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묘상에서의 단근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주로 휴면기에 실시한다.
2
임지에 비료목을 식재하여 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다음 중 비료목으로 적당한 수종은?
오리나무
3
덩굴류 제거 작업 시 약제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칡 제거는 뿌리까지 죽일 수 있는 글라신액제가 좋다.
4
파종조림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른 곳보다 흙을 더 두껍게 덮어줄 경우 수분조절이 어려워 건조 피해를 입는다
5
묘포의 정지 및 작상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밭갈이 깊이는?
20cm ~ 30cm 정도
6
임분을 띠모양으로 구획하고 각 띠를 순차적으로 개벌하여 갱신하는 방법은?
대상개벌작업
7
다음 중 종자 수득율이 가장 높은 수종은?
가래나무
8
소립종자의 실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종자 1,000립의 4회 평균 중량
9
벌채 방식이 간벌작업과 가장 비슷한 것은?
택벌작업
10
침엽수의 수형목 선발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관이 넓은 것
11
묘포 설계 면적에서 육묘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방풍림
12
다음 중 모수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양수 수종의 갱신에 적당하다.
13
산림 토양층위 중 빗물이 아래로 침전하면서 부식질, 점토, 철분, 알류미늄 성분 등을 용탈하여 내려가다가 집적해 놓은 토양층은?
B층
14
다음 중 수목 종자 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토양
15
묘목이 활착되지 못하는 주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T/R율이 낮을 때
16
산지에 묘목을 식재한 후 가장 먼저 해야 할 무육작업은?
풀베기
17
채종림 지정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위면적이 1ha이상, 모수는 50본/ha 이상
18
다음 중 생가지치기를 할 때 상처 부위의 부후 위험성이 가장 큰 수종은?
단풍나무
19
다음 중 택벌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음수의 갱신에는 부적당하다.
20
접목을 할 때 접수와 대목의 가장 좋은 조건은?
접수는 휴면상태이고, 대목은 생리적활동을 시작 할 때
21
선묘한 2년생 소나무 묘목의 속당 본수로 옳은 것은?
20본
22
우리나라 지각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암석은?
화성암
23
천연림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나무의 크기가 일정하다.
24
수목과 광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수종에 따라 광선의 요구도에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25
임목종자의 품질검사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종자의 건조법
26
1년에 2~3회 발생하며, 1, 2령기 유충은 밤 가시를 식해하다가 3령기 이후 성숙해지면 과육을 식해하는 해충은?
복숭아명나방
27
뽕나무 오갈병의 병원균은?
파이토플라스마
28
다음 중 알로 월동하는 해충은?
텐트나방
29
다음 중 기주교대를 하는 수목병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소나무재선충병
30
충분히 자란 유충은 먹는 것을 중지하고 유충시기의 껍질을 벗고 번데기가 되는데, 이와 같은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용화
31
배나무를 기주교대 하는 이종 기생성 병은?
향나무 녹병
32
다음 수목 병해 중 바이러스에 의한 병은?
포플러 모자이크병
33
다음 중 살충제의 제형에 따라 분류된 것은?
수화제
34
아황산가스 대기오염에 의한 수목의 피해양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대기 및 토양습도가 낮을 때 피해가 늘어난다.
35
다음 중 산불에 대한 내화력이 강한 수종은?
은행나무
36
다음 중 제초제의 병뚜껑과 포장지 색으로 옳은 것은?
황색
37
대추나무빗자루병의 병원체 및 치료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파이토플라스마 - 항생제
38
성숙한 유충의 몸길이가 가장 큰 해충은?
어스렝이 나방
39
볕데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토양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관수나 해가림 또는 짚을 이용한 토양피복 등의 처리를 하는 것이 좋다.
40
세균에 의해 발생되는 뿌리 혹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방제법으로 석회 사용량을 늘린다.
41
다음 중 냉각된 기계톱의 최초 시동 시 가장 먼저 조작하는 것은?
쵸크레버
42
가선집재에 사용되는 가공본줄의 최대장력은? (단, T=최대장력, W=가선의 전체 중량, ø =최대장력계수 P=가공본줄에 걸리는 전체하중)
T = (W + P) x ø
43
소집재작업이나 간벌재를 집재하는데 가장 적절한 장비는?
소형윈치
44
삼각톱니 가는 방법에서 톱니 젖힘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활엽수는 침엽수보다 많이 젖혀주어야 한다.
45
다음 중 양묘작업 도구로 가장 적합한 것은?
식혈봉
46
도끼 자루 제작을 위한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탄력이 있고 질겨야 한다.
47
대패형 톱날의 창날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35º
48
산림작업 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지켜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급적 혼자 작업하여 능률을 높일 것
49
집재장에서 통나무를 끌어내리는데 사용하지 가장 적합한 작업도구는?
사피
50
기계톱 안내판의 끝부분이 단단한 물체에 접촉하여 안내판이 작업자가 있는 뒤로 튀어 오르는 현상은?
킥백현상
51
윤활유로서 구비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온도에 의한 점도의 변화가 커야 한다.
52
안전사고 예방준칙과 관계가 먼 것은?
율동적인 작업을 피할 것
53
디젤기관과 비교했을 때 가솔린기관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배기가스 온도가 낮다.
54
무육톱의 삼각톱날 꼭지각은 몇도(º)로 정비하여야 하는가?
38
55
기계톱의 동력연결은 어떤 힘에 의하여 스프로킷에 전달되는가?
원심력과 마찰력
56
엑셀레버를 잡아도 엔진이 가속되지 않을 때 예상 되는 원인이 아닌 것은?
연료 내 오일의 혼합량이 적다.
57
다음 중 작업 도구와 능률에 관한 기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도구는 가볍고 내려치는 속도가 빠를 수록 힘이 세어진다.
58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도끼를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도끼 자루의 길이는?
사용자 팔 길이
59
4행정기관과 비교한 2행정기관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저속운전이 용이하다.
60
트랙터를 이용한 집재 시 안전과 효율성을 고려 했을 때 일반적으로 작업 가능한 최대 경사도(º)로 옳은 것은?
2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