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조명용 백열전등을 일반 주택 및 아파트 각 호실에 설치 할 때 현관등은 최대 몇 분 이내 소등되는 타임스위치를 시설하여야하는가?
3분
2
금속관 끝에 나사를 내는 공구는?
오스터
3
충전되어 있는 활선을 움직이거나, 작업권 밖으로 밀어 낼 때 사용되는 활선 장구는?
와이어통
4
절연 전선 서로를 접속 시 ()를 사용하면 접속부에 절연할 필요가 없다.
박스형커넥터
5
합성수지관 공사에서 옥외 등 온도 차가 큰 장소에 노출 배관을 할 때 사용하는 커플링은?
신축커플링3C
6
자연 공기 내에서 개방할 때 접촉자가 떨어지면서 자연 소호되느 방식을 가진 차단기로 저압의 교류 또는 직류차단기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기중차단기
7
전선의 굵기를 측정할 때 사용되는 기구는?
와이어게이지
8
금속관을 조영재에 따라서 시설하는 경우 새들 등으로 견고하게 지지하고 그 간격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m
9
완철을 설치한 경우나 장력이 큰 경우 또는 H주일 때 시설하는 지선은?
Y지선
10
저압배선 중의 전압강하는 간선 및 분기회로에서 각각 표준전압 몇 %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가?
2%
11
경질비닐전선관 1본의 표준 길이는?
4m
12
480V 가공인입선이 철도를 횡단할 때 레일면상의 최저 높이는 몇 m 인가?
6.5m
13
실내전체를 균일하게 조명하는 방식으로 광원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며 공장, 학교, 사무실 등에서 채용되는 조명방식은?
전반조명
14
다음 심벌의 명칭은 무엇인가?
피뢰기
15
캡타이어 케이블을 조영재의 옆면에 따라 시설하는 경우 지지점 간의 거리는 얼마로 이하로 하는가?
1m
16
전로 이외의 공간을 흐르는 전류로서 절연체 내부 및 표면과 공간을 통하여 선간 또는 대지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무엇이라 하는가?
누설전류
17
합성수지관 상호 및 관과 박스는 접속 시에 삽입하는 깊이를 관 바깥지름의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이다.)
1.2배
18
절연 전선으로 가선된 배전 선로에서 활선 상태인 경우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것은 매우 곤란한 작업이다. 이런 경우 활선 상태에서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공구는?
전선피박기
19
폭연성 분진 또는 화약류의 분말이 전기설비가 발화원인이 되어 폭발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저압 옥내 전기 설비의 저압 옥내배선 공사는?
금속관공사
20
옥내배선의 박스(접속함)내에서 가는 전선을 접속할 때 주로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가?
쥐꼬리접속
21
제1종 금속몰드 배선 공사를 할 때 동일 몰드내에 넣는 전선의 최대는 몇 본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0본
22
직류전동기 운전 중에 있는 기동 저항기에서 정전이 되거나 전원 전압이 저하되었을 때 핸들을 기동 위치에 두어 전압이 회복될 때 재가동할 수 있도록 역할을 하는 것은?
무전압계전기
23
권선형 유도전동기 기동 시 회전자 측에 저항을 넣는 이유 2가지는?
기동토크증대
24
줄의 법칙에서 발열량 계산식은?
H = I²Rt
25
가공전선의 지지물에 승탑 또는 승강용으로 사용하는 발판볼트 등은 지표상 몇 m 미만에 시설하여는 안되는가?
1.8m
26
관 상호 간 및 박스와 관을 삽입하는 깊이를 관의 바깥지름의 몇 배 이상으로 접속하여야 하는가? (단,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0.8배
27
다회선에서 접지고장 회선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계전기는?
선택지락계전기
28
선로의 도중에 설치하여 회로에 고장전류가 흐르게 되면 자동적으로 고장전류를 감지하여 스스로 회로를 차단하는 차단기의 일종으로 단상용과 3상용으로 구분되어있는 것은?
리클로져
29
교류 전력에서 일반적으로 전기 기기의 용량을 표시하는데 쓰이는 전력은?
피상전력
30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은 지표상 몇 cm까지의 부분에 내식성이 있는 것 또는 아연도금을 한 철봉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30cm
31
주상변압기의 고압 측에 여러 개의 탭을 설치하는 이유는?
선로의전압조정
32
낙뢰, 수목접촉, 일시적인 섬락 등 순간적인 사고로 계통에서 분리된 구간을 신속하게 계통에 투입시킴으로써 계통의 안정도를 향상시키고 정전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계전기는?
재폐로계전기
33
접지사고 발생 시 다른 선로의 전압을 상전압이상으로 되지않으며, 이상전압의 위험도 없고 선로나 변압기의 절연 레벨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접지방식은?
직접접지
34
5kW 이하의 소용량 농형유도전동기의 기동법은?
전전압기동법
35
5kW ~ 15kW 이하의 농형유도 전동기 기동법은?
와이델타기동법
36
15kW 이상의 농형유도전동기 기동법은?
기동보상기동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