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강원도 고성군 현대면 대강리
최북단
2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마라리
최남단
3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최동단
4
인천광역시 옹진군 백령면 연화리
최서단
5
우리 국토는 모양이 남북으로 긴 형태로 동경 135도의 단일 표준시를 사용하며, ( )보다 9시간 빠르다
그리니치 표준시
6
삼국시대 백제의 첫 수도인 ( )이었고, 고려의 ( )이었으며, 조선의 수도가 된 이후로 지금까지 대한민국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지다.
위례성, 남경
7
빵이나 커피를 먹고 마시던 카페가 이제는 대도시 근교의 창고형 베이커리 카페로 자리잡아 관광객들로 북적이고 있으며 관광자원은 언제든지 변할 수 있다.
가변성
8
문화적 또는 역사적 유물이 있으며, 자연경관과 조화되어 보전가치가 있을 것
문화경관
9
한려해상국립공원 2도/4시/2군
2도 : 전라남도, 경상남도 4시 : 여수시, 거제시, 사천시, 통영시 2군 : 남해군, 하동군
10
국립공원 개수
22개
11
도립공원 개수
30개
12
군립공원 개수
28개
13
국가지질공원 면적
100km2 이상
14
지질명소 개소 수
20개소 이상
15
국립공원 신청/운영주체
환경부 / 국립공원공단
16
국립공원 자격유지
10년마다 공원기본계획 수립
17
지질공원 신청/운영주체
지자체
18
지질공원 자격유지
4년마다 재인증
19
물로 둘러싸여 있고 밀물 때도 수면위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육지지역
섬
20
입자가 작은 펄과 모래 알갱이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곳이다. 사전적 의미 : 고조(만조)시에는 잠기고 저조(간조)사에는 드러나는 연안의 평탄한 지역으로 주로 조류에 의해 운반되는 퇴적물이 쌓여 이루어지는 해안 퇴적지형이다.
갯벌
21
‘해변의 산책길’ 또는 해안에서 생선요리를 파는 곳이라는 라틴어에서 유래 이탈리아에서는 ‘작은항구’라는 뜻으로 사용한다.
마리나
22
4대강
한강, 북한강, 낙동강, 금강
23
강원도 태백시 대덕산 검룡소에서 발웡항 남한강은 남류하면서 평창강•주천강을 합하고 단양을 지나면서 북서로 흘러 달천•섬강•청미천•흑전과 합친뒤 ( )에서 북한강과 합류한다.
양수리(두물머리)
24
국가지정문화재 7종류
국보, 보물,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국가무형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
25
보물에 해당하는 문화재 중 인류문화의 견지에서 그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으로, 보물급의 문화재 중 국가가 법으로 지정한 유형문화재,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가치가 커서 보물로 지정될 만한 것
국보
26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가치가 큰 것으로 국가가 법으로 지정한 유형문화재를 말한다
보물
27
기념물 중 절터, 옛무덤, 조개무덤, 성터, 궁터, 가마터, 유물포함증 등의 유적지와 특별히 기념이 될 만한 시설물로서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큰 것이다.
사적
28
기념물 중 경치가 좋은 곳으로서 역사적, 학술적, 경관적 가치가 큰 것이다.
명승
29
기념물 중 동물(서식지•번식지•도래지 포함), 식물(자생지 포함), 지형, 지질, 광물, 동굴, 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역사적, 경관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이다.
천연기념물
30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기술적 가치가 있는 것, 지역 또는 한국의 전통문화로서 대표성을 지닌 것, 사회문화적 환경에 대응하여 세대 간의 전승을 통해 그 전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국가무형문화재
31
한국 민족위 기본적 생활문화의 특색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전형적인 것 중 의식주, 생산, 생업, 교통, 운수, 통신, 교역, 사회생활, 신앙, 민속, 예능, 오락, 유희 등으로서 중요한 것이다.
국가민속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