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자연 현상을 관찰하거나 실험하여 얻은 자료를 종합하고 분석하여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을 이끌어 내는 탐구 방법
귀납법
2
ㄱ - 관찰 및 자료 수집 방법 고안 - 관찰 및 자료 수집 - ㄴ - ㄷ
문제 인식
3
( )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어떤 사실이나 자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설정한 일종의 가정으로 ( )이 관찰이나 실험 등에 의해 충분히 검증되면 과학 이론이 된다
가설
4
중생대-신생대에 멸종된 생물 (공룡류, 조류, 도마뱀류, 양서류, 포유류, 암모나이트류, 어류)
공룡류
5
추론할 수 있는 사실은?
중생대 - 신생대 경계에서 해양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났다.
6
지각에 포함된 평균 함량이 극히 적어 지표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으나 그 함량이 중생대 - 신생대 경계층에서만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또한 이 원소는 운석에 포함된 함량이 지각에 1만배 이상 높게 나타난다.
이리듐(lr)
7
이것은 운석이 지표면과 충돌할 때 해당 충돌부가 초고온 초고압 환경이 되어 순간적으로 지표의 ~~~
텍타이트
8
지각에 포함된 이리듐 평균 함량(ppb), 중생대-신생대 경계층에 포함된 이리듐의 평균 함량은 지각의 몇배
0.1ppb
9
1. 유공충 화석의 급격한 변화 2. 이리듐 함량 급격히 증가 3. 텍타이드와 강력한 충돌에 의해 석영 알갱이 발견
운석 충돌로 인한 전 지구적 규모의 급격한 환경 변화
10
1. 빙하기 끝 기온 상승 2. 삼림 한계선 북상 3. 소화× 풀 발견
급격한 환경 변화로 인한 먹이 경쟁 심화
11
1. 매머드 화석에 화살촉 발견 2. 인류 번성
인간에 의한 사냥
12
생존 기간 짧 분포 지역 넓 / 공룡 암모나이트 :
표준 화석
13
급격히 번성
조류
14
옳은것
ㄱㄷㄹ
15
대륙이 하나면 대륙붕 면적 (?) 대륙이 하나면 (?)의 방향 변화 대륙이 하나면 대륙 중심부 강수량 (?)
감소
16
이탄 농도 높 - 기온(?) 이탄은 (?)를 일으킴 이탄 농도 증가 원인 (?)
높았다
17
온실 기체
이산화탄소
18
지구 온난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체와 이유
이산화탄소
19
대기중에 (?)가 증가하여 일어난다 증발량 강수랑 (?) (?) 기후로 변화 중 (?)이 고위도로 확산 (?)가 변해 식량 생산 변화
온실 기체
20
기상 기후
기상은 시시각각 변하는 짧은 시간 동안 대기 현상이고 기후는 장기간의 대기 현상을 종합한 것이므로 포괄적인 개념은 기후이다
21
난류성 어종 증/ 감 겨울 길이 짧/ 길 열대야 일수 증/ 감 해양 산성화/ 알칼리화 봄꽃 개화 시기 빨/늦
증
22
대기 중 (?)농도가 상승 겨울 (?)이 상승 겨울 ㄱ(?)가 짧아짐 봄꽃 (?)시기가 빨라짐 집중 호우, 태풍피해(?) 해수의(?)농도 감소 (?)가 발생
이산화탄소
23
온실효과
온실 기체가 태양에너지는 거의 투과시키고 지표에서 방출되는 지구 복사 에너지는 흡수했다가 재복사하여 지표의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
24
2월 8월 기온 변화
2월의 기온이 더 크게 상승하였다
25
지구 외적 요인
태양 활동의 변화
26
온실 기체의 온실 효과 기여도(오존, 이산화 탄소, 메테인, 수증기)
수증기 이산화탄소 메테인 오존
27
지구 온난화 해결 방법
해양을 비옥화한다. 에너지 효율성을 개선한다.
28
기온 상승 - 해수 온도 A - 해수의 이산화 탄소 용해율 B - 대기 중 이산화 탄소의 양 C
상승 감소 증가
29
ppm, ppb
ppm은 100만분의 일을 나타내는 농도 단위 ppb는 10억 분의 1을 나타내는 농도 단위이다
30
친환경 도시 건설 시 장단점
초기 설치 비용은 많이 들 수 있지만 오염으로 인한 환경 정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임
31
아메르스포르트
가구 전체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사용
32
마스다르
이산화탄소, 쓰레기, 자동차가 없는 도시를 추구
33
프라이부르크
패시브 하우스 주택단지, 태양광 설비
34
베드제드
건물 지붕에 열 교환 환풍기와 태양열 집열판 설치
35
펠트하임
다양한 재생 에너지를 이용, 전력과 난방 100% 공급
36
레비캬비크
지열과 수력
37
소수력발전
댐을 건설하지 않고 작은 하천이나 폭포수를 이용하여 발전
38
수소 연료 전지
수소를 공기 중의 산소와 화학 반응 시켜 전기에너지 생산
39
지열 시스템
땅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기술
40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기술
41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건물 외관에 태양광 발전 모듈 장착
42
솔라 로드
태양광 패널로 도로를 만드는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