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다음 글에 활용된 요약하기의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재구성하기
2
다음 글을 요약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욱진이는 운동을 잘한다
3
다음 글을 쓴 목적으로 적절한 것은?
정부가 극지 연구에 투자해야 함을 주장하기 위해
4
다음 글의 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원주민인 이누이트인들은 남극과 북극에 모두 산다
5
다음 글에서 밑줄 친 부분이 어색한 이유는?
통일성에 어긋나기 때문에
6
다음과 같이 글의 개요를 작성하는 글쓰기 단계는?
계획하기
7
개요 작성 시, 점검할 사항이 아닌 것은?
중요한 순서대로 내용을 배열하였는가?
8
다음 글에서 흐름상 삭제해도 될 문장을 고르면?
5
9
요악의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구체적인 예시를 되도록 많이 활용하여 이해하기 쉽게 내용을 구성한다
10
소설에서 갈등의 역할로 볼 수 없는 것은?
글쓴이의 의도를 직접 전달한다
11
다음 글에 나타난 갈등 유형은?
인물과 인물의 갈등
1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는?
갈등
13
다음 장면의 주된 갈등 양상은?
용왕과 신하의 외적 갈등
14
희곡을 특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거의 없다
15
원작이 있는 작품을 희곡으로 각색할 때 고려할 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독백으로 처리해야 할 대사는 대화로 바꾸어 각색한다
16
다음 중 희곡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대화 : 관객에게는 들리지만 상대역에게는 들리지 않는다는 약속 아래 하는 말
17
등장인물의 말과 행동을 통해 알 수 있는 인물의 특성을 정리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18
<토끼와 자라>의 배역에 대해 정리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용왕 : 토끼에게 연민을 느껴 배 가르는 것을 주저하는 모습을 연기한다
19
다음과 같은 글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영화나 드라마 상영을 목적으로 한다
20
다음 중 형태가 변하는 단어만 알맞게 고른 것은?
크다, 않다, 따뜻하다, 만들다
21
기능에 따라 품사를 분류할 때 다음의 역할을 하는 품사의 이름으로 알맞은 것은?
수식언
22
다음 중 명사가 아닌 것은?
맛있다
23
다음 밑줄 친 단어가 가리키는 바로 알맞이 않은 것은?
나 : 수환
24
다음의 수사 중에 수량을 나타내는 단어와 순서를 나타내는 단어를 짝지은 것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삼(3) - 순서
25
다음 단어를 동사와 형용사로 알맞게 구별한 것은?
2
26
다음 문장을 보고 관형사와 부사를 알맞게 찾은 것은?
3
27
다음 () 안에 단어 중 조사가 아닌 것은?
친구가 (새) 가방을 샀다
28
다음 문장 중 감탄사가 없는 문장은?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인지 모르겠어
29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언어는 그 사회의 문화를 반영하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눈’과 관련된 말이, 이누이트족은 ‘농사’와 관련된 말이 많다
30
다음과 관련된 언어의 본질로 알맞은 것은?
언어의 기호성
31
각 나라의 언어에서는 (손)을 어떤 단어를 사용하여 적고 어떤 말소리로 부르고 있는지를 보고 보인 학생들의 반응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준영 : 손을 ‘손’이라 부른 데에는 필연적인 이유가 있었을 거야. 그걸 한 번 찾아봐야겠어
32
다음 언어의 본질 중 ‘언어의 사회성’ 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약속
33
다음을 통해 알 수 있는 언어의 본질로 알맞은 것은?
언어의 역사성
34
다음과 관련된 언어의 본질로 알맞은 것은?
언어의 창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