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 )들의 무장투쟁은 1919년 3·1운동을 기점으로~ 청산리·봉오동전투(1920)에서 일본군을 대파하는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
독립군
2
청산리·봉오동전투 이후에도 독립군들의 항일투쟁은 계속되었는데, 194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 )으로 개편되면서 보다 체계적인 항일무장투쟁 전개
한국광복군
3
2016년부터 시행된 「군인복무기본법」~ 군인의 ( ) 보장을 천명
기본권
4
병사들의 ( )이 인정되고 있지만 분명한 제한도 존재한다.~
기본권
5
국가안보와 국토방위를 목적으로 하는 군대는 그 어떤 조직과 달리 ( )를 최우선 과제로 설정한다. "전쟁에서 2둥은 없다"
임무 완수
6
전투에 이기기 위해서는~ 희생과 헌신 강요~ 지휘체계에 입각한 ( )과 ( )은 절대적으로 중요한 가치이다. 상명하복의 위계구조~
명령, 복종
7
군대만큼 조직적 ( )의 중요성을 잘 보여주는 조직도 없다~ 운명공동체가 형성되는 것이다.
단결과 협동
8
( )는 전투상황에서 더욱 중요하다.~ 엄격한 규율과 기강을 요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군기
9
민주 국가에서 군은 특정집단이나 개인의 군대가 아니라 국민을 위한 국민의 군대. ~군은 엄정한 ( )을 통해 군이 정치적으로 이용당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정치적 중립
10
전투상황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심적 대비다. 전투에 뛰어들기 전에 ( )을 해야 한다는 것~ 단단히 ( )을 하고 사선에 나가야~
정신무장
11
이기는 군대는 강인한 정신력으로 무장한 군대이다.~ 이러한 정신전력을 ( )으로 정식화하고 있다.
군인정신
12
( )는 군대의 기율이며 생명과 같다. ( )를 세우는 목적은~
군기
13
( )는 군 복무에 대한 군인의 정신적 자세이며, ( )왕성한 군인~ 왕성한 ( )를~
사기
14
전쟁의 승리는 오직 ( )된 힘에 의하여 얻을 수 있다~ ( )의 요체는 전원이 한 마음 한 뜻~ 굳게 ( )하여야 한다.
단결
15
( )은 전투력 배양의 필수 요소로서~ 육성~ 부대훈련에 힘써야 한다.
교육훈련
16
( )의 사전적 의미는~ 타인의 승인이나 존경~ 아리스토텔레스~ ( )라고 이야기하면서 참다운 ( )는~
명예
17
( )이란 진실된 마음으로 자신의 정성을 다하는 것~ 흔히 ( )의 대상으로 상관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궁극적인 ( )의 대상은 국사와 국민~ ( )은~
충성
18
( )는 씩씩하고 굳센 기운~ ( ) 있는 사람은~ ( ) 있는~ ( ) 있는~
용기
19
( )이란 기필코 이겨야 한다~ ( )이 탄생한다.
필승의 신념
20
( )는 글자 그대로 전투에 돌입하면 죽기를 각오하고 싸워 물러서지않음~ ( )의 계율은~
임전무퇴
21
( )는~ 군인에게 주어진 모든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필요한 덕성~ ( )는 군인이 견지해야 할 가장 궁극적인 가치이다
책임완수
22
군인에게 ( )은 모든 희생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근본적인 가치이다~ 뜨거운 ( )이 바탕에 있어야 한다
애국심
23
군 복무는 한 개인의 가치관 형성에 많은 도움울 준다~ 건전하고 ( )으로서 갖추어야 할 가치관~
성숙한 민주시민
24
군의 전투력은 국민의 지지와 성원없이 발휘될 수 없으며 이는 흔들릴 수 없는 군 기강과 ( )을 바탕으로 한다~ 군 기강과 ( )은 상충되는 개념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
인권보장
25
군인의 ( )는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필수요소이다. ( )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전투의지
26
( )가 없는 국가는 존재할 수 없다는 말처럼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국가를 방위하는 ( )는 필수불가결한 존재이다
군대
27
( )은 군이 추구하는 이상적 생각과 가치~
국군의 이념
28
( )은 군이 마땅히 수행해야 할 근본적 임무~
국군의 사명
29
군대와 군인 신분애 대해 가치와 능력을 믿고 당당히 여기는 ( )을 갖는 것~ 높은 ( )과 자존감~
자부심
30
지금 이순간에도~ ( )을 계승하여 사명울 완수
국군의 전통
31
승리하는 부대의 가장 큰 특징은 ( )을 통한 부대의 단결이다~ 지휘관(자)~
강력한 리더쉽
32
실전적인 교육훈련은 ( )를 더욱 강화한다. 전우를 반드시 구한다는 생각~
전우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