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뇌는 ( ), ( ), ( )라고 하는 세부분으로 대분된다
후뇌, 중뇌, 전뇌
2
( ): 가장 아래쪽에 있으면서 진화론적 관점에서 가장 오래된 부분으로 ( ), ( ), ( )를 품고있다
후뇌, 연수, 교뇌, 소뇌
3
뇌의 가장 아래쪽 부분인 ( )에는 숨쉬기와 심박률같은 기본적 신체기능을 통제하는 구조물이 들어 있다.
후뇌
4
( ): 후뇌에 들어 있는 구조물로 심장박동 과 호흡 같은 기본적인 생존 기능을 조절에 관여함
연수
5
( ): 후뇌에 들어 있는 구조물로 각성상태와 수면의 조절에 관여함
교뇌
6
( ): 아래쪽에 있으면서 척수를 뇌의 위쪽에 있는 영역에다 연결시켜 주는 줄기에 해당하는 부분
뇌간
7
( ): 후뇌 속 구조물로 협응과 균형 통제에 관여하는 부분
소뇌
8
( )는 후뇌와 전뇌 간에 오가는 전갈을 중계하는 신경통로와 자율적인 움직임을 통제하는 구조물을 담고 있다.
중뇌
9
( )은 척수의 꼭대기에서 중뇌의 끝까지 이어진다. 척수와 뇌의 상부를 연결하는 셈이다.
뇌간
10
( ): 뇌속에서 후뇌의 위쪽을 전뇌의 아래쪽과 이어 주는 부분
중뇌
11
( ): 주의, 경계, 각성 등의 상태 조절에 개입되어 있는 영역으로 수많은 신경세포가 고치 모습의 망을 이루고 있음
망상체
12
( ):뇌에서 가장 크고 가장 위쪽에 위치한 부분으로 시상, 시상하부, 변연계, 기저핵 그리고 대뇌피질이 들어 있는 곳
전뇌
13
( ): 전뇌의 구조물중 하나로 감각 정보를 대뇌피질로 배분하는 중계소 역할 그리고 각성 및 수면상태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함
시상
14
뇌에서 가장 큰 부분인 ( )는 사고, 문제해결, 언어구사, 기획, 기억 등 고차적인 정신기능을 통제한다.
전뇌
15
( ): 전뇌 속에 들어 있는 신경세포의 조직으로 몸놀림과 협응 제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
기저핵
16
( ): 전뇌에 있는 완두콩 크기의 구조물로 체온과 번식, 정서 상태와 공격성, 그리고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같은 생존에 중요한 여러 가지 신체 기능 조절에 관여함
시상하부
17
( ): 전뇌에 있는 해마, 편도체, 시상의 일부 그리고 시상하부 등 여러가지 구조물로 구성된 시스템
변연계
18
( ): 변연계를 구성하는 한 세트의 아몬드 모양 구조물로 공격, 분노, 두려움 같은 정서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편도체
19
( ): 변연계를 구성하는 구조물로 기억 생성에 관여함
해마
20
( ): 대뇌 반구를 덮고 있는 회색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주름이 심한 바깥층으로 언어와 사고 같은 고차적인 정신 기능을 통제함
대뇌피질
21
( ): 전뇌에서 부피가 가장 큰 부분으로 좌우 두개의 대뇌 반구로 구성되어 있음
대뇌
22
( ): 대뇌의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있는 덩어리인데 뇌량으로 연결되어 있음
대뇌반구
23
( ): 좌우 반구를 연결시켜 주고 있는 두툼한 신경섬유 다발
뇌량
24
( )는 기억 및 정서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변연계
25
대뇌피질은 네 엽
후두엽, 두정엽, 전두엽, 측두엽
26
대뇌는 두 개의 반구로 나누어 있고 고차원 정신작용을 책임지고 있는 ( )이라고 하는 엷은 겉막으로 덮여 있다.
대뇌피질
27
( ): 대뇌피질의 한 부분으로 대뇌 반구의 뒤쪽에 위치하여 시각 자극을 처리하는 영역
후두엽
28
( ): 대뇌피질의 한 부분으로 후두엽과 측두엽의 위쪽 그리고 전두엽의 뒤쪽과 접하고 있는 영역으로 ( )을 처리함
두정엽, 신체감각
29
( ): 두정엽 내의 일정영역으로 피부를 자극하는 촉감과 압감 그리고 몸놀림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신체 각 부분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는 부분
체성감각피질
30
( ): 대뇌피질에서 대뇌 반구의 앞쪽에 위치한 부분으로, 이 부분이 고차적 정신작용에서 맡은 역할 때문에 뇌를 관리하는 ( )로 간주됨
전두엽, 센터
31
( ): 전두엽 내에서 신체 움직임에 관여하는 영역
운동피질
32
뇌의 좌반구와 우반구는 이 둘을 연결해 주는 신경섬유 다발인 ( ) 덕분에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뇌량
33
대뇌 반구 각각은 ( ), ( ), ( ) ( )이라고 하는 네 부분으로 나뉜다.
후두엽, 두정엽, 측두엽, 전두엽
34
( ): 특정활동을 수행할때, 그리고 그 활동을 관찰만 할 때도 발화하는 신경세포
거울세포
35
대뇌피질의 대부분은 고차적 정신작용을 책임지는 ( )에 해당한다.
결합영역
36
( ): 대뇌피질의 일부로 전두엽의 약간 뒤쪽에서 아래쪽으로 위치한 영역으로 주로 청각 및 시각 자극 처리에 관여함
측두엽
37
( ): 대뇌피질 내에서 감각 정보를 한데 모아 세상사에 관한 지각경험을 만들어 내며 고차적 정신작용을 수행하는 영역
결합영역
38
인간의 뇌는 후뇌, 중뇌, 전뇌로 나뉜다. ( )와 ( )와 ( )로 구성된 후뇌는 아주 기본적인 신체기능을 통제한다. 중뇌 속에는 ( )와 ( ) 간 신호전달 경로로 작용하는 ( )이 들어 있다. ( )에는 자동적 움직임의 제어를 돕는 구조물도 들어 있다. 뇌에서 가장 큰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이 ( )이다. 전뇌를 구성하는 주요 구조물로는 ( )과 ( ), ( ), ( )이 꼽인다.
연수, 교뇌, 소뇌, 후뇌, 전뇌, 신경다발, 중뇌, 전뇌, 시상, 시상하부, 변연계, 대뇌피질
39
( )은 감각정보를 ( )로 전달하며 수면과 각성 상태를 제어하는 일을 돕는다
시상, 대뇌피질
40
( )는 생명보존에 결정적인 여러 신체 활동통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시상하부
41
( )는 편도체, 해마, 시상 및 시사하부의 일부로 구성되며 ( ) 과 ( ) 개입한다.
변연계, 기억, 정서
42
( )은 감각 정보 처리는 물론 사고, 문제해결, 언어구사 같은 고차적인 정신활동을 책임지고 있으며 ( )인 몸놀림도 관장하다.
대뇌피질, 수의적
43
대뇌필질의 각 반구는 네개의 엽- 전두엽, 후두엽, 두정엽, 측두엽으로 구성된다. ( )이라는 신경다발은 양 반구를 연결시켜 준ㄴ 다리 역할을 한다.
뇌량
44
후두엽은 주로 ( )정보처리에 개입하고, 두정엽은 ( )정보처리, 측두엽은 ( )정보처리에 개입한다. 그리고 전두엽은 ( )및 고차적인 정신활동을 관장한다. 그런 고차원적인 정신 활동으로는 기억 속 정보를 ( )하여 그에 따라 활동하는 일, 문제해결, 의사결정 그리고 조화로운 활동수행을 꼽을 수 있다.
시각, 체성감각, 청각, 운동통제,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