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항공 기체
  • ユーザ名非公開

  • 問題数 189 • 6/29/2024

    記憶度

    完璧

    28

    覚えた

    68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다음 항공기 기체 구조부 중 1차 구조부가 아 닌 것은?

    객실 선반(Cabin Rack)

  • 2

    항공기 fail-safe 구조 방식이 아닌 것은?

    숏피닝

  • 3

    다음 중 허니컴(honeycomb)구조의 장점이 아닌 것은?

    무게에 비해 강도가 크나 마모가 잘된다.

  • 4

    항공기 동체 구조 형식으로 아닌 것은?

    협폭동체 항공기(narrow body aircraft)

  • 5

    항공기 날개 장착 방식 중 외팔보식 날개 와 비교하여 지주식날개에 대한 것으로 틀린 것은?

    날개 장착부에 큰 굽힘 모멘트가 집중된다.

  • 6

    항공기 외팔보식 날개의 특징으로 올바른 것은?

    모든 응력이 날개 장착부에 집중되어 있어 장착 방법이 복잡해진다.

  • 7

    항공기 날개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부재가 아닌 것은?

    Bulkhead

  • 8

    항공기 날개에 작용하는 굽힘하중을 주로 담당하는 주부재는?

    Spar

  • 9

    A/C Wet Wing 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연료를 모아둔 날개

  • 10

    항공기 낟개의 주요 구조부재이며 동체의 세로대 역할인 것은?

    Spar

  • 11

    항공기 고양력장치로 사용되는 플랩 종류 중 날개 전체 시위에 이르기까지 뒤로 이동하여 최대 각도로 구부릴 수 있고, 날개와 플랩 사이의 공간인 슬롯을 이용하여 낟개의 유효면적을 최대로 하는 것은?

    파울러 플랩 (Fowler flap)

  • 12

    비행기의 Empennage 란 무엇을 말하는가?.

    비행기 꼬리 부분에서 안정판(수평 + 수직)과 조종면(승강키 + 방향키)을 말한다.

  • 13

    다음 중 항공기의 안정성과 조종성을 담당하는 것은?

    Empennage

  • 14

    항공기 꼬리날개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항공기 안정성과 조종성을 위한 것이다.

  • 15

    항공기 엔진의 열이나 화염이 기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장치는?

    방화벽

  • 16

    항공기 엔진 방화벽(firewall)의 역할로 옳은 것은?

    엔진부분에서 화재 발생 시 항공기 날개나 동체로 화염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켜준다.

  • 17

    항공기의 engine mount란 무엇을 말하는가?

    날개에 엔진을 장착하여 추력을 기체에 전달하는 구조물이다.

  • 18

    항공기 세미모노코크(semi-monocoque)구조형 동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하는 부재는?

    스트링거와 롱저론

  • 19

    항공기 세미모노코크 구조(semi-monocoque)에 사용하는 부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롱저론(longeron): 세로 방향의 부재로 비틀림력과 전단력을 담당한다.

  • 20

    항공기 동체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보장해주는 부재는?

    Longeron

  • 21

    항공기 날개에 기관을 장착하여 기관의 추력을 기체에 전달하는 것은?

    Engine Mount

  • 22

    항공기에 사용하는 동체 구조부재 중 롱저론(longeron)이란?

    동체나 나셀(nacelle)의 세로 방향 기본기체 부재

  • 23

    항공기 나셀(nacell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나셀은 엔진과 액세서리, 엔진 장착대, 구조부재, 방화벽 등을 포함하지만 엔진 카울은 포함되지 않는다.

  • 24

    항공기 페어링(fairing)에 대한 역할로 틀린 것은?

    항공기 엔진을 보호하는데 사용하므로 고강도 재질을 사용해야 한다.

  • 25

    일반적인 항공기 구조물에 적합한 안전계수는 얼마인가?

    1.5 이상

  • 26

    항공구조물에 작용하는 내력(하중)이 아닌 것은?

    변형(strain)

  • 27

    항공기 기체 수리의 기본원칙으로 틀린 것은?

    원래의 재료보다 패치 두께의 치수를 한 치수 크게 만들어 장착한다.

  • 28

    실속속도가 100mph인 비행기의 설계제한 하중배수가 4일 때, 이 비행기의 설계운용속도는 몇 mph인가?

    200

  • 29

    솔리드 생크 리벳(solid shank rivet)의 머리 표식(rivet head marking)으로 알 수 있는 것은?

    리벳 재료의 종류

  • 30

    항공기 내부나 공기 저항을 받지 않는 곳에 사용 하는 일반 리벳은?

    유니비셜 머리 리벳

  • 31

    순수 알루미늄 리벳으로 열처리가 불필요하고 구조부가 아닌 곳에 쓰이는 리벳 은?

    1100 리벳

  • 32

    항공기 외피에 사용되는 리벳으로 옳은 것은?

    카운터 싱크 리벳

  • 33

    Rivet 재질과 River head marking이 틀리게 연결된 것은?

    2024 - raised double dot

  • 34

    Rivet MS20426 AD - 6 - 5 에 대한 아래의 설명 중 옳은 것은?

    Rivet dia가 6/32"이다

  • 35

    항공기 리벳 작업 시 리벳 머리는 어디에 두어야 하는가?

    얇은 판에 두어야 한다.

  • 36

    리벳 작업 시 리벳의 지름을 결정하는 요소로 옳은 것은?

    두꺼운 판재 두께의 3배

  • 37

    리벳의 머리 성형을 위한 적합한 돌출머리(bucktail)의 지름은 리벳 지름의 몇 배로 하는가?

    리벳 지름의 1.5배

  • 38

    리벳의 직경은 무엇에 따라 변하는가?

    두꺼운 판재의 두께

  • 39

    다음 중 리벳 작업의 countersinking이 가장 양호한 상태인 것은?

    a

  • 40

    "AN 425DD 5 - 8" 리벳에 대한 규격 식별 내용으로 옳은 것은?

    2024 알루미늄 합금 재질이며 리벳의 지름이 5/32[inch], 길이가 8/16[inch] 이다.

  • 41

    "AnN470AD 3 - 5“ 리벳에 대한 규격 식별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5는 리벳의 길이가 5/32[inch]라는 뜻이다.

  • 42

    리벳 작업에서 리벳의 열(row)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판재의 인장력을 받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배열의 리벳집합

  • 43

    두께가 0.032[inch] 알루미늄 판재에 동일한 든께의 패치재를 지름이 0.125[inch] 리벳을 사용하여 고정할 경우, 필요한 리벳의 길이로 옳은 것은?

    1/4[inch]

  • 44

    판금 가공에서 성형점과 굴곡 접선과의 거리는 무엇인가?

    세트백(setback)

  • 45

    판재를 이용하여 성형작업(forming) 시 사용되는 공정이 아닌 것은?

    딤플링

  • 46

    판재의 굽힘작업(bending)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판재의 거친 표면

  • 47

    항공 판금 작업 중 평평한 판금 판에 간단한 굽힘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것은?

    Cornice brake

  • 48

    항공기 판재에서 굽힘 허용 용어(bend allowance terminolog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굽힘 접선(bend tangent line/BL)은 금속이 구부러지기 시작하는 곳과 금속이 구부러지기 끝나는 곳을 말한다.

  • 49

    판금 수리의 기본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원래의 형태변형(modify original contour)

  • 50

    다음 중 용접 후 급냉시키면 어떤 상태가 되는가?

    용접한 부분 주위에 균열이 생긴다.

  • 51

    산소 - 아세틸렌 용접에서 아세틸렌 호스의 색깔은 어느 것인가?

    적색

  • 52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모네 메탈 등 용접 시 나오는 불꽃은?

    탄화 불꽃

  • 53

    아크(arc)용접봉에 있는 피복제의 역할로 맞는 것은?

    대기 중의 질소, 산소의 침입을 방지한다.

  • 54

    용접봉을 선택할 때 제일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은?

    용접할 금속의 두께

  • 55

    용접 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연결 부분을 다시 재용접해야 할 때는 이전에 용접한 것은 모두 제거한 후에 다시 용접한다.

  • 56

    용접하기 전에 알루미늄을 미리 가열하는 이유는?

    팽창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 57

    다음 용접의 종류 중 피복제나 Flux 를 사용하여 용접하는 것은?

    Electric Arc Welding

  • 58

    용접 결합 시, Butt Joint 형태가 아닌 것은?

    Corner Joint

  • 59

    알루미늄 합금을 산소 - 아세틸렌 용접 시 사용되는 불꽃의 형태는 다음 중 어느것인가?

    탄화 불꽃(Reducing Flame)

  • 60

    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용접할 수 있는 것은?

    SAE 4130 크롬/몰리브덴 튜브

  • 61

    은납땜(silver soldering)시 flux를 사용하는 이유는?

    은납땜 봉의 산화 방지를 위한 보호 피막을 만들기 위해

  • 62

    기본적인 가스용접장치의 차단단계로 틀린 것은?

    풀어질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조절 스크류를 뒤쪽으로 빼내어 아세틸렌과 산소조절기 모두 열어준다.

  • 63

    일반적으로 Sealant의 경화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설명 중 맞는 것은?

    적외선 램프 등을 사용하여 온도를 120[°F] 이내로 높인다.

  • 64

    2 액성 sealant 의 base compound 와 accelerator 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혼합 시 경화가 시작되기 때문에 가능한 빠르게 저어 혼합시킨다.

  • 65

    2 액성 sealant에 대한 아래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혼합된 sealant는 한번 사용 후 재사용 할 수 없으므로 폐기해야 한다.

  • 66

    Sealant의 사용 목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Actuator의 작동유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

  • 67

    접합면 시일 (faying surface seal)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

  • 68

    이질 금속 간의 직접 접촉 방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sealing 방법은 어느 것인가?

    Faying surface seal

  • 69

    섭착제를 사용 시 혼합하는 hardener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접착제의 경화를 촉진한다.

  • 70

    항공기는 기존의 조립 방식과는 달리 접착제가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데, 그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기존의 기계적인 방법에 결합 비해 내열성이 우수하며 고온부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 71

    제 1용제 접착제인 well bond super 및 EC - 800 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접착방법이 아닌 것은?

    플라즈마 스프레이법

  • 72

    복함소재 부품 수리 시 가장 효율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방법은?

    Vacuum bag

  • 73

    복합소재 부품의 모서리에서 층의 분디가 발견되어 이를 수리할 경우 가장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수리방법은?

    수지(resin) 주입 후 clamping하여 가압한다.

  • 74

    복합소재의 수리 시 사용되는 가압방법이 아닌 것은?

    Peel ply

  • 75

    진공백을 사용하여 가압하는데 사용하는 재료가 아닌 것은?

    Prepreg

  • 76

    수리작업 완료 후 결함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은?

    과도한 진공압력

  • 77

    복합소재 수리 시 사용되는 브리더의 주 역할에 대한 올바른 기술은?

    여분의 수지를 흡수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 78

    복합소재 부품의 안쪽면에 부착되는 테들러의 기능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수분의 침투를 방지한다.

  • 79

    수지침투가공재, 수지, 세척용 솔벤트 및 접착제 등 최신 복합 소재를 구성하고 있는 재료들은 인체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적절한 개인 보호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설명 중 틀린 것은?

    눈은 항상 화학약품과 날아다니는 물체로부터 보호해야 하며 작업 시에는 항상 작업장에서 보안경을 착용해야 하며 콘텍트렌즈를 착용해도 된다.

  • 80

    항공기 허니컴 구조물에서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코어의 재료가 아닌 것은?

    고무(rubber)

  • 81

    항공기 수리에 사용될 때 구조상의 목적을 위해 허용되는 적합 목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인가된 항공기에 사용할 목재는 감항당국에 따른 인증서를 제공할 수 있는 근원에 대한 소급성은 갖추지 않아도 된다.

  • 82

    허니컴(honeycomb)샌드위치 구조에서 코어의 자재가 아닌 것은?

    고무

  • 83

    항공기 공압계통의 단점이 아닌 것은?

    유압계통에 사용되는 레저버와 리턴라인에 해당되는 장치가 불필요하다.

  • 84

    현대 항공기 유압계통에 사용하지 않는 작동유는 무엇인가.

    동물성유

  • 85

    항공기에 사용되는 유압유가 갖추어야 할 성질은?

    저점도, 고화학적 안정성, 고인화점, 고발화점

  • 86

    항공기에 사용하는 작동유 구비조건으로 아닌 것은?

    점도지수가 낮아야 한다.

  • 87

    A의 직경이 5 inch, B의 직경이 15 inch인 서로 다른 직경의 관이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A에서 B로 200Ibs의 힘을 가했을 경우 B에서 받는 힘은 얼마인가?

    1770 psi

  • 88

    항공기 유압계통에 대한 장점이 아닌 것은?

    설치가 간단하고 정비가 용이하다.

  • 89

    항공기 공압계통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압축 공기가 갖는 압력, 온도, 유량으로 이용되는 범위가 제한된다.

  • 90

    항공기 위압계통에 사용하는 작동유 취급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레저버 작동유 주입구에는 사용 작동유 형식을 표시하여 항공정비사가 쉽게 사용할 작동유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 91

    항공기 유압유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항공기에서 유압계통은 적은 힘을 요구하는 항공기 구성요소의 작동을 위해 사용되는 하나의 수단이다.

  • 92

    항공기 유압계통의 내에 있는 레저비의 스탠드 파이프의 역할은?

    비상 시에 예비 작동유를 공급한다.

  • 93

    항공기 유압계통에서 레저버를 가압시키는 목적은?

    유압 펌프의 공동현상을 방지한다.

  • 94

    Accumulator를 수리해야 할 때 우선해야 할 일은?

    공기압력을 제거한다.

  • 95

    항공기 유압계통에서 축압기의 기능은?

    갑작스런 계통 내의 압력 상승을 방지하고 비상시 최소한 작동 실린더를 제거한 횟수만큼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유를 저장한다.

  • 96

    항공기 유압계통에서 축압기의 기능 중 맞는 것은?

    서지 챔버 역할을 한다.

  • 97

    항공기 유압계통이나 공압계통에 있는 체크밸브의 역할은 무엇인가?

    작동유를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해준다.

  • 98

    다음 밸브 중 역할이 3개와 다른 것은?

    Wing flap overload valve

  • 99

    유압계통의 유압작동이 일정한 순서로 작동하게 하는 장치는?

    Sequence valve

  • 100

    유압계통 중 유압유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것은?

    Check val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