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하나의 송신자가 같은 서브네트워크 모든 수신자 에게 전송
브로드캐스트
2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인식하는 기술
OCR
3
지속적인 통합 및 배포를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를 단축하는 방법론.
CI/CD
4
기능은 수정하지 않지만, 복잡한 소스코드를 효율적으로 재정리하여 가독성/유지보수성을 올리는 행위
리팩토링
5
네트워크 간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장치
라우터
6
인터넷에서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이다.
TLS
7
데이터 미러링을 동해 데이터 복제 및 보호를 제공함. (2개 쓰지만, 1개만큼 용량만 씀
RAID 1
8
클라이언트와 다른 서버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하는 서버
프록시 서버
9
QR코드를 통해 악성 앱을 받게 함.
Qshing
10
아파치에서 발표한 버전관리 도구
SVN
11
현실 세계 추상화하거나 모델링하여 일반화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모델링 언어
UML
12
소프트웨어 변경 사항을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활동
형상관리
13
일반적인 이메일로 위장한 후 메일을 지속적으로 발송 링크가 첨부된 파일을 클릭하게 유도 후 개인정보 탈취
스피어 피싱
14
프로세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객체
DTO
15
정보 시스템, 웹 애플리케이션 등의 알려지지 않은 취약점 및 보안 시스템에서 탐지되지 않는 악성코드 감염
제로데이 공격
16
데이터와 패리티 정보를 블록 레벨에서 분산 저 장하여 데이터 보호와 읽기 성능 향상을 동시에 제공 (HDD 3개 이상일 때, 패리티영역 존재)
RAID 5
17
데이터 스트라이핑을 통해 성능 향상을 피하지만, 데이터 보호 기능이 없음.
RAID 0
18
암호화 혹은 단방향 해시함수에서 추가로 입력하여 사용되는 임의의 문자열
솔트
19
테이블을 작은 논리적인 단위인 파티션으로 나누 는 것
파티셔닝
20
같은 내용의 데이터 여러명의 득정한 일부 그 수신자에게 전송
멀티캐스트
21
TCP의 3-way-handshake 과정을 의도적으로 중단 공격 대상자의 서버가 대기 상태에 놓여 정상적인 서비스 수행을 못하게 함
SYN Flooding
22
단 하나의 수신자에게 1:1 정보 전송
유니캐스트
23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논리적 연결이 설정되지 않고, 패킷이 독립적으로 전송되는 방식
데이터그램 방식
24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패킷의 크기가 클 때 분할 순서를 알기 위해 Fragment Offset을 함께 보냄 이 값을 변경시켜 과부하를 일으키고 시스템 다운
TearDrop
25
운영체제의 메모리 할당 방법으로 주기억장치보다 프로세스의 요청 메모리가 클 때 보조기억장 치의 일부를 사용하는 저장장치
가상메모리
26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NoSQL
27
RAID 5와 유사하나, 이중 패리티를 사용하여 두 개의 디스크 장애까지 견딜 수 있음. (HDD 4개 이상, 패리티 영역, 2개의 하드 장 애까지 견딜 수 있음)
RAID 6
28
분산 버전관리 시스템
GIT
29
RAID 0과 RAID 1을 결합하여 스트라이핑과 미러링을 동시에 제공함. (HDD 4개 이상 적용 가능. 장착된 HDD의 점 반 만큼으로 용량 적용)
RAID 10
30
패스워드 크래킹 기법 패스워드 별로 해시값을 미리 생성해놓은 테이블을 사용하여 Reduction 함수의 반복 수행을 통해 일치하는 해시값으로 패스워드 탈취
Rainbow Table Attack
31
( )는 데이터 전송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일 비트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할 수 있는 오류 검출 및 정정 코드 (원리) 코드워드 생성: 원본 데이터 비트에 추가적인 패리티 비트를 삽입하여 코드워드를 생성합
해밍코드
32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자연어 처리 듣 수행하는 인공지능 모델.
LLM
33
데이터 소스 근처에서 처리를 수행하는 분산 컴퓨팅
엣지 컴퓨팅
34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 집계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나 프로그램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데이터를 전략적인 정보로 변환하여 의사결정에 활용
OLAP
35
( )는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를 묶어 데이터 중복과 성능 향상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기술
RAID
36
프로그램 실행 중 오류 등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실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예기치 못한 상황을 처리한 이후에 다시 작업 중인 것으로 돌아가는 것. (예를 들어 프로그램 실행 중 프린터 하드웨어를 실행하면 프린터를 즉시 실행시킨다.)
인터럽트
37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장치
스위치
38
통신 방법으로, 데이터 전송 전에 송수신 측 사이에서 물리적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경로에 따라 연속 스트림 데이터로 전송
회선 교환 방식
39
프로세스 간 동신 (세마포어, 공유메모리, 소켓, 파이프)
IPC
40
( )는 데이터 전송 중 오류 검술을 위해 사용되는 단순한 오류 검출 코드입니다. 주로 비트 단위의 데이터 전송에서 활용.
패리티 비트
41
데이터베이스를 수평적으로 분할하여 데이터의 부분 집합을 포함하게 하는 것
샤딩
42
소프트웨어의 개발 타당성 검토부터 폐기까지의 전 과정을 생명 주기로 모형화하여 틀을 제공하는 모델
SDLC
43
여러 특정 기능과 관련된 모들들을 하나의 상위로 묶은 것. 혹은 폴더.
패키지
44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데이터 변환 기술
ORM
45
대량의 UDP 패킷을 이용하여 호스트의 네트워크 자원을 소모
UDP Flooding
46
특정 타입의 데이터베이스의 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객체
DAO
47
자연어를 처리하고 이해하는 인공지능 기술.
NLP
48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데이터 전송을 위해 가상의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를 전송
가상회선 방식
49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는 소프트웨어.
RPA
50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와 맵핑한 시스템
DNS
51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수정/삭제/삽입 등 이벤트 발생시 자동으로 DBMS에서 실행되도록 정의된 프로그램
트리거
52
네트워크 동신에서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적 단위
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