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발열반응(연소)은
반응 물질의 에너지가 생성물질의 에너지보다 크다
2
흡열반응(소화)은
반응물질의 에너지가 생성물질의 에너지보다 적다
3
현열과 잠열 옳은것
물질의 상변화 없이 온도변화가 있을대 필요한 열량 / 물질의 온도변화 없이 상변화가 있을때 필요한 열량이다
4
물질의 상태변화 없이 온도변화가 있을까 필요한 열량은?
현열
5
가연물이 되기 쉬운 조건 중 작을수록 연소에 용이한 것
활성화에너지, 열전도도, 열용량, 인화점,발화점, 비점,비중, 한계산소지수, 수분함유량, 최소산소농도
6
정전기예방대책
도체물질을 사용한다, 접촉하는 전기의 전위차를 작게한다, 전기 전도성이 큰 물체를 사용한다, 접지시설
7
가연물이 되기 쉬운 조건 중 클수록 연소에 용이한 것
산소와의 친화력, 표면적, 발열량(연소열), 온도,압력, 연소범위, 건조도, 연소열, 화학적 활성도
8
연소하한계에서는
지연성가스는 많으나, 가연성가스가 적어 연소하한계 이하에서는 연소 할 수 없다
9
연소상한계에서는
가연성가스는 많으나, 지연성가스가 적어 연소상한계 이상에서는 연소 할 수 없다
10
위험도가 높은 순서
이황화탄소>아세틸렌>산화에틸렌>디에틸에테르>수소
11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탄소수 증가에 따른 변화로 낮아지는 것(감소)은
연소범위의 상하한계, 연소범위, 발화점, 증기압
12
연소범위가 넓은순서
아세틸렌>산화에틸렌>수소>일산화탄소>디에틸에테르
13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탄소수 증가에 따른 변화로 높아지는 것(증가)은
위험도, 인화점, 비점, 발열량
14
물질의 위험성을 나타내는 성질에서 높을수록 위험한 것
온도, 연소속도, 연소범위, 증기압, 연소열
15
물질의 위험성을 나타내는 성질에서 낮을수록 위험한 것
인화점,발화점, 비점, 융점, 증발열,비열, 비중, 표면장력
16
발화점(착화점 자연발화점 자동발화점)
발열속도가 방열속도보다 클 경우
17
발화점이 낮아지는 조건에서 작거나 낮을경우로 옳은 것
활성화에너지, 열전도율, 습기, 증기압, 금속의 열전도율, 분자구조가 복잡한경우
18
발화점이 낮아지는 조건에서 크거나 높을경우로 옳은 것
화학적 활성도, 분자구조가 복잡한경우, 발열량, 산소와 친화력, 탄화수소계열의 분자량과 탄소수의 길이, 접촉하는 금속(용기 재질)이 열전도
19
최소발화에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동일 유속시 난류의 강도가 커지면 최소발화에너지(MIE)는 증가한다, 가연물질에서 열전도율이 낮아질때 최소발화에너지는 감소한다, 발열량이 크며 산소분압이 높아질때 최소발화에너지는 감소한다
20
자연발화를 일으킬 수 있는 열원의 종류 중 산화열로 옳은 것
기름걸레, 황린, 석탄, 건성유
21
자연발화가 일어나기 쉬운 조건
열 발생속도가 열 방산속도보다 클 경우, 휘발성이 낮을수록, 축적된 열량이 큰 경우, 공기와의 접촉면이 큰 경우, 단열된 상태에서 압력 상승하는 경우
22
자연발화를 일으킬 수 있는 열원의 종류 중 분해열로 옳은 것
아세틸렌, 산화에틸렌, 셀룰로이드, 니트로셀룰로오스
23
자연발화를 일으킬 수 있는 열원의 종류 중 흡착열로 옳은 것
목탄, 활성탄
24
자연발화를 일으킬 수 있는 열원의 종류 중 중합열로 옳은 것
산화에틸렌, 시안화수소
25
자연발화를 일으킬 수 있는 열원의 종류 중 발효열로 옳은 것
먼지, 거름, 곡물, 퇴비
26
층류확산연소로 옳은것
레이놀즈 수의 증가에 따라 화염의 길이(높이)가 증가한다
27
층류 예혼합연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폭연으로 발전 할 수 있다, 온도곡선의 변곡점을 경계로 하여 화염대는 예열대와 반응대로 분리된다, 예열대는 반응대에서 연소반응에 의한 발열에 의해 온도만 상승하는 영역으로, 반응대의 연소열에 의한 전도 대류 복사에 의해 화염면이 예열대로 이동한다
28
난류확산연소로 옳은 것
화염의 길이(높이)는 변화하지 않는다, 난류가 강해져서 화염면의 굴곡이 심해지고 화염면적이 증가한다
29
난류 예혼합연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폭굉으로 발전 할 수 았다, 층류 예혼합연소에 비해 연소속도가 큰데, 그 이유는 화염면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발생되는 충격파는 반응하지 않은 혼합물을 단열압축하여 점화원역할을 하며 연소되지 않은 가스의 연소를 촉진시키게 된다
30
연소속도 옳은것
연소속도=화염속도-미연소가스 이동속도
31
연소속도의 영향요소
가연성 물질과 산화제의 혼합비(당량비), 미연소가스의 열전도율이 클수록, 미연소가스의 밀도가 낮을수록, 미연소가스의 비열이 작을수록
32
황을 포함한 유기화합물의 불완전연소시 발생하는 것으로 계란썩는 냄새가 나는 물질은?
황화수소
33
털 고무류등 황을 포함한 유기화합물의 연소시 발생하는 것으로 눈 및 호흡기 등의 점막에 손상을 주는 물질은?
아황산가스
34
수지류 나무등 질소함유물이 연소 할때 발생하며 냉동시설의 냉매로 주로 사용하는 물질은?
암모니아
35
질소성분을 가진 합성수지,인조견,모직물등 섬유가 불완전연소할때 발생하며 청산가스라고도 불리며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지 않고도 호흡저해를 일으키는 물질은?
시안화수소
36
질산셀룰로오스,폴리우레탄 등이 불완전 연소할때 발생하며 붉은 빛이 도는 갈색 기체이다 흡입시 인후의 감각신경을 마비시키는 이 물질은?
이산화질소
37
염소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염화비닐수지(PVC),전선의 피복,배관 등이 연소시 발생하는 유독성 물질로 금속에 대한 강한 부식성을 가진 이 물질은?
염화수소
38
방염수지류 등이 연소시 발생하며 유독성이 있고 물에 잘 용해된다 이 물질은?
취화수소
39
폴리염화비닐(PVC), 수지류등이 연소시 발생하며 사염화탄소[할론104]사용시 발생하는 이 물질은?
포스겐
40
황화수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황을 포함한 유기화합물의 불완전 연소시 발생하며 계란 썩는 냄새가 난다 10ppm
41
아황산가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털 고무류등 황을 포함한 유기화합물 연소시 발생하며 유독성으로 눈 및 호흡기 등의 점막에 손상을 준다 5ppm
42
암모니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수지류 나무등 질소 화합물이 연소할때 발생하며 냉동시설 냉매로 주로 쓰인다 25ppm
43
시안화수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질소성분을 가진 합성수지,인조견,모직물 등 섬유가 불완전 연소할때 발생하며 청산가스라 불린다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지 않고도 호흡을 저해 시킨다 10ppm
44
이산화질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질산셀룰로오스,폴리우레탄 등이 불완전 연소할때 발생하며 붉은 빛이 도는 갈색의 기체이다 1ppm
45
염화수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염소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염화비닐수지(PVC), 전선의 피복, 배관 연소시 발생하며 금속에 대한 강한 부식성이 있다 5ppm
46
취화수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방염수지류 등이 연소시 발생하며 물에 잘 용해된다 5ppm
47
포스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폴리염화비닐(PVC), 수지류 등이 연소시 발생하며 사염화탄소[할론104] 사용시 발생한다 0.1ppm
48
연기에 따른 상대농도로 옳은것은? 감광계수/가시거리/현상
0.1 / 20~30 / 연기감지기가 작동할때의 농도, 0.3 / 5 / 건물내부에 익숙한 사람이 피난에 지장을 느낄 정도, 0.5 / 3 / 어두움을 느낄정도, 1 / 1~2 / 거의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 10 / 0.2~0.5 / 최성기 때의 정도, 30 / - / 출하실에서 연시가 분출할 정도
49
천장이 높은 건물은 화재초기에 감지기가 작동하지 않는다 그 이유와 관련 있는 현상
대류
50
온도상승에따른 자유전자의 이동에 의해 열에너지가 전달된다
전도
51
대류
액체 또는 기체(유체)에서 생기는 밀도차에 의한 분자들의 흐름을 통한 열전달 방법, 층류보다 난류일때 열전달이 더 용이하다
52
복사
매질없이 열에너지를 전자파형식으로 열전달하기 때문에 진공상태에서도 손실없이 열전달이 가능하며, 일직선으로 이동한다, 플래시오버에 큰 영향을 미친다
53
대류는(열전달은)
온도차이와 면적에 비례한다
54
스테판-볼츠만 법칙
복사열을 절대온도의 4제곱에 비례하고, 열전달 면적에 비례한다
55
전도는
온도 차이와 면적에 비례하고 두께는 반비례한다
56
불꽃온도가 낮은 순서대로 정렬하시오
담암적색, 500, 암적색, 700, 적색, 850, 휘적색, 950, 황적색, 1100, 백적색, 1300, 휘백색, 1500
57
화염속도로 옳은것은?
화염속도=미연소 가스 이동속도+연소속도
58
분해연소 하는것으로 옳은것
석탄, 목재, 종이, 섬유, 플라스틱, 고무류
59
증발연소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유황, 나프탈렌, 파라핀(양초), 요오드, 왁스
60
표면연소(작열,무염,직접연소) 하는것을 고르시오
숯, 목탄, 코크스, 금속분
61
산화반응
산소를 얻다, 수소 전자를 잃다
62
환원반응
산소를 잃다, 수소 전자를 얻다
63
열전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
대류는 온도가 높은 분자의 물질은 밀도가 작아져서 위로 올라가고, 온도가 낮은 물질은 밀도가 커져서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열전도도는 고체>액체>기체 순이다
64
가스폭발시 나타나는 현상 중 분진폭발에 비해 크게 일어나는 현상은?
연소속도, 초기폭발압력, 초기폭발력
65
분진폭발시 나타나는 현상 중에 가스폭발보다 크거나 많이 일어나는 현상은?
최소발화에너지, CO 발생량, 발생에너지, 파괴력, 연소시간, 2.3차 연쇄폭발
66
분진폭발의 영향인자
1.분진의 표면적이 입자체적에 비하여 클수록 폭발이 용이해진다, 2.평균 입자직경과 밀도가 작을수록 폭발이 용이해진다, 3.수분함량이 적을수록 폭발이 용이해진다, 4.활성화에너지가 작을수록 분진폭발이 잘 일어난다, 5.발열량이 클수록 폭발력이 크다
67
증기운폭발의 특징
증기와 공기의 난류혼합은 폭발력을 증가시킨다, 증기의 누출점으로부터 먼 지점에서의 착화는 폭발의 충격을 증가시킨다, 증기운폭발이 발생하게 되면 주로 폭발로 인한 피해보다는 화재에 의한 재해형태를 보이고, 연소에너지의 약 20%만 폭풍파로 전환되어 폭발효율이 적다, 증기운폭발은 일반적으로 폭연에 의한 현상이며, 전퍼속도가 매우 빨라져야 폭굉으로 전이 될 수 있다, 풍속이 낮아 증기운이 잘 확산되디 않는 경우에 바닥에 체류하여 증기운을 형성하기 때문에 더욱 피해가 심각하다
68
분진폭발을 일으키지 않는 물질
석회석, 생석회, 소석회, 산화알루미늄, 시멘트 가루, 대리석 가루, 가성소다, 유리
69
폭굉 유도거리가 짧아지는 조건 중 옳은 것은?
정상의 연소속도가 큰 혼합가스일수록, 관속에 방해물이 있거나 관경이 가늘수록, 압력이 높을수록
70
용기 내에 불활성 가스를 압입시켜 외부환경보다 압력을 높게 유지함으로서 밀폐함 내로 외부환경이 인입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방폭구조는 무엇인가?
압력 방폭구조
71
점화원이 될 우려가 있는 기기자체 또는 그 일부를 절연류(보호액) 속에 넣어 보호하는 방폭구조는 무엇인가?
유입 방폭구조
72
정상 시 전기기기의 과도한 온도 상승, 아크 또는 불꽃 발생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안전조치를 취해 안전도를 증가시킨 방법이다 그러나 전자기기의 고장이나 파손시에는 폭발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무엇인가
안전증 방폭구조
73
정상 또는 이상 사태에서 발생하는 전기 불꽃 또는 가열효과를 점화에너지 이하의 수준까지 제한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방폭구조로서 점화시험 등에 의하여 확인된 구조는 무엇?
본질안전 방폭구조
74
점화원에 의해 용기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할 경우에 용기가 폭발압력에 견딜 수 있고 화염이 용기 외부의 폭발성 분위기로 전파되지 않도록 한 방폭구조는 무엇인가? 상승된 압력을 배출하기 위해 용기에 약간의 틈새를 둔다.
내압 방폭구조
75
폭발 1등급에서 안전간격은?
0.6mm 초과
76
폭발 3등급에서 안전간격은?
0.4mm 이하
77
폭발 2등급 종류는?
에틸렌, 석탄가스
78
폭발 3등급 종류는?
아세틸렌, 이황화탄소, 수소
79
이 현상은 무엇인가?
보일오버
80
이 현상은 무엇
슬롭오버
81
무엇
프로스오버
82
무엇? + 뚜껑이 닫힌 구조
오일오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