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인간의 두뇌를 모델로 만들어진 인공 신경망을 기반으로 하는 기계 학습 기술
딥 러닝
2
주변 상황에 맞추어 스스로 망을 구성하는 네트워크
SON
3
N개의 서로 다른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N-Screen
4
스마트 시티, 스마트 스테이션 등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새로운 변화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시행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사업
지능형 초연결망
5
차세대 고화질 모니터의 해상도를 지칭
4K 해상도
6
각기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연동하거나 컴퓨팅 자원의 동적 할당이 가능하도록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들이 재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나 자원을 연결
인터클라우드 컴퓨팅
7
방화벽과 침입 탐지 시스템 결합 비정상적인 트래픽을 능동적 차단, 격리 등의 방어 조치
IPS
8
오픈 소스 기반 분산 컴퓨팅 플랫폼인 아파치 하둡 기반의 분산 데이터 웨어하우스 프로젝트
타조
9
기업이나 조직 내부의 네트워크와 인터넷 간에 전송되는 정보를 선별하여 수용, 거부, 수정하는 기능을 가진 침입 차단 시스템
방화벽
10
폰과 태블릿의 합성어로 태블릿 기능을 포함한 5인치 이상의 대화면 스마트폰
패블릿
11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를 초고속 인터넷망으로 연결하여 공유함으로써 하나의 고성능 컴퓨터처럼 활용
그리드 컴퓨팅
12
1999년 ISO 15408 표준으로 채택된 정보 보호 제품 평가 기준
CC
13
리스트의 한쪽에서는 삽입, 다른 한 쪽에서는 삭제 작업 FIFO
큐
14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키를 참조하는 속성 또는 속성들의 집합
외래키
15
데이터 레코드를 빠르게 접근하기 위해 <키 값, 포인터> 쌍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구조
인덱스
16
다양한 장비에서 발생하는 로그 및 보안 이벤트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보안 솔루션
SIEM
17
각종 센서로 수집한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한 네트워크
USN
18
임의의 길이의 입력 데이터나 메시지를 고정된 길이의 값이나 키로 변환
해시
19
대량의 데이터를 분산하여 데이터에 내재된 변수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여 일정한 패턴을 찾아냄
데이터 마이닝
20
여러 개의 독립된 통신장치가 블루투스 기술이나 UWB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
피코넷
21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내부 PC의 MAC 주소를 IP 관리 시스템에 등록한 후 일관된 보안 관리 기능 제공하는 보안 솔루션
NAC
22
테슬라 일론머스크가 사람의 뇌와 컴퓨터를 결합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2017년 설립한 회사 작은 전극을 뇌에 이식함으로써 생각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신경 레이스 개발중
뉴럴링크
23
플래시 애니메이션 기술과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 기술을 통합하여 기존 HTML보다 역동적이고 인터랙티브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신개념 플래시 웹 페이지 제작 기술
RIA
24
일반 방화벽이 탐지하지 못하는 SQL 삽입, Cross-Site Scripting 등의 웹 기반 공격을 방어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웹 서버에 특화된 방화벽
WAF
25
대상을 평면에 출력하는 것이 아닌 손으로 만질 수 있는 실제 물체로 만들어내는 것
3D Printing
26
콘텐츠 자체의 정보와 라우터 기능만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
NDN
27
다차원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로부터 통계적인 요약 정보를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활용
OLAP
28
초정밀 반도체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센서, 액추에이터 등 기계 구조를 다양한 기술로 미세 가공하여 전기기계적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 초미세 장치
MEMS
29
기본 테이블의 기본키를 구성하는 어떤 속성도 NULL 값이나 중복값을 가질 수 없다는 규정
개체 무결성
30
개인정보 침해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핵심 기술 다양한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허 기술을 통칭
PET
31
외래키 값은 Null이거나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키 값과 동일해야 함
참조 무결성
32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입장에서는 악의적이지 않은 유용한 소프트웨어라고 주장할 수 있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유용할 수도 있고 악의적일 수도 있는 애드웨어, 트랙웨어, 기타 악성 코드나 악성 공유웨어
그레이웨어
33
소비자와 소비자의 파트너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로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를 구성하여 여러가지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는 ICT 기술
MCC
34
네트워크를 컴퓨터처럼 모델링하여 여러 사용자가 각각의 소프트웨어 네트워킹을 가상화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SDN
35
각종 컴퓨팅 자원을 중앙 컴퓨터에 두고 인터넷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화된 환경
클라우드 컴퓨팅
36
한 릴레이션 내에 있는 속성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키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튜플에 대해 유일성 만족, 최소성 불만족
슈퍼키
37
데이터 센터의 모든 자원을 가상화하여 인력의 개입 없이 소프트웨어 조작만으로 관리 및 제어되는 데이터 센터
SDDC
38
한 번의 기록만으로 자료를 영구 보관할 수 있는 광 저장장치
M-DISC
39
하드디스크나 주변장치 없이 기본적인 메모리만 갖추고 서버와 네트워크로 운용되는 개인용 컴퓨터
신 클라이언트 PC
40
함수적 종속성 등의 종속성 이론을 이용. 잘못 설계된 관계형 스키마를 더 작은 속성의 세트로 쪼개어 바람직한 스키마로 만들어 가는 과정
정규화
41
메모리와 레디스터의 합성어 전류의 방향과 양 등 기존의 경험을 모두 기억하는 특별소자
멤리스터
42
기본키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키
대체키
43
중앙 관리자나 중앙 데이터 저장소가 존재하지 않고 P2P 망 내의 참여자들에게 모든 거래 목록이 분산 저장되어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디지털 원장(=DLT)
분산 원장 기술
44
특정 시간이나 환경 조건이 갖추어지면 스스로 형태를 변화시키거나 제조되는 자가 조립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3D Printing하는 기술
4D Printing
45
개인 정보를 활용하는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도입 및 기존 정보시스템의 중요한 변경 시 시스템의 구축, 운영이 기업의 고객은 물론 국민의 사생활에 미칠 영향에 대해 미리 조사.분석.평가하는 제도
PIA
46
사내 직원이 사용하는 PC와 네트워크 상의 모든 정보를 검색하고 메일, 메신저, 웹하드, 네트워크 프린터 등의 사용자 행위를 탐지, 통제하여 내부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사전에 방지
DLP
47
일반 블루투스와 동일한 2.4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만 연결되지 않은 대기 상태에서는 절전모드를 유지
BLE
48
기업이나 조직이 자체적으로 모든 컴퓨팅 자원을 구축한 환경
온-프레미스 컴퓨팅
49
물리적으로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구축하지 않아도 실제 구축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가상 시스템
VDW
50
재난 현장과 같이 별도의 고정된 유선망을 구축할 수 없는 장소에서 모바일 호스트 만을 이용하여 구성한 네트워크
애드 혹 네트워크
51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들 중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속성들의 부분집합 기본키로 사용할 수 있는 속성들
후보키
52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로 디스크 배열을 구성하여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데이터 블록들을 서로 다른 디스크들에 분산 저장할 경우, 그 블록들을 여러 디스크에서 동시에 읽거나 쓸 수 있으므로 디스크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
RAID
53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
하둡
54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많은 사건들 중 의미가 있는 것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사건 발생 조건을 정의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CEP
55
무선 통신을 이용한 기계와 기계 사이의 통신
M2M
56
리스트의 한쪽 끝으로만 자료의 삽입, 삭제 LIFO
스택
57
지리적인 자료를 수집.저장.분석.출력할 수 이ㅛ는 컴퓨터 응용 시스템
GIS
58
TV 방송 시청 시 방송 내용을 공유하며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의미
컴패니언 스크린
59
범용 인터페이스 규격인 USB의 표준 중 하나
C형 유에스비
60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고 사용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소프트웨어를 안정적으로 사용 및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소스 프로그램과 기술 정보 등을 제3자의 기관에 보관하는 것
소프트웨어 에스크로
61
ITU-T에서 개발하고 있는 유선망 기반의 차세대 통신망 유선망뿐 아니라 이동 사용자를 목표로 하며, 이동통신에서 제공하는 완전한 이동성 제공을 목표로 개발
NGN
62
고주파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RFID기술의 일종
NFC
63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 일반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일반 구역과 보안이 필요한 보안 구역으로 분할하여 관리
트러스트존 기술
64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래밍 모델
맵리듀스
65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용량의 테이블이나 인덱스를 작은 논리적 단위인 ( )으로 나누는 것
파티션
66
관계 데이터의 연산을 표현하는 방법, 관계 데이터 모델의 제안자인 코드가 수학의 술어 해석에 기반을 두고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위해 제안
관계해석
67
스마트 그리드와 같은 장거리 무선 통신을 필요로 하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
와이선
68
컴퓨터 시스템의 비정상적인 사용, 오용, 남용 등을 실시간으로 탐지
IDS
69
일련의 데이터를 정의하고 설명해주는 데이터
메타 데이터
70
의료 진단 등과 같은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수행하는 고도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
전문가 시스템
71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기술 중 하나 파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신호를 보냄으로써 여러 대의 단말기가 동시에 통신 회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
WDM
72
짧은 거리에서 많은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낮은 전력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기술(=디지털 펄스)
UWB
73
현실속의 사물을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한 모델
디지털 트윈
74
P2P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 금융 거래 정보를 온라인 네트워크 참여자의 디지털 장비에 분산 저장
블록체인
75
인간의 두뇌와 같이 컴퓨터 스스로 추론, 학습, 판단 등 인간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
AI
76
웨어러블 또는 몸에 심는 형태의 센서나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
WBAN
77
정규화를 거치지 않으면 데이터베이스 내에 데이터들이 불필요하게 중복되어 릴레이션 조작 시 예기치 못한 곤란한 현상
이상
78
판매 계획 또는 배포 계획은 발표되었으나 실제로 고객에게 판매되거나 배포되지 않고 있는 소프트웨어
증발품
79
양자 통신을 위해 비밀키를 분배하여 관리
QKD
80
차세대 이동통신, 홈네트워킹, 공공 안전 등 특수 목적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네트워크 기술
메시 네트워크
81
기존의 관리 방법이나 분석 체계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막대한 양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집합
빅데이터
82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정조기술 아키텍쳐
SOA
83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기술
매시업
84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하여 정보를 읽고 이해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이해하기 쉬운 의미를 가진 차세대 지능형 웹
시맨틱 웹
85
소프트웨어의 여러 기능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소프트웨어
SaaS
86
휴대형 기기로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
모바일 컴퓨팅
87
다양한 채널에서 소비자와 상호 작용을 통해 생성된 것 데이터에 새로운 가치가 더해짐
브로드 데이터
88
사용자에게 접근이 허용된 자료만을 제한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하나 이상의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된, 이름을 가지는 가상 테이블
뷰
89
실제 촬영한 화면에 가상의 정보를 부가하여 보여주는 기술(=AR)
증강현실
90
긴 시간동안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장애 발생 시 즉시 다른 시스템으로 대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매커니즘
HA
91
Linked data, Open data 합성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웹상에 공개된 연계 데이터
LOD
92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압축하고, 중복된 정보는 중복을 배제하고 새로운 기준에 따라 나누어 저장
데이터 다이어트
93
시스템의 성능 향상, 개발 및 운영의 편의성 등을 위해 정규화된 데이터 모델을 통합, 중복, 분리
반정규화
94
인터넷 등 통신 사업자의 공중 네트워크와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마치 자신의 전용 회선을 사용하는 것처럼 해줌
VPN
95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웹 서비스를 그리드 상에서 제공하기 위해 만든 개방형 표준
OGSA
96
디지털 정보 자원을 장기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작업 아날로그 콘텐츠는 디지털 변환 후 압축 디지털 데이터는 메타 데이터를 만들어 DB화 함
디지털 아카이빙
97
후보키 중에서도 특별히 선정된 주키
기본키
98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
관계대수
99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물리적인 코어 네트워크 인프라를 독립된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하여 각각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술
네트워크 슬라이싱
100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실세계와 가상 세계의 다양한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
I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