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는?
갈등
2
기능에 따라 품사를 분류할 때 다음의 역할을 하는 품사의 이름으로 알맞은 것은?
수식언
3
다음 글을 요약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욱진이는 운동을 잘한다
4
다음 중 형태가 변하는 단어만 알맞게 고른 것은?
크다, 않다, 따뜻하다, 만들다
5
다음 장면의 주된 갈등 양상은?
용왕과 신하의 외적 갈등
6
요악의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구체적인 예시를 되도록 많이 활용하여 이해하기 쉽게 내용을 구성한다
7
희곡을 특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거의 없다
8
다음과 같은 글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영화나 드라마 상영을 목적으로 한다
9
다음 글에서 밑줄 친 부분이 어색한 이유는?
통일성에 어긋나기 때문에
10
각 나라의 언어에서는 (손)을 어떤 단어를 사용하여 적고 어떤 말소리로 부르고 있는지를 보고 보인 학생들의 반응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준영 : 손을 ‘손’이라 부른 데에는 필연적인 이유가 있었을 거야. 그걸 한 번 찾아봐야겠어
11
다음 글에 활용된 요약하기의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재구성하기
12
다음 중 희곡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대화 : 관객에게는 들리지만 상대역에게는 들리지 않는다는 약속 아래 하는 말
13
다음과 관련된 언어의 본질로 알맞은 것은?
언어의 기호성
14
다음 문장을 보고 관형사와 부사를 알맞게 찾은 것은?
3
15
다음 글에 나타난 갈등 유형은?
인물과 인물의 갈등
16
다음의 수사 중에 수량을 나타내는 단어와 순서를 나타내는 단어를 짝지은 것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삼(3) - 순서
17
개요 작성 시, 점검할 사항이 아닌 것은?
중요한 순서대로 내용을 배열하였는가?
18
다음 밑줄 친 단어가 가리키는 바로 알맞이 않은 것은?
나 : 수환
19
원작이 있는 작품을 희곡으로 각색할 때 고려할 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독백으로 처리해야 할 대사는 대화로 바꾸어 각색한다
20
다음 단어를 동사와 형용사로 알맞게 구별한 것은?
2
21
다음 글에서 흐름상 삭제해도 될 문장을 고르면?
5
22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언어는 그 사회의 문화를 반영하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눈’과 관련된 말이, 이누이트족은 ‘농사’와 관련된 말이 많다
23
다음과 같이 글의 개요를 작성하는 글쓰기 단계는?
계획하기
24
<토끼와 자라>의 배역에 대해 정리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용왕 : 토끼에게 연민을 느껴 배 가르는 것을 주저하는 모습을 연기한다
25
다음 문장 중 감탄사가 없는 문장은?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인지 모르겠어
26
등장인물의 말과 행동을 통해 알 수 있는 인물의 특성을 정리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27
다음을 통해 알 수 있는 언어의 본질로 알맞은 것은?
언어의 역사성
28
다음 글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원주민인 이누이트인들은 남극과 북극에 모두 산다
29
소설에서 갈등의 역할로 볼 수 없는 것은?
글쓴이의 의도를 직접 전달한다
30
다음 중 명사가 아닌 것은?
맛있다
31
다음과 관련된 언어의 본질로 알맞은 것은?
언어의 창조성
32
다음 () 안에 단어 중 조사가 아닌 것은?
친구가 (새) 가방을 샀다
33
다음 언어의 본질 중 ‘언어의 사회성’ 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약속
34
다음 글을 쓴 목적으로 적절한 것은?
정부가 극지 연구에 투자해야 함을 주장하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