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계절학기 시험
  • ユーザ名非公開

  • 問題数 33 • 1/26/2024

    記憶度

    完璧

    4

    覚えた

    14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제1류 위험물 산화성 고체의 뜻은?

    내가 가지고 있는 산소를 다른 물질에게 주는 산소공급원 역할을 하여 다른 물질의 연소를 돕는 고체(조연성물질)

  • 2

    무기과산화물을 물로소화하면 안되는 이유

    알칼리금속,알칼리토금속은 물과 반응시 수산화물과 산소가 발생한다, 발생한 산소는 화재를 도와주는 조연성 역할을 하므로 물로소화하면 안된다.

  • 3

    알칼리 금속과 알칼리 토금속중 더 안정한 것은?

    알칼리 토금속, 안정된 상태가 되려면 최외각 전자가 8개가 필요한데 알칼리 토금속은 최외각 전자가 2개로 전자가 6개가 필요한반면 알칼리금속은 최외각 전자가 1개로 전자가 7개가 필요하다 즉 알칼리 토금속이 알칼리 금속보다 안정된 상태이다 , 또한 1족 원자들은 전자1개만 버리면 안정해지니 2족보다 반응성이 크다고 볼수있다

  • 4

    과산화나트륨을 휴지에 싸서 마찰하는 반응에서 각 역할은?

    가연물 : 휴지, 점화원 : 마찰열, 산소공급원 : 공기 중 산소, 과산화나트륨 : 주변의 수분과 반응해 산소를 발생시켜 분해를 촉진시킨다

  • 5

    제1류 위험물과 제2류 위험물을 혼재하면 안되는 이유

    화재시 제1류 위험물에서 산소가 발생해 제2류 위험물을 연소시키기 때문에

  • 6

    철,마그네슘,금속분이 분말형태가 위험한 이유

    분말 형태가 되면 표면적이 커지고 산소와의 친화력이 커져 폭발의 위험이 증가한다

  • 7

    알킬알루미늄(TMA, TEA)과 물이 반응하면 발생하는 것은?

    수산화 알루미늄(Al(OH)₃)과 탄화수소가스(메탄,에탄)이 발생한다

  • 8

    제3류 위험물의 소화약재는?

    마른모래, 분말소화약재(건조탄산나트륨,탄산칼슘,염화나트륨)

  • 9

    제4류 위험물 수용성과 비수용성의 지정수량이 차이나는 이유는?

    수용성은 물에 녹아 많은 양을 저장해도 괜찮지만 비수용성은 물에 녹지 않으므로 적은양을 저장한다.

  • 10

    보일오버란?

    드럼통을 열면 공기 중의 수분이 들어간다, 그 후 드럼통을 닫으면 드럼통안의 공기가 머문다., 드럼통안의 공기가 날씨가 추워지면 공기가 응축해 물방울이 맺히고 밑으로 떨어지게 된다, 떨어진 물방울은 탱크 아래쪽으로 모이게 된다, 기름이 연소시 밑에 모인 수분이 끓게되는데 물은 끓게 되면 1700배 팽창한다, 따라서 기름이 수분에의해 넘치게 된다.

  • 11

    슬롭오버란?

    화재시 물이 들어있는 소회약재를 사용할 때 소화약재의 물이 끓어 기름이 밀리게 되는 현상

  • 12

    아세트산과 물이 반응하면?

    아세트산은 제4류 위험물중 제2석유류로 수용성이다 따라서 물에 녹아 위험하지 않다

  • 13

    에탄올과 물이 반응하면?

    에탄올은 제4류 위험물중 알코올류로 수용성이다 따라서 물에 녹아 위험하지 않다

  • 14

    제4류 위험물(기름) + 물

    물은 극성, 기름은 비극성으로 서로 섞이지 않는다, 기름의 비중이 물보다 작아 물에 뜬다, 즉 화재시 물을 사용하면 비중차로 인해 화재를 확대 시키므로 주수소화가 불가능한다(질식소화 해야함)

  • 15

    제4류 위험물의 증기의 비중은?

    제4류 위험물의 증기의 비중은 공기보다 커서 밑으로 내려간다.

  • 16

    안전거리란?

    위험물시설과 다른 공작물간의 소방안전상 확보해야하는 수평거리

  • 17

    보유공지란?

    화재예방과 진압차원에서 보유해야 할 공지

  • 18

    보유공지의 기능은?

    연소확대방지, 소화활동, 피난, 유지보수

  • 19

    안전거리에 따른 건축물 구조

    제조소,공작물간 거리 5m이상 : 불연재료, 제조소,공작물간 거리 5m이하 : 내화구조, 제조소,공작물간 거리 x : 개구부가 없는 내화구조

  • 20

    보유공지가 중복이면?

    최대너비를 적용한다

  • 21

    내화구조와 불연재료란?

    내화구조 : 화재시 무너지지 않는 것, 불연재료 : 화재시 불이 붙지 않는 것

  • 22

    제조소의 지하층

    기본적으로 지하층에는 가연성증기가 체류해 지하의 전기선등에 연쇄폭발이 일어날수있어 지하층은 없어야한다, 단 예외로 윗면에서 지반면까지의 높이가 천장높이의 절반이상이면 지하층이 있어도된다

  • 23

    제조소의 지붕

    폭발력이 위로 방출될 정도의 가벼운 불연재료로한다, 단 제2류,제4석유류,동식물유류,제6류 위험물을 취급하거나 철근콘크리트조, 외부화재에 90분이상 견디는 밀폐형일 경우 내화구조로 가능하다

  • 24

    제조소의 바닥

    위험물이 스며들지않는 재료, 적당한 경사, 최저부에 집유설비

  • 25

    제조소의 채광설비

    불연재료, 연소의 우려가 없는 장소, 채광면적을 최소화한다, 채광설비는 조명의 기능을하고 내부의 분진, 유해가스를 배출한다.

  • 26

    제조소의 배출설비 중 국소방식과 전역방식의 배출능력의 차이는?

    국소 : 시간당 배출장소 용적의 20배, 전역 : 바닥면적 1m² 당 18m³

  • 27

    제조소의 유분리장치

    비수용성(20’C 물에 100g당 용해되는 양이 1g미만)일 경우 설치한다

  • 28

    제조소에서 압력계의 역할

    1차 압력계에서 압력을 확인한 뒤 1차 배관으로 들어간다, 감압밸브에서 압력이 떨어져 감압상태가 된다, 2차 압력계에서 감압상태를 확인한다, 감압상태가 아니면 안전밸브에서 배출하게 된다

  • 29

    제조소의 바이패스 배관의 역할

    1차 배관이 고장났을 때 모두 잠근 뒤 2차 배관인 바이패스 배관을 사용한다

  • 30

    제조소의 정전기 제거설비를 사용하는 이유와 조건

    점화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접지, 공기이온화, 상대습도70%이상

  • 31

    금속성배관 부식방지 조치는?

    코팅, 도복장, 전기방식(희생양극방식), 전기방식(외부전원방식)

  • 32

    옥내저장소의 지붕

    가벼운 불연재료, 반자x, 단 제2류,제6류 위험물 저장 시 내화구조, 단 제5류 위험물 저장시 반자o -> 반자를 설치해 통기시켜 열을 식혀주기 위해

  • 33

    옥내저장소 바닥에서 물이 스며드는 구조가 아닌경우

    무기과산화물 : 물과 반응해 산소 발생, 철분,금속분,마그네슘 : 물과 반응해 수소 발생, 금수성물질 : 물과 반응해 수소, 탄화수소 발생, 제4류 위험물 : 보일오버,슬롭오버 현상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