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1914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부부가 세르비아계 청년에게 암살당하는 ( )을 계기로 제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났다. 이는 ( ) 국가들 간의 치열한 경쟁과 대립에서 비롯된 결과물이다.
사라예보 사건, 제국주의
2
제 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전승국의 정상들은 전후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 1 )에서는 미국 대통령 ( 2 )이 제안한 ( 3 ), 비밀 외교 종식, 군비 축소 등의 내용을 담은 14개조를 기본 원칙으로 삼았다.
파리강화회의, 윌슨, 민족자결주의
3
(1)은 (2), (3)이 불참하였고 국제 분쟁에 대해 (4)제재 수단이 없었다.
국제연맹, 미국, 소련, 군사적
4
1917년 3월(러시아력 2월) 러시아 노동자들은 식량 배급, 전쟁 중지 등을 요구하며 봉기한 노동자와 군인들은 (1)을 결성하여 전제 군주제를 무너뜨리고 임시 정부를 수립하였다. 이를 (2)(2월 혁명)이라고 한다.
소비에트, 3월혁명
5
1917년 11월(러시아력 10월) (1)이 이끄는 (2)가 임시 정부를 무너뜨리고 소비에트 정부를 세웠다.
레닌, 볼셰비키
6
소비에트 정부 수립 후 레닌은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해 소규모 기업 활동을 인정하는 등 자본주의 경제 체제의 일부 요소를 도입하였는데 이를 (1)(NEP)라고 한다
신경제정책
7
제 1차 세계 대전 후 베이징의 학생들이 중심적이 되어 일본의 (1)의 철폐를 주장하여 전개한 중국의 민족운동은 (2)이다
21개조요구, 5.4운동
8
간디는 영국의 폭력적인 탄압에도 (1) 운동을 전개하며 독립을 추구하였다.
비폭력.불복종
9
1929년 10월. (1) 증권 거래소에서 주가가 폭락하면서 기업과 은행이 줄줄이 도산하여 문을 닫았고. 실업자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등의 경제 위기인 (2)이 발생하였다. 미국의 (3) 대통령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4) 정책을 실시하였다. 그 중 하나는 대규모 (5)을 일으키는 것이었다
뉴욕, 대공황, 루즈밸트, 뉴딜, 공공사업
10
(1)는 개인보다 국가의 민족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것이다. 이탈리아에서는 (2)가 (3)당을 조 직하여 정권을 장악하였고 독일에서는 (4)가 (5)당을 이끌고 정권을 차지하였다. 이들은 비밀경찰인 (6)를 이용하여 전 국민을 감시하고 통제하였다. 1930년대 후반 유럽에서 반파시증의 공동 목표 아래 여러 정치 세력이 뭉쳐 (7)을 형성하여 파시즘에 대항하였다
전체주의, 무솔리니, 파시스트, 히틀러, 나치, 게슈타포, 인민전선
11
독일이 (1) 조약을 체결하고 (2)를 침공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였다.
독-소불가침, 폴란드
12
일본이 하와이의 (1)을 공격함으로써 (2)이 참전하였다.
진주만, 미국
13
미국이 (1) 해전에서 승리하고. 소련이 (2) 전투에서 독일군을 물리치면서 전세가 역전되었다.
미드웨이, 스탈린그라드
14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이 수많은 (1)을 계획적으로 학살한 사건을 (2)라고 한다.
유대인, 홀로코스트
15
중:일 전쟁 시기 중화민국의 수도 난징을 점령한 일본군은 6주에 결쳐 (1)을 벌였다.
난징대학살
16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한국. 타이완 등지의 여성들이 불법적인 방법에 의해 일본군 (1)로 끌려갔다.
위안부
17
51개국의 대표가 모여 (1)을 설립하였다. 특히 (2)는 국제 분쟁의 조정과 중재를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국제 연합군(3)을 파견할 수 있다.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 유엔군
18
제2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의 (1)와 일본의 (2)에서는 독일과 일본의 전쟁 범죄자의 책임을 묻는 (3)이 열렸다
뉘른베르크, 도쿄, 국제군사재판
1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이 전쟁으로 피폐해진 서유럽에 대한 경제 지원을 위해 (1)을 추진하였다.
마셜계획
2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이 주도하는 자본주의 진영과 (2)이 주도하는 공산주의 진영으로 나뉘어 대립하는 (3) 체제가 형성되었다
미국, 소련, 냉전
21
동독은 (1) 장벽을 설치하여 (2)과의 교류를 단절하였다
베를린, 서독
2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 지역에서 유대인이 (2)을 건국하여 아랍 민족과의 갈등이 커졌다.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23
1947년 인도는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났지만. 종교적 대립으로 (1)교 국가인 인도와 (2)교 국가인 (3)으로 분리되었다.
힌두, 이슬람, 파키스탄
24
프랑스에 항전한 (1)은 제네바 협정으로 독립을 인정받았으나 곧 남북으로 분단되어 전쟁을 겪었다.
베트남
25
1955년 아시아∙아프리카 국가들은 (1) 회의를 개최하여 (2)을 결의하였다.
반둥, 평화10원칙
26
아시아 아프리카의 신생 독립국 대부분은 자본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의 어느 편에도 가담하지 않고 (1) 노선을 추구하였다
비동맹 중립
27
1969년 미국 닉슨 대통령은 (1)을 발표하여 아시아의 군사적 분쟁에 더 이상 개입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닉슨 독트린
28
1991년 러시아를 비롯한 11개국이 (1)(CIS)를 결성함으로써 소련이 해체되었다.
독립국가연합
29
중국의 지도자 (1)은 시장 경제 원리를 일부 도입하여 (2) 정책을 추진하였다.
덩샤오핑, 개혁-개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