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근대에 들어 각기 다른 이념과 체제를 구축한 이유는?
이질성
2
동아시아가 추구해온 평화, 경쟁, 왜곡과 진실 등은 _____인 역사를 구축했다
이율배반적
3
자국의 이익은 타국의 손해가되는 것은?
불문율
4
동아시아가 국가성장을 추진할 때 강조한 것은?
이념적, 체제적, 경쟁적 상이성
5
한국의 이념과 체제는?
자본주의, 반공산주의
6
중국의 이념과 체제는?
공산주의, 사회주의
7
일본의 이념과 체제는?
자본주의, 자유시장
8
동아시아의 관계에 개입하는 나라는?
미국
9
국가와의 경쟁과 투쟁은 어떠한 관계에 의해 진행되었는가?
이념적 관계
10
한미일 관계는 어떠한가?
군사적 동맹, 국가간 협력
11
한중일미 사이의 관계는?
강대국 중심의 관계
12
이해득실의 관계로 인해 국가관계는 어떠했는가?
불합리하다
13
불합리한 관계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불평등한 국익배분, 이념적 종속
14
한국, 중국, 일본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자국의 이익
15
상대국의 발전이 자국의 비발전으로 이어지고, 상대국의 비발전이 자국의 발전으로 이어지는 관계는?
상대적 박탈관계
16
동아시아가 지닌 동질성 특징은?
지리학적
17
동맹과 우방이 실제로 존재하는가? (OX)
X
18
언제든지 변하고 언제든지 등지거나 협력할 수 있는 관계는?
젤리형의 관계
19
한중일 내 경쟁의 장점은?
협력적 발전
20
한중일 내 경쟁의 단점은?
파괴적 경쟁
21
동아시아가 추구하는 관계는?
살생과 상생을 동시에 추구하는 관계
22
한중일의 발전과 성장을 통한 격차 감소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경쟁의 치열함과 강화
23
경쟁을 통한 붕괴를 초래하는 모델은?
최악의 경쟁모델
24
일본, 한국, 중국이 지닌 문화권 특징은?
한자문화권, 유교문화권, 황색문화권, 상호교류문화권
25
기러기형 발전모델을 처음 주장한 사람은?
아카마스 가나메
26
기러기형 발전모델을 주장한 사람은?
고지마 기요시, 야마자와 잇페이
27
기러기형 발전모델은 총 몇 개가 있는가?
3개
28
레이몬드 바논이 주장한 프로덕트 사이클론은 어떠한 과정으로 진행되는가?
시장납입기 ➡️ 성장기 ➡️ 성숙기 ➡️ 쇠퇴기
29
고지마는 기러기형 발전모델의 기본형을 ⭕️⭕️⭕️⭕️⭕️라고 정했다
생산능율화
30
고지마는 부차형을 ⭕️⭕️⭕️⭕️⭕️및⭕️⭕️⭕️로 정했다
생산다양화, 고도화
31
산업거점의 이동변화를 설명하는 기러기형발전모델의 몇 유형인가?
제2유형
32
세계경제의 이질화가 이루어지면 제1,2유형은 잘 진행되는가?(OX)
O
33
세계경제의 동질화는 막아야 하는가?(OX)
O
34
동아시아 정체성을 형성시키는 중요한 원동력은?
상호 이해, 공유, 교류
35
경제적 우위, 발전이익, 산업발전 모습은 어느 나라 순서로 진행되는가?
일본>한국>중국
36
발전유형과 방법이 유사한 형태로 발전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4글자)
종속이론
37
동아시아 내 근대화 격차가 발생한 원리는?
먹이사슬원리
38
일본은 좋은 먹이를 많이 독식하기 위해 시행 정책은?
식민지 정책, 팽창정책
39
일본의 근대화, 발전은 중국과 한국의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O
40
한중일 근대화에서 기러기 발전 모형의 의미는?
일본의 뒤를 쫓아 발전해가는 형상
41
자국과 타국의 이익이 일치하는 경우는 많은 편인가? (OX)
X
42
동아시아는 미국의 협력적 개입과 간섭을 통해 OOO OO과 OOOO를 맺었다
이념적 공감, 동맹관계
43
국가성장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이념적 관계로 인한 경쟁, 투쟁은 OOOO였다
냉전체제
44
냉전체제가 무너지면서 함께 무너진 주의들은?
이념주의, 동맹주의, 공존주의, 상호협력주의
45
동아시아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안은?
역사적 사실, 발전, 성장을 둘러싼 경쟁, 무한정한 국익추구를 둘러싼 경쟁과 견제
46
빠른 독수리가 좋은 먹이를 차지하는 약육강식의 먹이사슬을 의미하는 발전모델은?
독수리형 발전모델
47
근대화 전쟁은 일본의 기득권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는가? (OX)
X
48
독수리형 발전모델으로 발전하는 최종적인 목적은?
타국의 희생을 통한 이익을 독식하는 것
49
독수리형 발전모델은 안정적인 성장과 지속적인 이익 유지가 어려운가? (OX)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