 300ml 시료가 3개씩 필요하므로, 호기성미생물을 함유한 식종액을 넣어 식종희석수로 만들어준다 : 하수 5~10ml 하천수 10~50ml 토양 추출액 20~30ml, 초기 DO를 측정한다 : B₁, BOD병에 300ml 씩 3개에 나눈 뒤 글루코스-글루타민산 용액을 5~10ml 넣어준다 : 유기물 첨가, 20‘C에서 5일간 배양시킨후 DO를 측정한다 : B₂, BOD를 구한다
18
식종희석수의 BOD는?
200~240mg/L
19
BOD 농도계산식은?
식종x : (DO₁ - DO₂) x 희석배수, 식종o : [(DO₁ - DO₂)-{(B₁ - B₂) x f}] x 희석배수, DO₁ : 배양전 희석수의 DO, DO₂ : 배양후 희석수의 DO, B₁ : 배양전 식종희석수의 DO, B₂ : 배양후 식종희석수의 DO, f : 식종희석수 / 시료 + 식종희석수 희석수 - 시료 / 희석수
20
COD실험의 시료의 용량은?
100ml
21
COD의 원리는?
황산조건하에 시료에 KMnO₄를 넣고 30분간 수욕상에서 가열시킨후 수산나트륨을 넣은후 KMnO₄로 역적정해 소비된 KMnO₄의 양으로 소비된 산소량을 측정한다
22
COD와 BOD의 차이점은?
COD는 미생물에 분해되기 어려운 유기물도 측정이 가능하다, BOD는 장시간(5일), COD는 단시간(2~4시간)동안 측정한다
23
COD실험의 순서는?
시료와 물 100ml를 플라스크에 넣는다, 황산 10ml를 넣는다 : 황산산성조건형성, Ag₂SO₄ 1g을 넣는다, 흔든후 방치시킨다, 0.025N KMnO₄ 10ml를 넣는다 : 산화제 유기물들을 산화시킨뒤 30~50%(3~5ml)가 남아야한다 진한 핑크색으로 변함, 30분간 수욕상에서 가열한다 : 옅은 핑크색으로 변함, 0.025N 수산나트륨 10ml를 넣는다 : 환원제 KMnO₄가 3~5ml 남았으면 수산나트륨은 5~7ml가 남는다 무색으로 변함, 0.025N KMnO₄로 다시 적정한다 : 산화제를 다시 넣어 소비된 수산나트륨의 양을 측정(역적정) 무색에서 옅은 핑크색이 되면 종말점 이를 통해 소비된 산소량을 알수있따
24
Ag₂SO₄(황산은)의 역할은?
촉매로 작용한다, Cl와 산화제가 반응하여 COD값을 증가시키는것을 억제시킨다, Ag를 이용해 Cl을 AgCl로 침전시켜 제거한다
25
역정적을 하는 이유는?
수욕상에서 30분간 가열하면 탁해지므로 적정이 어렵다
26
바탕시험이란?
보정을 위해 시료없이 증류수만으로 실험하는것, 역정적값이 5ml정도면 바탕시험값은 0.2~0.5ml정도이다
27
COD 농도계산법은?
(a-b) x f x (1000/V) x 0.2, a : 역적정값, b : 바탕시험값, f : 역가, V : 시료의 양(100ml), 0.2 : 0.025N KMnO₄ 1ml 속의 산소의 양(mg)
28
암모니아성 질소(NH₃-N) 분석법의 이름은?
인도페놀법
29
암모니아성 질소(NH₃-N) 분석시 사용하는 파장과 색은?
630nm, 청색
30
암모니아성 질소 표준원액(0.1mg NH₃-N / ml) 1L 제조하는법
용액 1ml안에 암모니아성 질소가 0.1mg 들어있다, 즉 용액 1L안에는 암모니아성 질소가 100mg들어있다, 염화암모늄(NH₄Cl) 을 이용한다 NH₄Cl : N 53.5g : 14g = X : 100mg X = 381.78mg = 0.3818g NH₄Cl 0.3818g을 1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표션을 채운다
31
암모니아성 표준원액(0.1mg NH₃-N/ml)으로 표준액(0.005mg NH₃-N/ml) 500ml를 제조하는법
0.1mg/ml -> 0.005mg/ml의 희석배수는 0.1 / 0.005 = 20배 희석이다, 따라서 취할량 = 제조량 / 희석배수이므로 500ml / 20배 = 25ml 즉 표준원액 25ml를 5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로 표선을 채운다
32
0.1mg NH₃-N/ml 표준원액 50ml와 증류수를 섞어 500ml의 미지시료를 제조했을때 미지시료의 농도(ppm)은?
0.1mg/ml x 50ml / 500ml x 1000ml/L = 10mg/L = 10ppm
33
0.1mg NH₃-N/ml 표준원액 250ml와 증류수를 섞어 500ml의 미지시료를 제조했을때 미지시료의 농도(ppm)은?
0.1mg/ml x 250ml/500ml x 1000ml/L = 50mg/L = 50ppm
34
람베르트비어 법칙이란?
A = ECL = -log(t), A : 흡광도, E : 몰흡광계수, C : 농도, L : 길이, t : 투과도 = It / I₀
35
비색법 기기의 구성은?
광원부 : 텅스텐 램프, 중수소 방전관, 파장선택부 : 단색화장치, 필터, 시료부 : 셀, 대조셀, 측광부 : 광전관, 광전도셀, 광전지, 광전자 증배관
36
T-N(총인) 분석법의 이름은?
아스코르브산 환원법
37
T-N(총인) 분석법의 파장, 색깔은?
880nm, 적외선 영역이므로 눈으로 확인이 불가능하다
38
인산염인 표준원액(0.1mg PO₄-P/ml) 1L 제조하는법
용액 1ml안에 인산염인이 0.1mg 들어있다, 즉 용액 1L안에는 인산염인이 100mg들어있다, 제1인산칼륨(KH₂PO₄)를 이용한다 KH₂PO₄ : P 136.09g : 31g = X : 100mg X = 439mg = 0.439g KH₂PO₄ 0.439g을 1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표션을 채운다
39
인산염인 표준원액(0.1mg PO₄-P/ml)으로 표준액(0.005mg PO₄-P/ml) 200ml를 제조하는법
0.1mg/ml -> 0.005mg/ml의 희석배수는 0.1 / 0.005 = 20배 희석이다, 따라서 취할량 = 제조량 / 희석배수이므로 200ml / 20배 = 10ml 즉 표준원액 10ml를 2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표선을 채운다
40
BOD에서 각 시료의 전처리는?
산성, 알칼리 시료 : 중성(pH : 7.2)로 만들어준다, 잔류염소가 함유된 시료 : 염소를 제거한다, 용존산소가 과포화된 시료 : 산소의 양을 8.8~9.2ppm으로 만들어준다, 시료의 온도는 19~21도로 맞추어준다
41
BOD에서 각 시료의 희석은?
강한 공장폐수 : 0.1~1%, 처리하지 않은 공장폐수, 침전된 하수 : 1~5%, 처리된 공장폐수 : 5~25%, 오염된 하천수 : 25~100%
42
DO실험에서 0,2mg O₂ / Na₂O₂S₃ 1ml인 이유는 ?
0.5mol의 O₂로 1mol의 I₂를 1mol의 O₂로 2mol의 Na₂O₂S₃를 얻을수있다, 즉 0.5mol의 O₂이므로 16g이고, 2mol의 티오황산나트륨이므로 2N, 16g : 2N = x : 0.025N -> x = 0.2g 0.2g/L = 0.2mg/ml
43
염소이온 200mg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황산은의 양은?
2Cl⁻ + Ag₂SO₄ 이므로, 2x35.5 : 311.83 = 200mg : x, x = 880mg = 0.88g 약 1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