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이동용 변압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상 150KVA 3대 동시 교체 가능하다.
2
다음 중 분기 접속재의 규격에 대하여 틀린 것은?
AL 60mm2
3
공사용개폐기 공법에서 사용되지 않는 장비는?
점퍼선슬리브
4
전주에 입상케이블을 지지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자재는?
가지지 크리트
5
이동용변압기 공법에서 사용되지 않는 장비는?
종단접속재
6
공사용개폐기의 일반 용량으로 옳은 것은?
200A
7
특고압 상 측정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동상의 경우에는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다.
8
특고압 검전기의 사용전압으로 옳은 것은?
3KV ~ 25KV
9
작업구간 내 송전 유도전압에 의한 감전 사고를 방지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기자재는?
접지용구(사선용)
10
이동용 변압기 공법에 사용하는 60mm2 저압 케이블의 최대 허용전류는?
120A
11
간접활선 공법적용의 경우, 작업자의 손이 절연스틱의 무슨색의 커버(스커트)를 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가?
빨간색
12
작업자가 절연스틱 등 절연된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충전부 접근한계 거리 외에서 고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된 노출 도체나 기기와 비접촉인 생태에서 작업하는 공법은 어떤 것인가?
간접활선공법
13
로터스틱에 부착되지 않는 선단공구는 어떤것일까?
후크
14
신간접활선에서 스틱 및 선단공구가 아닌 것은?
그립올클램프스틱
15
아래 그림을 보고 간접활선스틱 중 어떤 종류의 스틱인가?
그랩스틱
16
아래 그림을 보고 간접활선스틱 중 어떤 종류의 스틱인가?
핸드스틱
17
다음 ACSR 160mm2 전선을 압축하려고 한다. 압축시 압축기 홀더(플렌트)를 고정할때 쓰이는 스틱은?
핫스틱
18
아래 그림은 간접활선에 쓰이는 스틱 중 하나이다. 선단에 결합되는 공구가 아닌 것은?
피박기
19
아래 그림에서 그랩 또는 핸드스틱의 핸들 조작을 Free, Lock로 전환하는 전환레버 장치는 어느 곳인가?
가
20
아래 그림은 신간접활선 수동절단기이다. 파지부는 어느 곳인가?
가
21
ACSR160mm2 점퍼선을 절단하고자 한다. 절단기에는 전선이 절단될때 절단된 한쪽의 전력선만 잡아주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그 반대편 전력선은 어느 스틱으로 파지를 해야하나?
그랩스틱
22
신간접활선에서 새로나온 간접활선용 절연커버가 생겼다. 커버류 설치시 보조작업자가 커버류를 고정하여야한다. 핫스틱에 어떤 선단공구를 체결해야 하는가?
D형후크
23
신간접활선으로 충전부 방호를 하려고 한다. 새로운 방호구의 이름 중 틀린 것을 찾으시오.
절연시트(특수형)
24
특고압 전선 및 점퍼선 방호시 신간접활선으로 충전부 방호를 할 때 사용하는 절연시트지가 맞는 것은?
절연시트(직선형)
25
다음 중 공사용개폐기 공법 중 설명이 틀린 것은?
공사용개폐기의 용량은 200A(일반), 250A(대용량)이다.
26
다음 중 이동용변압기차 공법 중 설명이 틀린 것은?
저압 검상기애서 이상유무 확인 후 상이 바뀐 경우 주상에서 고압 측 상을 맞춘다.
27
현재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무정전공법이 아닌 것은?
기계화공간확장 공법
28
바이패스 케이블이 38mm2일 경우 공사 가능한 최대 부하 전류는?
140A
29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에 필요한 기자재가 아닌 것은?
독립형 이선장치
30
다음은 자동제폐로 차단기 신설 공사 중 바이패스 점퍼설치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을 고르시오.
지지대의 입구가 작업자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한다.
31
공사용개폐기에서 사용하는 단말케이블 절연저항 측정값은 몇 이상시 양호인가?
2000M옴
32
무정전 케이블은 어떠한 것을 사용하나?
ERP 케이블
33
공사용 개폐기의 외함접지는 몇 종 접지를 시행하는가?
제1종접지
34
공사용개폐기 공법에서 필요한 기자재를 모두 고른 것은? 가. 입상케이블 나. 공사용개폐기 다. 케이블 클램프 라. 절연저항 측정기 마. 간접활선용 점퍼선 슬리브
가, 나, 다, 라, 마
35
이동용변압기차 공법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자재를 모두 고른 것은? 기. 입상케이블 나. 공사용개폐기 다. 저압케이블 라. COS 조작봉 마. 케이블 클램프
가, 다, 라, 마
36
무정전변압기차 공법으로 할 수 있는 작업을 모두 고른 것은? 가. 1상 3선식을 1상 2선식으로 공급 방식 변경 나. 3상 4선식을 1상 2선식으로 공급 방식 변경 다. COS 교체작업 라. 변압기용량 증설 작업
가, 나, 다, 라
37
다음 중 무정전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동용 변압기차량의 정격 용량은 200KVA이다.
38
이동용 변압기차 공법 중 설명이 틀린 것은?
검상결과 상이 다를 경우 변압기차의 저압차단기를 OFF하고 작업에 임한다.
39
공사용 개폐기의 가스 압력계가 정상인때는 어떤 색깔인가?
녹색
40
다음은 활선(무정전) 작업시 배전센터 또는 배전운영실에 통보 해야 하는 내용이다. 틀린 것을 고르시오.
작업책임자 및 작업에 투입되는 모든 작업자 및 장비 명단
41
공사용개폐기 공법 중 필요한 기자재가 아닌 것은?
중간케이블
42
공사용개폐기 공법에서 철거 작업에 대한 공법 절차이다. 작업 순서가 적절한 것은? 가. 공사용개폐기 개방 나. 점퍼선 압축(공사구간 전원측) 다. 공사용개폐기 투입 라. 선로용개폐기 개방 마. 점퍼선 압축(공사구간 부하측) 바. 입상케이블 철거
나-다-라-마-가-바
43
공사용개폐기 공법에서 설치작업에 대한 공법 절차 이다. 작업순서가 적절한 것은? 가. 상시개방 선로용개폐기 투입 나. 공사용개폐기 설치 다. 점퍼선 절단(공사용개폐기 설치 전주) 라. 공사용개폐기 개방 마. 검상 확인 및 공사용개폐기 투입 바. 점퍼선 절단(공사 구간 전원측)
나-마-다-가-라-바
44
다음 중 무정전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공사용개폐기 공법은 공사구간 전원측에 공사용개폐기를 설치하여 부하전환을 시행 한 후 공사구간의 부하측 점퍼선을 간접활선 절연스틱으로 절단하여 사선구간을 만드는 공종이다.
45
공사용개폐기 공법 작업절차 중 검상 확인 및 공사용개폐기 투입 설명 중 잘못된 것은?
검상결과 상이 바뀌었을 경우에는 지상에서 상을 맞춘다.
46
이동용변압기차 공법에서 설치 작업에 대한 공법 절차이다. 작업순서가 적절한 것은, 가. 검상 및 저압차단기 투입 나. 저압케이블 설치 다. 특고압 개폐기 투입 라. 주상변압기 2차 인하선 분리 마. 특고압 입상케이블 설치 바. 주상변압기 COS 개방
마-나-다-가-라-바
47
이동용변압기차 공법에서 철거 작업에 대한 공법 절차이다. 작업순서가 적절한 것은? 가. 저압차단기 및 특고압 개폐기 개방 나. 주상변압기 COS 투입 다. 특고압 입상케이블 분리 라. 주상변압기 2차 인하선 검상 및 연결 마. 저압케이블 분리
나-라-가-마-다
48
이동용변압기차량으로 공급 가능하지 않은 용량은?
단상 150KVA
49
바이패스케이블이 60mm2일 경우 공사 가능한 최대 부하 전류는?
180A
50
공사용개폐기 공종 중 지장물 등 현장 여건이 어려우면 공사용개폐기는 몇m 이상에 설치가 가능한가?
1m
51
이동용변압기차 공법에서 입상케이블을 전력선에 연결할 지점의 하부 어느 위치에 케이블 지지대를 설치 하는가?
1m ~ 1.5m
52
이동용변압기차 공법에 사용하는 입상케이블 불량여부를 측정할 계측기는 다음 중 어느 것인지 고르시오?
절연저항 측정기
53
이동용변압기차 공종에서 옳지 않은 것은?
병렬운전 중 주상변압기의 2차 리드선 분리를 중성선을 가장 먼저 분리 한다.
54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케이블 설치 과정에서 옳지 않은 것은?
접속부 청소는 깨끗한 면으로 청소한다.
55
이동용변압기차 공법 중 설명이 틀린 것은?
저압차단기 전, 후 전압차가 10V이상일 경우 즉시 이동용변압기차의 탭을 절환 한다.
56
케이블 인류클램프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
포설한 케이블을 적정하게 전주에 잡아 당겨 멈추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57
2016년 이후 제작된 (주)평일, 디투엔지니어링의 공사용개폐기의 경우 몇 Mpa 이하면 조작 중지인가?
0.01
58
공사용개폐기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검상결과 이상이 없을 경우 작업 책임자의 지시를 받은 작업자가 직접 손을 이용하여 공사용개폐기를 투입한다.
59
공사용개폐기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사활이 공존하는 장소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반드시 활선접근경보기를 착용한다.
60
공사용개폐기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입상케이블은 현재 간접활선으로 연결이 불가능하므로 직접활선을 연결한다.
61
바이패스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특고압 입상케이블 설치시 주작업자는 피박기가 체결된 로터스틱을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 전선 피복을 벗긴다.
62
기계화공간확장 공종 중 간접활선으로 시행 할 수 없는 작업은?
장주변경
63
LP애자 적용방안의 내용 중 적절하지 못한 것은?
Bindless 폴리머 LP애자는 간접활선 시공이 가능하다.
64
기계화공간확장 작업을 위한 작업준비 단계의 내용 중 틀린 것은?
경사 지역, 지면이 평탄하지 않거나 연약한 지반에서 고임목을 사용한다.
65
기계화공간확장 공법을 이용한 어깨쇠(핀완철) 교체의 작업시 사용하는 주요공구, 장비 및 자재가 아닌 것은?
바이패스 점퍼스틱
66
기계화공간확장 어깨쇠(핀완철) 교체 공종의 작업인원 관련하여 틀린 내용은?
지상작업자는 최소 1명 이상이며, 추가 인원 필요시 활선전공 자격 보유자를 투입 해야 한다.
67
다음은 기계화공간확장 어깨쇠(핀완철) 교체 공종의 세부 작업절차이다. 이 중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작업은?
특고압 바인드 절단
68
기계화공간확장 어깨쇠(핀완철) 교체 공종의 작업 내용 중 잘못된 것은?
안전회의시 작업자의 손이 절연스틱의 검정색 주의커버를 넘지 않도록 주지시킨다.
69
기계화공간확장 작업을 위한 안전회의 및 배전센터 작업통보 단계의 내용 중 틀린것은?
활선작업전에 변전소 차단기(CB) 또는 전원측 리크로져(R/C) 등의 재폐로 동작 기능이 정상 가동 상태인지 확인한다.
70
기계화공간확장 어깨쇠(핀완철) 교체 공종의 승강구동설치 작업 내용 중 틀린것은?
승강구동장치 설치는 주작업자가 시행한다.
71
기계화공간확장 어깨쇠(핀완철) 교체 공종의 바인드레스 LP커버 볼트. 너트 및 하부 밴드 제거 작업(바인드레스 LP커버 시공개소)의 순서가 맞는 것은?
C-D-A-B
72
기계화공간확장 어깨쇠(핀완철) 교체 공종의 간접활선용 바인드레스커버(I형) 부착작업 내용 중 맞는 것은?
주작업자와 보조작업자는 핸드스틱, 그랩스틱, D형후크를 사용하여 전선을 아래로 당겨 바인드레스 LP커버에 완전히 삽입한다.
73
기계화공간확장 어깨쇠(핀완철) 교체 공종의 전선분리, 독립형이선장치 철거, 승강구동장치 철거 작업 내용 중 맞는 것은?
주작업자는 전선지지대를 하강하여 전선으로부터 분리 후 철거한다.
74
기계화공간확장 공법에 활용하는 공구(장비)는?
독립형 이선장치
75
다음은 기계화공간확장 핀전주 교체 공종의 세부 작업절차이다. 이 중 마지막에 이루어지는 작업은?
신설전주 어깨쇠(완철) 및 애자 설치
76
기계화공간확장 핀전주 교체 공종의 신설전주, 승강구동장치 설치 작업 내용 중 틀린 것은?
간접활선 기계화 공간확장 전주교체 작업범위는 직선 전선로 전. 후 2m 이내이며, 이때 2m 초과시는 “간접활선 공구사용 전주방호”를 적용한다.
77
기계화공간확장 핀전주 교체 공종의 어깨쇠(판완철) 및 애자 철거, 신설에 관한 작업 내용 중 틀린 것은?
주작업자와 보조작업자는 LP애자를 신설한다. 간접활선용 바인드레스 LP커버(II형)의 경우 LP애자에 미리 결합한다.
78
기계화공간확장 장주변경 공종의 주요공구가 아닌 것은?
간접활선용 바인드 커터
79
기계화공간확장 공법으로 장주변경시 핀장주 철거 작업에 세부 작업 순서가 맞는 것은?
2-4-1-3
80
기계화공간확장 장주변경 공종의 독립형이선장치 설치 작업 내용이 아닌 것은?
보조암에 전선을 이선할 장주형태 및 전선간격에 맞게 절연로라를 설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