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기계설비에 관한 용어의 정의로 옳은 것은? ① 고장정비: 특정 기기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기기의 성능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정비 일자를 예측 정비 ② 예방정비: 기기가 갑작스럽게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거나 고장이 났을 때 행하는 정비 ③ 유지관리: 점검 및 정비에 반영, 공정 기기의 안전성을 지속적 유지를 위한 모든 조직적 행위 ④ 예측정비: 기기 별로 제작자가 추천한 정비 주기 또는 정비 이력에 따라 정비 주기 행하는 운전 또는 가동 정지 정비
③
2
알맞은 답을 다음 괄호 안에 넣으시오.
① 10, ② 20, ③ 20, ④ 20
3
기기의 그룹별 중요도 등급화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① 점검 주기와 정비 구분을 정함에 있어 공정 운전 및 위험성 평가 결과를 고려하여 중요도에 따라 등급화한다. ② A등급은 기기 고장이 공장의 운전(부분 또는 전부)정지 또는 중대 산업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③ D등급은 기기의 고장이 운전의 부분 정지를 일으키거나, 근로자의 안전에 영향을 주는 경우를 말한다. ④ 안전, 환경 등의 법규 위반,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회사의 이미지 실추 등의 우려가 있는 경우는 한 단계 높게 한다.
③
4
기계·전기설비의 위험 요인 확인을 위해 점검하고 그 결과를 보고서에 작성 시 포함 사항을 고르시오. ① 해당 설비와 관련된 법적인 검사기준 준수 여부 ② 점검 계획서 ③ 기기의 내구연한 대비 잔여 수명 ④ 점검 기기명 및 식별번호 ⑤ 점검 결과에 따른 조치 사항 ⑥ 점검의 적합성 ⑦ 점검자의 이력
①, ③, ④, ⑤
5
기계설비의 위험 요인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재해와 안전대책으로 틀린 것은? ① 떨어짐: 작업 발판, 안전난간, 안전방망 등 안전시설 설치 및 안전대 착용 ② 넘어짐: 작업장 통로 확보, 자재 및 공구 등 정리 정돈, 계단 경사면 난간 설치 ③ 끼임: 덮개, 울 설치, 프레스 전단기의 양수 조작식 안전장치 등 ④ 질식: 고·저온 환경 또는 물체에 노출 접촉 금지하고 안전 보호구 지급
④
6
다음은 상해의 종류에 대한 설명이다. 알맞은 답안에 올바르게 연결하시오.
1-c, 2-a, 3-b, 4-d
7
기계설비 위험 요인 분석을 위해 작업공정표에 따른 작업지도서를 작성할 시 고려 사항으로 틀린 것은? ① 감독자, 작업자 등이 각각 작성한다. ② 현장 작업자의 의견을 수용한다. ③ 사업장 관리 특성에 맞게 통일된 하나의 작업지도서만을 작성한다. ④ 안전관리자, 관리감독자가 주가 되어 기술 스태프로 참여한다.
③
8
기계설비의 동작에 따른 위험을 분류할 때 각 설명에 맞는 내용을 쓰시오. ( ① ): 운동부와 고정부 사이에 형성, 작업점 또는 기계적 결합 부분 ( ② ): 플라이휠, 풀리, 팬 등과 같은 회전 운동 부위 ( ③ ): 선반의 공구대를 장착한 왕복대의 운동
①: 횡축 동작 ②: 회전 동작 ③: 왕복 동작
9
기계설비의 안전 작업 방법 설정 순서이다. 그 순서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① 문제의 대상 분석 - 원인분석 - 대안과 대책 선정 - 실시 - 대책과 대안 평가 분석 - 방법실시 및 정착화 표준 - 안전 작업 방법 ② 문제의 대상 분석 - 원인분석 - 대안과 대책 선정 - 표준 안전 작업 방법 - 대책과 대안 평가 분석- 방법실시 및 정착화 - 실시 ③ 문제의 대상 분석 - 실시 - 대안과 대책 선정 - 표준 안전 작업 방법 - 대책과 대안 평가 분석 - 방법실시 및 정착화 - 원인분석 ④ 문제의 대상 분석 - 실시 - 대안과 대책 선정 - 표준 안전 작업 방법 - 대책과 대안 평가 분석 - 방법실시 및 정착화 - 원인분석
①
10
작업장과 관련하여 통로 설치 시 그에 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차량 통행로 상의 결빙 우려가 있는 장소, 경고 표지판 부착 ② 동절기에 결빙의 우려가 있는 통행로, 모래를 뿌리거나 미끄러지지 않도록 조치 ③ 작업장 통행로 안전한 유지, 높이 1.8m 이내 돌출물 금지(부득이한 경우, 머리 충돌 방지 조치) ④ 통로 상, 통행을 방해할 수 있는 물건 등 적재 금지
③
11
작업장에서 화학물질 취급하는 작업 시 작업자에 대한 위험 요인의 노출을 줄이기 취급 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사용된 캔 등 밀폐용기는 작업 후 한곳에 모은 후 폐기한다. ② 음식물을 포함한 모든 화학물질에 관한 내용물은 외부에 표시한다. ③ 화학물질을 임의로 하수구나 폐수처리 계통에 배출을 금지한다. ④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거나 화학물질 취급했던 설비 또는 배관은 즉시 해체한다.
③
12
기계설비의 작업을 위해 이동식 사다리를 사용할 경우, 그와 관련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다리를 오르내릴 경우, 반드시 두 손을 모두 사용한다. ② 공구 등을 휴대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공구 주머니 또는 공구 벨트 등을 사용한다. ③ 사다리를 걸쳐 놓을 경우, 각도는 사다리와 바닥 면 사이의 각도 75도 이내로 한다. ④ 높은 곳에 올라가기 위해 사다리를 사용 시 사다리 윗부분이 해당 지점보다 최소 1m 이상 상부 돌출한다.
②
13
시설물의 안전관리 특별법령에 따라 국토교통부 장관은 시설물이 안전하게 유지관리 될 수 있도록 점검 확인하게 한다. 그 내용과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신설, 변경 또는 정비·보수된 설비의 안전장치와 자동제어기능의 확인 ② 신설, 변경 또는 정비·보수된 설비가 규정된 검사를 시행하여 합격하였는지 확인 ③ 신설, 변경 또는 정비·보수된 설비가 설치 기준 또는 시방서에 따라 설치되었는지 확인 ④ 점검 범위에 따라 별도의 가동 전 점검을 위해 사전 교육·훈련된 기술자인지 확인
④
14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 시설물 가동 전 안전 점검보고서, 개선 항목 요구표 및 실행계획서는 공장 운전 개시 후 최소 ( )년간 서류를 보관한다.
3
15
작업장에서 물건의 배송 및 하역 작업 시 화물에 대한 조치 사항으로 보기와 같을 때 빈칸을 알맞게 채우시오. 가. 작업장에 따라서는 고소 작업자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 ① )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나. 운전자들이 작업에 관여하지 않는 경우 대기할 수 있는 안전한 장소를 제공한다. 다. 차량에 화물은 ( ② )하지 않는다. ( ③ )차량은 불안정해질 수 있으며, 운전 및 제동이 힘들어질 수 있다. 라. 적재 전에 현장 바닥 및 데크(Deck)를 점검하여 안전한지 확인한다.
①: 안전대 ②: 과도하게 적재 ③: 과적
16
기계설비와 관련된 정전작업 시 예상치 못한 위험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충전 전로 가까운 장소에서의 유도 ② 적절한 재전을 일으키도록 전원 투입 ③ 통전 중인 도체를 정전 중인 회로에 접촉시킴으로 인한 사고성 통전 ④ 낙뢰에 의한 극히 높은 전압
②
17
폭발 위험장소에서 기계 및 전기설비 정비 시 관련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① 방폭 관련 규정과 제조자의 명세에 적합한 전선관이나 개봉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② 폭발 위험장소에서의 정비 작업은 사전 승인을 받아 수행하여야 하며, 전기설비의 정전과 정비 기간 동안 위험 분위기가 있는 상태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③ 폭발 위험장소에 있는 전기설비를 정비하기에 앞서 전원을 개방한 후, 부품 온도를 낮추고 전기적인 전하가 빠져나가도록 충분한 정치 시간이 주어져야 한다. ④ 방폭 전기설비의 정비 작업자는 고온 표면, 전기에너지, 정전기 방전 등의 점화 에너지를 평가하고, 이를 제거 하기 위한 교육 훈련은 받지 않아도 된다.
③
18
전기화재는 전기 기기 등의 구조적 결함과 전기 시설 취급 소홀, 부주의 또는 안전 수칙 미준수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할 때 화재가 발생하는 형태를 쓰시오.
단락, 누전, 정전기
19
전기사고 예방 대책 중 설비 손상 대책
과전류 차단장치•보호계전기 설치, 전기 기계 기구의 적정 설치
20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관리감독자는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기계·기구의 유해·위험방지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유해·위험방지 업무를 수행하여야 할 기계·기구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원심기 ② 프레스 ③ 공기압축기 ④ 로봇의 작동 범위에서 그 로봇에 관하여 교시
①
21
산업재해 발생과 처리 과정에 관한 흐름도
산업재해 발생 - 긴급처리 - 재해조사 - 원인 강구 - 대책 수립 - 대책실시 계획 - 실시 - 평가
22
표준 안전 작업 방법의 설정을 위한 작업 방법 사이클의 구성
Plan - Do - Check - Action
23
그림과 같이 회전하는 운동부분 자체와 운동하는 기계,전기 등의 설비로 인해 형성되는 위험점을 쓰시오.
① 위쪽: 절단점 ② 위쪽: 회전말림점
24
산업안전보건법상 유해•위험방지가 필요한 작업을 위해 관리감독자를 선임해야 하는 작업의 종류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아세틸렌 용접장치를 사용하는 금속의 용접·용단 작업 ② 건조설비를 사용하는 작업 ③ 100kg 이하 화물을 취급하는 작업 ④ 허가 대상 유해 물질 취급 작업
③
25
산업안전보건법상 유해·위험한 기계, 전기작업은 사전 조사 및 작업계획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작업은? ① 차량계 하역운반 기계 등을 사용하는 작업 ② 화학 설비와 그 부속 설비를 사용하는 작업 ③ 중량물 취급 작업 ④ 프레스 등을 사용하는 작업
④
26
용접•용단 작업을 하는 위험장소에서 발생하는 비산 불꽃의 온도와 거리
1600°C, 최대 11m 이상
27
사업주는 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소화설비를 비치할 때 다음 빈 칸을 채우시오.
①: 유류 및 가스화재 ②: 질식소화 ③: 청색 ④: D급 화재
28
산업안전보건법상 전기기계•기구에 대하여 감전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격에 적합하고 감도가 양호한 감전 방지용 누전차단기의 설치와 준수사항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가. 대지 전압 ( ① )볼트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 기구 나. 누전차단기 정격감도 전류 ( ② )mA 이하이고 작동시간 ( ③ )초 이내
①: 150 ②: 30 ③: 0.03
29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장의 유해·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위험 요인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의 발생 가능성(빈도)과 중대성(강도)을 추정·결정하고 감소 대책을 수립하여 실행하도록 하는 위험성 평가 절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사업주가 주체가 되어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안전관리자, 대상 작업자가 참여한다. ② 사전 준비는 위험성 평가 실시규정 작성, 평가대상 선정, 평가에 필요한 각종 자료 수집 단계이다. ③ 위험성 결정은 유해·위험 요인이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 및 중대성의 크기를 추정하여 위험성의 크기를 산출한다. ④ 유해·위험 요인 파악은 유해·위험 요인별 위험성 추정 결과와 사업장 설정한 허용 가능한 위험성의 기준을 비교하여 추정된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④
30
위험성 평가 절차
사전 준비 - 유해•위험 요인 파악 - 위험성 결정 - 위험성 감소 대책 수립 및 실행 - 위험성 평가의 공유 - 기록 및 보존
31
위험성 평가 과정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위험성을 평가할 때 안전·위험 요인 파악은 몇 단계에 해당하는가? ① 1단계 : 관계자료의 정비 검토 ② 2단계: 정성적 평가 ③ 3단계: 정량적 평가 ④ 4단계: 안전대책
②
32
산업안전보건법상 가스 등의 용기를 취급하는 경우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도의 위험이 없도록 할 것 ② 운반하는 경우 캡을 씌울 것 ③ 용기의 온도를 40도 이상 유지할 것 ④ 용해 아세틸렌 용기는 세워 둘 것
③
33
산업안전보건법상 건조설비의 구조로 틀린 것은? ① 위험물 건조설비의 상부는 무거운 재료로 만들고 주위 상황을 고려하여 폭발구를 설치할 것 ② 건조설비의 내부는 청소하기 쉬운 구조로 할 것 ③ 위험물 건조설비의 열원으로 직화를 사용하지 말 것 ④ 위험물 건조설비의 측벽이나 바닥은 견고한 구조로 할 것
①
34
산업안전보건법상 유해·위험 기계 기구인 양중기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를 위하여 부착하여야 하는 내용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정격 하중 ② 경고 표시 ③ 운전속도 ④ 주의 사항
④
35
산업안전보건법상 허가 대상 유해 물질을 제조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가스 또는 증기, 분진의 발산 원을 밀폐하거나 배기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국소 배기 장치의 제어 풍속으로 알맞은 것은? ① 가스 상태 - 1.0 m/s ② 입자 상태 - 0.1 m/s ③ 가스 상태 - 0.5 m/s ④ 입자 상태 - 0.5 m/s
③
36
열, 유체기계의 위험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저수위로 폭발 ② 과열 및 소손 ③ 압괘, 팽출 및 균열과 파열 ④ 누전
④
37
건설기계의 위험 요인을 예측할 때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운행에 따른 각종 재해의 확인 ② 정비, 시운전 작업 중 동력 전달부 협착 재해의 확인 ③ 버킷이나 다른 부수 장치에 의한 재해의 확인 ④ 운전 반경 내 사람이 있을 때 추돌에 의한 재해의 확인
②
38
기계 전기 등의 설비 위험 요인을 사용 용도에 따라 그 위험을 분류하였다, 그 분류로 틀린 것은? ① 가공용 기계. 전기설비 : 금속의 절단, 절삭, 목재의 절삭 등 ② 운반용 기계, 전기설비: 중량물 운반 등 ③ 건설용 기계, 전기설비: 회전하고 있는 기계 ④ 건설용 기계, 전기설비: 건설 현장, 토지의 굴삭•정지 작업
③
39
기계 전기설비 등의 본질적 안전을 위해 페일세이프(Fail Safe) 기능을 갖는 구조로 설계할 때 구조적 페일세이프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④
40
기계 위험 설비의 안전 운행을 위해 구조 부분의 안전화를 꾀할 때 고려 사항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재료의 결함 ② 작업의 적정성 ③ 설계의 부적당 ④ 잘못된 가공
②
41
단조기계와 관련한 위험 요소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타격에 의한 반발된 소재 및 공구에 접촉 ② 다이 사이에 손이나 발의 협착 ③ 다이의 설치 및 제거 시 다이 낙하에 의한 협착 ④ 로울러에서 소재의 진행 방향에서 배출되는 소재의 협착
④
42
산업재해가 발생 시 평가 순서
산업재해의 발생 - 긴급처리 - 재해조사 - 원인강구 - 대책수립 - 대책실시 계획 - 실시 - 평가
43
지게차의 작업 시작 전 점검내용
조종장치•하역장치•제동장치•유압장치•전조등•후미등•방향지시기•경보장치 기능, 바퀴의 이상유무
44
산업안전보건법상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사업장 중 전기 계약 사용설비의 정격 용량 300kW 이상인 사업이 아닌 것은? ① 2차 금속 제조업 ②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③ 금속가공제품 제조업(기계 및 가구 제외) ④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①
45
다음 중 협착점이 형성되는 기계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프레스 ② 전단기 ③ 성형기 ④ 밀링머신
④
46
프레스 및 전단기 방호장치의 형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광전자식 ② 양수조작식 ③ 가드식 ④ 리미트식
④
47
기계·기구·설비의 신설시·변경내지 및 고장 수리시 등 비정기적인 안전점검으로 기술담당자가 하는 점검을 무엇인지 쓰시오.
특별점검
48
높이 1미터 이상인 개구부, 작업발판 끝이나 계단의 양측 및 안전통로의 가장자리, 설비의 점검을 위하여 안전통로로 이용하는 건물 옥상의 가장자리에 설치할 안전 시설물을 쓰시오.
안전난간
49
직접적으로는 연락의 불충분, 사용설비나 기구의 결함, 유해물 등에 대한 관리 등의 문제로 인해 점검, 보수작업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험요인 확인 사항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동력원과의 절연을 확인시킬 것 ② 작업구역 • 계통별 등의 명확화 등을 사업주에게 주지시켜 안전을 도모할 것 ③ 작업책임자, 지휘자, 연락원 등을 명확히 하고 작업 범위, 순서 등을 주지시켜 철저히 도모할 것 ④ 작업대, 발판 등의 안전 확보를 철저히 할 것
②
50
기계 안전시설의 유해 위험요인 확인 및 재해 방지대책을 위해 실시하는 방안
위험성 평가실시, 방호장치, 안전점검
51
기계작업의 안전을 위해 기능적 페일세이프 도입을 한 예에 관한 것이다. 그 예에 관한 설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화학설비에 안전밸브 또는 긴급 차단장치를 설치, 이상 시에 이들이 작동하여 설비를 보호하는 것이다. ② 석유난로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자동으로 불이 꺼지도록 소화 기구를 내장시킨 것이다. ③ 승강기 정전 시 마그네틱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운전을 정지시키는 경우와 정격속도 이상의 주행 시 조속기(Governor)가 작동하여 긴급 정지시키는 것이다. ④ 크레인의 하중계와 같이 간접 하중을 받는 스프링과 프레스의 카운터 밸런스용의 스프링을 압축스프링으로 한 것이다.
④
52
기계, 전기설비 등의 유해.위험 방지를 위해 안전조치를 확인할 때 옳지 않은 것은? ① 전선이나 코드의 접속부는 절연물로 피복하여야 한다. ② 퓨즈는 적합한 것을 끼우며 구리선이나 철선은 절대로 사용하지 않는다. ③ 스위치 박스 앞에 물건을 놓아 개폐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④ 스위치의 조작은 오른손으로 하며, 동시에 왼손으로 금속류를 만지지 않는다.
③
53
기계, 전기 등의 설비의 위험부를 결정하는 위험요소 5가지 중 충격(Impact)에 대하여 확인할 사항 중 바르지 못한 것은? ① 물림점 등의 트랩에서 발생할 가능성의 여부 ② 고정된 물체에 사람이 이상충돌 ③ 움직이는 물체가 작업자에 충격을 주는 충돌 ④ 사람과 물체가 상호움직임 상태에서 쌍방충돌
①
54
기계 전기 등의 요소에 의해 사람이 상해를 입는 기준에 따라 위험 요소를 분류할 때 다음을 알맞 게 연결하시오.
1-a, 2-e, 3-b, 4-d, 5-c
55
기계, 전기 위험 설비 중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안전 인증검사와 함께 이전 설치 후 안전 검사를 하여야 하는 대상의 기계, 기구를 쓰시오.
크레인, 리프트, 곤돌라
56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유해.위험 기계 기구인 목재가공용 둥근톱에 설치하여야 하는 안전방호 장치의 종류를 쓰시오.
반발 예방장치, 날 접촉 예방장치, 보조안내판
57
산업재해 발생 후 개선계획을 위하여 과거 실적을 수집하는 자료를 나타낸 것이다. 그 자료로 옳지 않는 것은? ① 산업재해 발생 현황 ② 근로자들의 출결 상황 ③ 작업환경 측정 결과 ④ 경영자의 승인 사항
②
58
산업재해 발생 후 개선 성과를 바탕으로 연간 계획을 실시하는 과정의 설명이다. 그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안전보건 기본 방침을 확인하고 안전은 상품이며 안전 확보는 고객에 신뢰감을 줄 수 있도록 한다. ② 기계설비의 안전화를 위해 중점항목으로 안전 커버의 설치, 전기시설의 접지, 누전차단기 부착, 용접작업의 로봇화를 실시한다. ③ 작업환경 개선을 위해 소음을 측정하여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환기 및 국소 배기장치 등을 설치한다. ④ 안전 순찰을 강화하고 안전보건교육은 근로자를 대상으로만 실시하여 안전 문화를 정착한다.
④
59
기계, 전기 등의 유해.위험 기계 기구의 방호조치를 할 때 다음의 각각의 기계 기구에 적합한 방호 조치를 쓰시오.
① 자동전격방지기 ② 급정지장치 ③ 울타리 감응형 방호장치(안전매트, 광전자식 방호장치) ④ 절연용 보호구 및 활선작업용기구 ⑤ 압력 방출용 밸브, 파열판
60
기계•전기설비 등의 안전 기능이 내장되어있는 안전 구조로 가연성 가스나 분진과 같은 폭발성 분위기 속에서 사용되는 계측용, 통신용 등의 전기 기기가 그 내부 또는 외부 분위기에 착화할 수 없는 구조를 나타내는 것은 ( )이다. 다음 빈칸을 채우시오.
본질안전
61
기계, 전기 등 근원적 안전 확보를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그 설명이 옳은 것은? ① 기능적 안전화는 회전운동, 왕복 운동, 날카로운 돌출 부분 등의 외형상 위험부위가 없게 설계하는 것이다. ② 구조부분의 안전화는 기계, 전기 등의 설비가 이상이 있는 경우 자동적으로 안전을 확보하여 재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선의 대책이다. ③ 외관상의 안전화는 재료의 결함, 설계의 잘못, 가공의 잘못을 고려하여 설계 및 제작 단계의 신뢰성 을 확보하는 것이다. ④ 작업점의 안전화는 재료가 직접 가공되는 부분의 작업점, 힘이 물체에 가해지는 점으로 위험하므로 방호장치나 원격제어 장치의 설치가 필요하다.
④
62
기계, 전기설비 등의 안전 작업을 위해 기술적, 기계 구조적, 작업환경 등에 대한 작업자의 안전의식을 환기할 필요성이 있다, 안전대책과 관련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 ① 조작 장치는 관계 사업자가 조작하기 쉬울 것 ② 촌동기구를 가진 기계는 사이클의 마지막과 처음에 시간적 지연을 가질 것 ③ 기계에는 구동 에너지를 차단할 수 있는 급정지 조작 장치를 설치하고 보통 작업 위치로 쉽게 조작 할 수 없을 것 ④ 급정지 장치가 작동했을 때 복귀(Reset)되지 않아도 동작되게 할 것
②
63
기계•전기설비 등에서 작업기계에 대한 안전 조건 및 조치사항을 확인할 때 틀린 것은? ① 기어나 벨트, 체인, 로프장치 등의 회전 부분은 가능한 통로에 노출되지 않게 배치하고 안전커버를 씌운다. ② 천장에 전동장치나 심한 진동을 주는 기계 등은 지주의 강도를 충분히 하여야 하며, 조작은 원격 조 정할 수 있도록 장치한다. ③ 기계는 사용 전에 반드시 안전장치를 점검하며, 담당자 이외는 사용을 금한다. ④ 기계의 회전력을 손이나 공구 등으로 정지시키고, 절삭 중 또는 회전 중에 가능한 공작물을 측정한 다.
④
64
기계, 전기설비 등의 유해•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일반 안전 수칙이다, 그 내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작업의 용도에 맞는 공구를 선택하고, 그 성능을 충분히 알고, 손이나 공구에 묻은 기름은 미끄러지지 않도록 잘 닦아낸다. ② 결함이 없는 완전한 공구를 사용하며, 특수 공구를 제외하고는 규격품을 쓴다. ③ 사용이 끝난 공구는 반드시 지정된 곳에 보관하며 날카로운 공구는 날을 세워 날이 상하지 않도록 보관한다. ④ 공구를 사용 후에는 반드시 상태를 점검하여 결함이 발견되면 즉시 수리하고 공구실은 항상 정리 정돈을 하여 공구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③
65
기계•전기설비 등의 유해•위험요인의 파악을 위해 수공구 작업 시 확인 사항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바이스 죠오(jaw)의 중심에 공작물이 올 수 있도록 고정한다. ② 서피스 게이지는 사용 후 즉시 스크라이버 끝이 아래로 향하게 하고 드라이버는 홈에 맞는 것을 사용한다. ③ 전기작업 시에는 반드시 절연 드라이버를 사용하고 펜치나 플라이어는 끝이 닫혔을 때 손바닥이 다치지 않도록 한다. ④ 작업 시 필요에 따라 바이스(vise) 대에 재료 공구 등을 올려놓지 않는다.
④
66
전기 및 전기설비 등의 작업 시 안전조치의 확인 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전선이나 코드의 접속부는 절연물로 피복하여야 한다. ② 퓨즈는 적합한 것을 끼우며 구리선이나 철선을 이용한다. ③ 스위치 박스 앞에 물건을 놓아 개폐에 지장이 없으면 적치하여도 된다. ④ 스위치의 조작은 왼손으로 하며, 동시에 오른손으로 금속류를 만지지 않는다.
①
67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하여 정리 정돈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작업공간의 낭비가 방지되어 필요한 작업공간이 확보되고 물건 찾는 시간이 절약되어 작업의 능률이 향상된다. ② 작업자가 걸려 넘어지거나 쌓아놓은 물건이 무너져 다치는 일이 없어 사고 예방을 할 수 있다. ③ 부스러기 등 잔여물의 처리가 어려워 화재를 예방은 곤란하다. ④ 작업을 방해하는 요소가 없어져서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③
68
기계•전기설비 등의 유해 위험 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그 해당 설비를 대분류 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KOSHA Guide에서는 계통의 설비에 따라 크게 6단계로 분류하였다. ② 압력용기와 저장탱크 계통 설비는 분류 번호 1이다. ③ 배관계통 설비와 압력방출 계통 설비의 분류 번호는 각각 3과 4이다. ④ 전기 및 계측제어 계통 설비와 회전 기기는 분류 번호는 각각 5와 6이다.
③
69
기계•전기 설비 그룹별 중요도를 등급화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안전, 환경 등의 법규 위반의 소지가 있거나,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회사의 이미지 실추 등의 우려가 있는 경우는 한 단계 높게 한다. ② A급은 기기 고장이 공장의 운전(부분 또는 전부)정지 또는 중대산업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경우이다. ③ B,C급은 기기의 고장이 운전의 부분 정지를 일으키거나 또는 근로자 안전에 영향을 주는 경우이다. ④ D급은 공정의 운전 및 안전상 문제가 없는 경우이다.
③
70
기계 전기설비 등의 유해 위험성을 점검하고 그 결과의 조치사항과 문서보관에 관한 내용이다. 틀린 것은? ① 점검 결과 허용범위를 벗어난 결함은 안전운전을 보장하도록 적절한 시기에 결함의 정비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② 점검 결과 중대한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하고 결함 사항 보완 후 운전한다. ③ 압력용기와 보일러 점검 결과는 용기의 내구 연한까지 기록 사항을 보관한다. ④ 결함 사항에 대한 보완 조치의 기록은 조치 완료 후 2년으로 한다.
④
71
기계•전기설비 등의 유해•위험 요인 점검에 대한 교육과 내용이다. 그 내용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기기의 형식과 성능이 동일하면 기기를 그룹화하고 기기의 중요도 등급과 점검 주기를 확인한다. ② 점검 시 직무에 관한 공통 및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안전 운전 지침 및 절차 등을 확인한다. ③ 점검에 대한 안전교육은 4년마다 1회 이상 실시를 원칙으로 한다. ④ 교육실시에 관한 기록은 교육계획안 및 참석자의 명단과 함께 3년간 보관한다.
③
72
기계 전기설비 등의 작업공정 상 흐름도에서 각 기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가공 공정은 제조의 목적을 직접적 달성하는 공정이고 기호는 ○이다. ② 운반 공정은 제품이나 부품이 하나의 작업 장소에서 다른 작업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 발생하는 작업으로 기호는 → 이다. ③ 검사 공정은 양과 질의 검사로 기호는 ◇(수량 검사), □(품질 검사)이다. ④ 정체 공정은 부품의 가공 시 다음 가공 또는 조립을 위해 기다리는 대기와 저장을 의미하고 기호는 ▽(저장), D(대기, 정체)이다.
③
73
기계, 전기설비 등의 위험요인을 관리적 측면에서 그 원인을 설명하였다. 옳지 않은 것은? ① 기술적 원인으로 기계장치의 설계불량, 구조재료의 부적합성, 생산방법의 부적절, 점검 및 보존 불량이다. ② 교육적 원인으로 안전 수칙의 부족과 오해, 경험 훈련 미숙, 작업 방법과 유해 위험작업에 대한 교육의 불충분이다. ③ 작업관리 상 원인은 안전관리 조직이 결여되거나, 안전 수칙의 미숙, 작업준비의 불량, 인원 배치의 부족 등이다. ④ 불안전한 물적 상태와 불안전한 인적 행동이 그 요인이다.
④
74
기계, 전기설비 등의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는 것은? ① 사업장 순회점검에 의한 방법 ② 청취조사에 의한 방법 ③ 안전보건자료에 의한 방법 ④ 안전관리자가 작업 관찰에 의한 방법
④
75
기계•전기설비 등의 작업 재개 전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내용으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기계, 기구 설비 및 원재료의 신규 도입 또는 변경 ② 기계, 기구, 설비 등의 정비 또는 보수 ③ 작업방법 또는 신규 도입 또는 변경 ④ 안전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④
76
기계, 전기설비 등의 유해, 위험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4M을 활용할 때 그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MAN의 불안전한 행동 요인으로 노동자의 특성, 여성, 고령자, 비정규직과 작업자세 및 동작의 결함이다. ② MACHINE의 불안전한 상태 요인은 기계설비 및 위험방호 장치 불량, 본질적 안전의 결여 등이다. ③ MEDIA에 관한 물질적 환경적 요인은 작업공간의 불량, 가스, 증기 분진과 흄 발생,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등의 미비이다. ④ Management 요인은 사업주의 관리적 측면에서 안전의식의 결여이다.
④
77
기계, 전기설비 등의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각 절차를 진행할 때 내용으로 가장 가까운 것은? ① 위험요인의 평가를 위해 사전 준비,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재해 발생 인자가 높은 순위를 정하고 그위험도의 순위에 따라 위험성 개선 대책을 세우고 실행하는 과정이다. ② 위험요인은 작업 전 파악하여 작업 종료로 끝난다. ③ 동력으로 구동되지 않는 기계, 전기설비의 위험성만을 다룬다. ④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그 당해 사고에 대하여 위험성을 파악한다.
①
78
산업안전보건법 제84조 (안전인증) 제2항(용어 정확히). 고용노동부장관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제1항에 따른 안전인증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면제할 수 있다.
1. 연구ㆍ개발을 목적으로 제조ㆍ수입하거나 수출을 목적으로 제조하는 경우 2.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외국의 안전인증기관에서 인증을 받은 경우 3. 다른 법령에 따라 안전성에 관한 검사나 인증을 받은 경우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경우
79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안전인증 심사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예비 심사 ② 서면 심사 ③ 기술 능력 및 생산체계 심사 ④ 안전 인증심사
④
80
기계•전기설비 등의 안전 인증의 표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안전 인증을 받은 자는 안전 인증을 받은 유해·위험기계 등이나 이를 담은 용기 또는 포장에 고용 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 인증의 표시를 하여야 한다. ② 안전인증을 받은 유해·위험기계 등이 아닌 것은 안전 인증표시 또는 이와 유사한 표시를 하거나 안 전 인증에 관한 광고를 해서는 아니 된다. ③ 안전인증을 받은 유해·위험기계 등을 제조·수입·양도·대여하는 자는 안전 인증표시를 임의로 변경 또는 제거해도 된다. ④ 고용노동부장관은 유해.위험 기계 등의 안전 인증이 취소된 경우는 안전 인증표시나 이와 유사한 표시를 제거할 것을 명하여야 한다.
③
81
기계, 전기설비 등의 기계, 기구에 대하여 안전 인증을 취소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공고해야 하는 내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유해·위험기계 등의 명칭 및 형식번호 ② 안전인증 형식 ③ 제조자(수입자) 및 대표자 ④ 취소일 및 취소 사유
②
82
산업안전보건법 제89조에 따라 대통령으로 정하는 자율안전 확인 대상 기계 또는 설비 및 방호 장치로 옳은 것은? ① 롤러기 안전덮개 ② 교류 아크용접기 안전기 ③ 동력식 수동대패용 칼날 접촉 방지 장치 ④ 산업용 로봇 자동 전격 방지기
③
83
기계, 전기설비의 분류 번호에 따른 대분류명이 옳은 것을 고르시오. ① 1: 압력방출 계통 설비 ② 2: 배관계통 설비 ③ 3: 비상정지 계통 설비 ④ 4: 압력용기와 저장탱크 계통 설비
②
84
기계, 전기설비의 안전 점검 주기를 결정 시 고려 사항으로 볼수 없는 것은? ① 기기 제작자가 제공하는 고장을 일으키는 평균 시간 ② 사용주의 경험 즉, 기기 이력 기록상 고장을 일으키는 빈도의 추이 ③ 최초 설치한 후 경과 연수에 따라 부식 또는 마모 속도의 추이 ④ 사용되는 취급 물질 및 운전 조건 상태(온도, 압력, 기계적 부하, 운전시간 등)
②
85
기계, 전기설비의 안전 점검 계획서에 포함 사항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① 점검기기명, 우선순위 등급번호, 점검항목 및 주기, 점검자 자격, 점검 방법 ② 점검기기명, 우선순위 식별번호, 점검항목 및 주기, 점검자 자격, 점검 방법 ③ 점검기기명, 우선순위 식별번호, 점검항목 및 주기, 점검자 이력, 점검 방법 ④ 점검기기명, 우선순위 등급번호, 점검항목 및 주기, 점검자 이력, 점검 측정기
①
86
기계, 전기설비 안전 점검 결과서 포함 사항
점검일, 점검자 성명 및 자격, 기기의 이름 및 식별번호/ 우선순위등급, 점검 항목에 대한 점검 내용 기술, 점검 방법, 허용범위 대비 점검결과 및 조사하여야 할 사항, 점검결과 및 판정
87
기계 설비 등의 작업지역 안전 규칙 중 사전 해당 부서의 안전 작업허가를 받은 후 해야하는 작업이 아닌 것은? ① 화기 작업 등으로 폭발 위험이 있는 장소 ② 압력이 걸린 상태 또는 유해 위험물질이 들어있는 상태인 설비 또는 탭핑 작업 등 ③ 전기작업 ④ 이동식 크레인을 이용한 중량물 취급 작업
③
88
사업장 내에서 화학물질 취급 시 관련 내용이다. 틀린 것은? ① 모든 화학물질은 적합한 통 또는 용기에 넣어 지정된 장소에 보관 ② 날카로운 폐기물, 연무질 통(aerosol cans), 유해·위험물질이 함유된 통 또는 용기보관 ③ 누설 및 누출 시, 즉시 제거 후 적절한 경고 표지 부착 ④ 모든 화학물질은 음식용 포함, 내용물 외부 표시
④
89
전기설비 작업을 위해 단락 접지기구 설치 시 고려 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단락접지기구를 설치하기 후 전선의 손상, 클램프 단자의 풀림, 클램프의 결함, 기구의 결함 여부 등 점검 ② 단락접지기구는 활전상태에서 정비 작업을 수행하는 지점마다 설치 ③ 단락 접지 인하 도선은 부도체 구조물이나 스위치기어의 접지 버스에 먼저 접속한 후 정전 설비의 상도체 간 연결 ④ 단락 접지 인하 도선은 금속구조물이나 스위치기어의 접지 버스에 먼저 접속한 후 정전 설비의 상 도체 간 연결
④
90
폭발 위험장소의 전기설비 정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방폭 관련 규정과 사용자의 명세에 적합한 전선관이나 밀봉 상태(Seal)를 유지하여야 한다. ② 전기 기기의 덮개, 볼트, 스크류 등은 사용자가 권장하는 적절한 토크를 유지하여야 한다. ③ 방폭 전기설비의 변경과 부품의 교체는 제조자와 방폭 기기 인증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④ 방폭 전기설비는 사용자의 권고에 따라 정기적인 점검, 시험 및 수리를 통해 관리되어야 한다.
③
91
기계 및 전기설비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과전류 차단장치를 설치할 때 요건으로 부적합한 것은? ① 과전류 차단장치는 반드시 접지선이 아닌 전로에 직렬로 연결하여 과전류 발생 시 전로를 자동으 로 차단하도록 설치 ② 차단기 · 퓨즈는 계통에서 발생하는 최대 과전류에 대하여 충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질 것 ③ 과전류 차단장치가 전기계통상에서 상호 협조. 보완되어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할 것 ④ 작업자의 전격 재해 위험성을 차단하도록 할 것
④
92
기계 및 전기설비의 사용 중 전기 감전 사고의 예방 대책
① 전기 기기에 위험 표시를 할 것 ② 설비의 필요한 부분에는 보호 접지를 시설할 것 ③ 전기설비의 점검을 철저히 할 것 ④ 전기 기기 및 장치의 정비를 철저히 할 것 ⑤ 고전압 선로 및 충전부에 근접하여 작업하는 작업자 보호구 착용 ⑥ 유자격자 이외는 전기기계 및 기구에 접촉을 금지시킬 것 ⑦ 충전부가 노출된 부분에는 절연방호구를 사용 ⑧ 안전관리자는 작업에 대한 안전교육을 실시 ⑨ 사고 발생 시의 처리 순서를 미리 작성하여 둘 것
93
기계 및 전기설비가 있는 사업장에서 화재 등의 재해가 발생 시 피난 대책으로 틀린 것은? ① 평상시에 안전한 피난 구역을 지정하여 익혀 둔다. ② 옥외의 피난계단은 각층마다 방화문을 둬 연기 및 화염이 계단실에 들어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③ 옥외의 피난 계단은 방의 창문에서 나오는 화염이 미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④ 긴급 시에 필요한 활강대를 설치한다.
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