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운학제
  • ユーザ名非公開

  • 問題数 29 • 9/8/2023

    記憶度

    完璧

    4

    覚えた

    12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뉴웰의 파워법칙이란?

    연습량의 증가는 운동속도 증가와 선택 반응시간 감소

  • 2

    맥길의 고원의 원인

    상한효과: 너무 쉬운 과제, 하한효과: 너무 어려운 과제

  • 3

    운동학습의 과정 뉴웰의 신체의 움직임 분류

    절대적 운동, 상대적 운동, 공통적 운동

  • 4

    피츠와 포스너의 단계(정보처리 관점)

    인지 단계, 고정화 단계, 자동화 단계

  • 5

    젠타일의 단계

    움직임 개념 습득 단계, 고정화 및 다양화 단계

  • 6

    번스타인의 단계(자유도 활용 정도)

    자유도 고정, 자유도 풀림, 반작용의 활용

  • 7

    뉴웰의 단계(협응 구조 발달)

    협응 단계, 제어 단계, 기술 단계

  • 8

    움직임 시작에 사용되는 중추신경계로부터의 운동 명령 관련 기억

    기억흔적

  • 9

    움직임이 시작된 후 신체 내적 정보와 외적인 정보를 통해 지속적으로 오류를 탐지하고 수정하도록 하는 지각 정보 관련 기억

    지각흔적

  • 10

    슈미트의 일반화된 운동 프로그램 불변 매개변수/가변 매개변수

    불변: 요소의 순서 시상 상대적인 힘, 가변: 전체 힘 전체 지속시간 근육 선택

  • 11

    도식이론의 운동수행 정보의 근원

    초기조건, 반응명세, 감각귀결, 실제결과

  • 12

    구획연습과 무선연습

    구획: 각각 할당된 시간동안 연습, 무선: 무작위 연습

  • 13

    집중연습과 분산연습

    집중: 연습시간>휴식시간, 분산: 휴식시간>연습시간

  • 14

    전습법과 분습법

    전습: 복잡성이 낮고 조직성 정도가 높은 과제 연습, 분습: 복잡성이 높고 조직성 정도가 낮은 과제 연습

  • 15

    분절화에 의한 분습법 유형

    암기

  • 16

    가이던스 기법(살모니,슈미트와 월터) 가이던스 기법의 목적

    수행 오류 감소, 두려움 감소와 부상 예방

  • 17

    보강 피드백의 분류 뉴웰의 범주화

    정보 피드백(전), 전환 정보(중), 처방 정보(후)

  • 18

    보강피드백의 제공 (결과지식의 제공) 결과지식의 빈도

    상대빈도, 절대빈도

  • 19

    보강피드백의 제공 (결과지식의 제공) 결과지식의 제시방법

    점감결과지식, 요약결과지식, 평균결과지식

  • 20

    보강피드백의 제공 (결과지식의 제공) 지식의 정밀성

    학습자 학습량 고려, 학습 후기로 갈수록 세밀한 결과지식 제공

  • 21

    보강피드백의 제공 (결과지식의 제공) 수용범위 결과지식/역수용범위 결과지식

    수용범위: 수용범위를 벗어났을 때 정보제공, 역수용범위: 수용범위 내에 들어왔을 때 정보제공

  • 22

    보강피드백의 제공 (결과지식의 제공) 제시 시기

    적절한 지연 간격 결정

  • 23

    자기통제 피드백(치비아콥스키와 볼프)

    학습자 스스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정보를 교사에게 요구하여 획득, 학습자의 인지적 노력 강조, 능동적

  • 24

    파지의 영향 요인

    운동 과제 특성, 환경 특성, 학습자의 특성, 연습과 파지

  • 25

    파지점수

    절대파지점수, 상대파지점수

  • 26

    운동학습과 전이 (전이의 형태)

    정적전이, 부적전이

  • 27

    가네: 과제의 복잡성

    수평적 전이: 복잡성 정도가 유사한 과제의 전이, 수직적 전이: 더 복잡한 과제에 전이

  • 28

    전이의 측정 (전이검사 유형)

    암기

  • 29

    시각차단기법

    시간차단기법: 숙련자가 초보자보다 시각 정보로부터 의미있는 정보를 빨리 추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간차단기법: 어떠한 단서 정보에 의존하는지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