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お問い合わせ
ログイン
위험물의 시설기준(정명진)
  • 김득환

  • 問題数 57 • 3/23/2024

    問題一覧

  • 1

    13. 50°C에서 유지하여야 할 알킬알루미늄 운반용기의 공가용저키준으로 옳은 것은?

    5% 이상

  • 2

    22.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시 • 도의 조례가 정하는 바에 따라 시 • 도지사의 승인을 받아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90일 이내의 기간 동안 임시로 취급하는 경우에는 저장소 등이 아닌 장소에서 취급할 수 있다

  • 3

    25. 위험물을 저장한 탱크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Slop over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위험물은?

    제4류 위험물

  • 4

    31. 옥외탱크저장소의 방유제는 탱크의 지름이 15m 이상인 경우 그 탱크의 측면으로부터 탱크 높이의 얼마 이상인 거리를 확보하여야 하는가?

    ½ 이상

  • 5

    35. 위험물의 운반용기 외부에 표시하여야 하는 주의사항을 틀리게 연결한 것은?

    과염소산 — 물기엄금 및 가연물 접촉주의

  • 6

    41. 운송책임자의 감독 지원을 받아 운송하여야 하는 위험물은?

    알킬리튬

  • 7

    47. 위험물 제조소등에 경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대상은?

    지정수량의 10배 이상

  • 8

    48. 다음 중 위험물 제조소 등에 설치하는 경보설비의 종류가 아닌 것은?

    자동화재속보설비

  • 9

    58. 지정수랑의 10배인 위험물을 옥내저장소에 저장할 때 보유공지는?

    1m 이상

  • 10

    63. 예방규정을 정하여야 하는 제조소 등의 관계인은 예방규정을 정하여 시 • 도지사에게 언제까지 제출하여야 하는가?

    제조소 등의 사용 시작 전

  • 11

    64. 다음 중 정기검사의 대상인 제조소 등에 해당하는 것은?

    액체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50만리터 이상의 옥외탱크저장소

  • 12

    65. 다음 위험물 제조소 등의 정기점검 대상이 아닌 것은?

    옥내탱크저장소

  • 13

    68. 특정옥외탱크 저장소에 구조안전점검은 제조소 등의 설치허가에 따른 완공검사필증을 교부받은 날부터 몇 년 이내에 해야 하는가?

    12년

  • 14

    69. 제4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 또는 일반 취급소에서 지정수량의 몇 배 이상일 때 자체소방대를 두어야 하는가?

    3000배

  • 15

    72. 화학소방자동차의 소화능력 및 설비의 기준이 아닌 것은?

    이산화탄소를 방사하는 차의 탑재능력은 1000kg 이상

  • 16

    77. 위험물 제조소의 환기설비를 하고자 한다. 이때 바닥면적이 60m²일 때 급기구의 면적은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300cm² 이상

  • 17

    84. 옥내저장소의 바닥을 반드시 물이 스며들지 않는 구조로 하여야 하는데 그러하지 않는 것은?

    유기과산화물

  • 18

    85.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위험물의 운반에 관한 기준에 따라 차광성이 있는 피복으로 가리는 조치를 하여야 하는 위험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제1석유류

  • 19

    86. 옥외위험물저장탱크 중 압력탱크의 수압시험방법으로 옳은 것은?

    최대상용압력의 1.5배의 압력으로 10분간 시험

  • 20

    87. 이동탱크저장소의 상용압력이 20kPa 초과할 경ㅈ우 안전장칮의 작동압력은?

    상용압력의 1.1배 이하

  • 21

    89. 간이저장탱크의 수압시험방법으로 옳은 것은?

    70kPa의 압력으로 10분간 수압시험을 실시하여 새거나 변형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 22

    90. 다음은 위험물제조소에 설치하는 안전장치 중 위험물의 성질에 따라 안전밸브의 작동이 골란햐 가압설비에 한하여 설치하는 것은?

    파괴판

  • 23

    91. 알킬알루미늄 등의 이동탱크저장소에 있어서 이동저장탱크로부터 알킬알루미늄 등을 꺼낼 때에는 동시에 몇 kPa 이하싀 압력으로 불활성의 기체를 봉입하여야 하는가?

    200

  • 24

    94. 위험물제조소의 옥외에 있는 위험물을 취급하는 취급탱크의 용량이 1000L 2기와 2000L 1기의 용량인 탱크 주의에 설치하여야 하는 방유제의 최소 기준 용량은?

    1200L

  • 25

    98. 용량이 1000만L 이상인 옥외저장탱크의 주위에 설치하는 방유제에는 당해 탱크마다 간막이 둑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간막이 둑의 용량은 간막이 둑 안에 설치된 탱크의 용량의 5% 이상일 것

  • 26

    101. 위험물의 성질에 따른 제조소의 특례를 적용하지 않는 위험물은 어느 것인가?

    디에틸에테르

  • 27

    104. 다음 중 소화난이도 I등급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지정수량 100배 이상 옥내저장소

  • 28

    106. 다음 위험물 중 옥외저장소에 저장할 수 없는 위험물은?

    휘발유

  • 29

    107. 옥외저장소에 선반을 설치하는 경우 선반의 높이는?

    6m 이하

  • 30

    110. 가솔린 20,000리터를 저장하는 내화구조가 아닌 옥내저장소의 보유공지는 몇 m 이상을 확보하여야 하는가?

    10m

  • 31

    128. 지하탱크저장소의 배관은 탱크의 윗부분에 설치하여야 하는데 탱크의 직근에 유효한 제어밸브를 설치하여야 하는 것이 아닌 것은?

    제1석유류

  • 32

    130. 지하탱크저장소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지하저장탱크 윗부분과 지면과의 거리는 0.6m 이상일 것

  • 33

    134. 소화난이도 등급 III의 알킬알루미늄을 저장하는 이동탱크저장소에 자동차용 소화기 2개이상을 설치한 후 추가로 설치하여야 할 마른 모래의 양은 몇 L인가?

    150L 이상

  • 34

    이동탱크저장소의 방호틀의 두께 몇 mm 이상의 강판으로 제작하여야 하는가?

    2.3mm 이상

  • 35

    139. 제3류 위험물 중 알킬알루미늄을 저장하는 이동탱크저장소의 탱크용량이 5,000L일 때 탱크의 칸막이는 최소 몇 개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2

  • 36

    142. 지하암반저장소의 지하공동은 암반투수계수가 몇 (m/sec) 이하인 천연암반 내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1/10⁵

  • 37

    위험물 간이저장탱크의 밸브 없는 통기관의 설치기준으로 맞지 않는 것은?

    통기관은 지름 30mm 이상으로 한다

  • 38

    151. 주유취급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주유원 간이대기실의 바닥면적은 5m² 이하일 것

  • 39

    154. 등유를 취급하는 고정주유설비의 펌프기기는 주유관 선단에서의 최대 토출량이 몇 L/min 이하인 것으로 하여야 하는가?

    80

  • 40

    170. 이송취급소 내의 지상에 설치된 배관 등은 전체 용접부의 몇 % 이상을 발췌하여 비파괴시험을 실시하는가?

    20

  • 41

    171. 이송취급소에서 이송기지 배관의 최대 상용압력이 0.5 MPa일 때 공지의 너비는?

    9m 이상

  • 42

    173.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이송취급소에서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건축물(지하가 내의 건축물은 제외)과의 안전거리로 맞는 것은?

    1.5m 이상

  • 43

    174. 이송취급소의 배관에는 긴급차단밸브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시가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몇 km의 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4km

  • 44

    175. 열처리작업 또는 방전가공을 위한 위험물을 취급하는 일반취급소로서 지정수량 30배 미만에는 특례기준이 적용되는데 이때 제4류 위험물은 인화점이 몇 °C 이상인가?

    70°C

  • 45

    177. 스프링크려설비의 가지배관을 신축배관으로 하는 경우 틀린 것은?

    최고사용압력은 1.5MPa 이상이어야 하고, 최고사용압력이 1.5배의 수압에 변형 • 누수되지 아니할 것

  • 46

    178. 위험물 제조소 등에 옥외소화전을 4개 설치하고자 할 때 필요한 수원의 양은 얼마인가?

    54m³ 이상

  • 47

    179. 제조소에 전기설비가 설치된 경우 면적 500m² 라면 소형 수동식 소화기의 설치개수는?

    5개 이상

  • 48

    180. 위험물제조소등의 소화설비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저장소의 건축물은 외벽이 내화구조인 것은 연면적 200m²를 1소요단위로 할 것

  • 49

    184. 이송취급소의 철도부지, 매설배관의 외면과 지표면과의 거리는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2

  • 50

    186. 다음건물의 옥내저장소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하나의 저장창고의 바닥면적 합계는 1,500m² 이하로 하여야 한다

  • 51

    192. 다음 중 방파판을 설치하여야 하는 이동저장탱크의 용량 기준은?

    2,000L

  • 52

    194. 고객이 직접 주유하는 주유취급소의 셀프용 고정급유설비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급유 호스의 선단부에 자동개폐장치를 부착한 급유노즐을 설치할 것

  • 53

    203. 옥내저장소의 보유공지는 지정수량 20배 초과 50배 이하의 위험물을 옥내저장소 동일부지에 2개 이상 인접할 경우 보유공지 너비를 ⅓으로 감축한다. 이때 감축할 수 있는 공지의 너비는 얼마인가?

    3m 이상

  • 54

    204. 다음의 위험물을 옥내저장소에 저장하는 경우 옥내저장소의 구조가 벽 • 기둥 및 바닥이 내화구조로 된 건축물이라면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규정하는 보유공지를 확보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글리세린 15,000L

  • 55

    207. 옥내저장소 바닥에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조를 해야 할 위험물이 아닌 것은?

    트리니트로톨루엔

  • 56

    209. 옥외저장탱크에 저장하는 위험물 중 방유제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이황화탄소

  • 57

    228. 다음 중 하나의 옥내저장소에 제5류 위험물과 함께 저장할 수 있는 위험물은?(단, 위험물을 유별로 정리하여 저장하는 한편, 서로 1m 이상의 간격을 두는 경우이다)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또는 이를 함유한 것 이외의 제1류 위험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