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220년 후한 멸망 이후 수가 통일하는 589년까지 약 370여 년 간을 ------ 시대라 한다
위진 남북조
2
220년 --- 멸망 이후 수가 통일하는 589년까지 약 370여 년 간을 ------시대라고 한다.
후한,위진 남북조
3
220년 --- 멸망 이후 --가 통일하는 589년까지 약 370여 년 간을 위진 남북조 시대라고 한다.
후한,수
4
----년 후한 멸망 이후 수가 통일하는 ----년까지 약 370여 년 간을 위진 남북조 시대라고 한다.
220,589
5
4세기 초 5개 북방 민족(선비,흉노,갈,강,저족)이 화북 지방을 차지하고 여러 나라를 세운 후 북위가 통일하는 5세기 초까지를 ----- 시대라고 한다
5호 16국
6
4세기 초 5개 -- 민족(선비,흉노,갈,강,저족)이 --지방을 차지하고 여러 나라를 세운 후 --가 통일하는 5세기 초까지를 5호 16국 시대라고 한다
북방,화북,북위
7
4세기 초 5개 북방 민족(--,--,--,--,--)이 화북 지방을 차지하고 여러 나라를 세운 후 북위가 통일하는 5세기 초까지를 5호 16국 시대라고 한다
선비,흉노,갈,강,저족
8
--세기 초 5개 북방 민족(선비,흉노,갈,강,저족)이 화북 지방을 차지하고 여러 나라를 세운 후 북위가 통일하는 --세기 초까지를 5호 16국 시대라고 한다
4,5
9
---이 세운 나라 북위의 효문제는 북방 민족과 한족의 문화를 융합하여 수,당 문화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선비족
10
선비족이 세운 나라 --의 효문제는 -- 민족과 --의 문화를 융합하여 수,당 문화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북위,북방,한족
11
선비족이 세운 나라 북위의 ----는 북방 민족과 한족의 문화를 융합하여 수,당 문화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효문제
12
위 시기부터 중정관이 지방의 유능한 인재를 등급을 나누어 추천한 후 관리로 등용하는 -------를 실시하는데 이를 통해 호족은 중앙 관리로 진출하여 -- 귀족으로 성장하였다.
9품중정제,문벌
13
위 시기부터 ---이 지방의 유능한 인재를 등급을 나누어 추천한 후 관리로 등용하는 9품중정제를 실시하는데 이를 통해 --은 중앙 관리로 진출하여 문벌 귀족으로 성장하였다.
중정관,호족
14
위진 남북조 시대에 이동한 한족의 농토 개간과 발전된 농사 기술 적용으로 --이 본격적으로 개발되었다.
강남
15
위진 남북조 시대에 이동한 한족의 ----과 발전된 ---- 적용으로 강남이 본격적으로 개발되었다.
농토 개간,농사 기술
16
위진 남북조 시대에 이동한 --의 농토 개간과 발전된 농사 기술 적용으로 --이 본격적으로 개발되었다.
한족,강남
17
한 대에 중국에 들어 온 --교는 위진 남북조 시대의 혼란기에 왕실과 귀족의 보호를 받으며 널리 전파되었다.
불
18
-- 대에 중국에 들어 온 불교는 위진 남북조 시대의 혼란기에 --과 --의 보호를 받으며 널리 전파되었다.
한,왕실,귀족
19
위진 남북조 시대에는 간다라 미술의 영향을 받아 --과 룽먼,둔황 등에 거대한 석굴 사원이 만들어지고 고구려와 백제에 불교가 전파되었다.
윈강
20
위진 남북조 시대에는 --- 미술의 영향을 받아 윈강과 룽먼,둔황 등에 거대한 ----이 만들어지고 고구려와 백제에 불교가 전파되었다.
간다라,석굴 사원
21
위진 남북조 시대에는 간다라 미술의 영향을 받아 --과 --,-- 등에 거대한 석굴 사원이 만들어지고 고구려와 백제에 불교가 전파되었다.
윈강,룽먼,둔황
22
위진 남북조 시대에는 간다라 미술의 영향을 받아 윈강과 룽먼,둔황 등에 거대한 석굴 사원이 만들어지고 ---와 --에 --가 전파되었다.
고구려,백제,불교
23
위진 남북조 시대에는 도가 사상과 민간 신앙이 결합되어 --교로 발전하였다.
도
24
위진 남북조 시대에는 -- 사상과 -- 신앙이 결합되어 도교로 발전하였다.
도가,민간
25
위진 남북조 시대에 남조에서는 혼란스러운 사회를 벗어나 자유로운 삶을 추구한 -- 사상이 유행하였는데 죽림칠현이 유명하였다.
청담
26
위진 남북조 시대에 남조에서는 혼란스러운 사회를 벗어나 자유로운 삶을 추구한 청담 사상이 유행하였는데 ----이 유명하였다.
죽림칠현
27
위진 남북조 시대에 --에서는 혼란스러운 사회를 벗어나 --- 삶을 추구한 청담 사상이 유행하였는데 죽림 칠현이 유명하였다.
남조,자유로운
28
귀족 문화가 발달한 남북조 시대에 시는 ---, 서예는 ---, 회화는 ---가 이름을 날렸다.
도연명,왕희지,고개지
29
귀족 문화가 발달한 남북조 시대에 --는 도연명, ---는 왕희지, --는 고개지가 이름을 날렸다.
시,서예,회화
30
----가 발달한 --- 시대에 시는 도연명, 서예는 왕희지, 회화는 고개지기 이름을 날렸다.
귀족 문화,남북조
31
수를 건국한 문제는 균전제, 부병제를 정비하고, 문벌 귀족의 관직 독점 방지를 위한 --제를 실시하여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당은 이 제도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과거
32
수를 건국한 문제는 --제, --제를 정비하고, 문벌 귀족의 관직 독점 방지를 위한 과거 제를 실시하여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당은 이 제도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균전,부병
33
수를 건국한 --는 균전제, 부병제를 정비하고, -- 귀족의 관직 독점 방지를 위한 과거 제를 실시하여 --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당은 이 제도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문제,문벌,왕건
34
수의 양제는 화북과 강남을 잇는 ---를 건설하여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였다.
대운하
35
수의 양제는 --과 --을 잇는 대운하를 건설하여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였다.
화북,강남
36
수의 --는 화북과 강남을 잇는 대운하를 건설하여 ------를 강화하였다.
양제,중앙 집권 체제
37
수는 대규모 토목 공사와 -/- 원정 실패로 각 지에서 반란이 일어나 37년 만에 멸망하였다.
고구려
38
수는 ------공사와 고구려 원정 실패로 각 지에서 반란이 일어나 --년 만에 멸망하였다.
대규모 토목,37
39
당 태종 때에는 수의 제도를 이어받아 율령 체제 를 완성하였고, 중앙아시아와 --을 정벌하여 동 서 교역로를 확보하였으며 고종 때에는 신라와 연합 하여 백제와 ---를 멸망시켰다.
돌궐,고구려
40
당 태종 때에는 수의 제도를 이어받아 -- 체제 를 완성하였고, 중앙아시아와 돌궐을 정벌하여 동 서 교역로를 확보하였으며 고종 때에는 신라와 연합 하여 --와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율령,백제
41
당은 통치 제도를 정비하여 중앙에 ----를 운영하고, 지방에 주, 현을 두어 관리를 파견하였다.
3성 6부
42
8세기 중엽 당은 ---전투(751)에서 이슬람의 아바스 왕조에게 패하고, --의 난(755)을 겪으면 서 위기를 맞았다. 이 시기 중국의 제지술이 이슬람 세계에 전해지게 되었다.
탈라스,안사
43
8세기 중엽 당은 ---전투(751)에서 이슬람의 아바스 왕조에게 패하고, --의 난(755)을 겪으면 서 위기를 맞았다. 이 시기 중국의 ---이 이슬람 세계에 전해지게 되었다,
탈라스,안사,제지술
44
당은 8세기 이후 중앙에서 권력 다툼이 계속되는 가운데 9세기 후반에 농민 반란인 --의 난이 일어나 더 욱 쇠퇴하였고, 결국 --- 세력에게 멸망하였다(907).
황소,절도사
45
당대에는 시(이백과 두보), 그림(왕유), 글씨(구양순체) 등 --적인 문화가 발달하였다.
귀족
46
당대에는 시(--과 --), 그림(--), 글씨(---체) 등 귀족 적인 문화가 발달하였다.
이백,두보,왕유,구양순
47
당대에는 여러 나라의 사신과 유학생, 유학 등 이 모여들었고 조로아스터교, 경교(네스토리우스교), 마니교, 이슬람교(회교) 등 다양한 종교가 전래되었으며 당삼채의 유행, 페르시아와 비잔티움 제국의 문화가 전래되는 등 --적인 문화가 발달하 였다.
국제
48
당대에는 여러 나라의 사신과 유학생, 유학 등이 모여들었고 ------교, -교(네스토리우스교), --교, ---교(회교) 등 다양한 종교가 전 래되었으며 당삼채의 유행, 페르시아와 비잔티움 제 국의 문화가 전래되는 등 국제적인 문화가 발달하 였다.
조로아스터,경,마니,이슬람
49
당대에는 훈고학이 발달했는데 태종 때 훈고학 을 집대성한 『----」 가 편찬되었다.
오경정의
50
당대에는 ---이 발달했는데 태종 때 ---을 집대성한 『오경정의」 가 편찬되었다.
훈고학
51
기원전 3세기 무렵 일본에서는 한반도와 대륙으로부터 벼농사와 청동기 문화를 받아들여 ---문화가 성립되었다.
야요이
52
기원전 3세기 무렵 일본에서는 한반도와 대륙으 로부터 ---와 ---문화를 받아들여 야요이 문화가 성립되었다.
벼농사,청동기
53
4세기경 성립된 야마토 정권은 한반도의 삼국과 중국의 문화를 받아들여 6세기경 --- 문화(시대)를 발달시켰다. 이 시기 ---태자는 제도 개혁과 불교 발전에 크게 기여 하였다.
아스카,쇼토쿠
54
4세기경 성립된 야마토 정권은 한반도의 삼국과 중국의 문화를 받아들여 6세기경 아스카 문화(시대)를 발달시켰다. 이 시기 쇼토쿠태자는 제도 --과 -- 발전에 크게 기여 하였다.
개혁,불교
55
일본은 645년 당의 율령을 받아들여 --- 개신 을 단행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하였다. 이후 ‘일본', '천황(덴노)'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다이카
56
8세기 초 일본은 당의 장안성을 본뜬 헤이조코로 수도를 옮기는데 이 시대를 --시대라 한다. 이 시기에 역사서 『고사기』, 『----』등도 편찬되었으며 불교가 크게 발전하여 도다이사와 같은 대규모 사찰이 건립되었다.
나라,일본서기
57
8세기 중반 왕실과 귀족의 대립이 심해지자 8세기 말 수도를 ----(--)로 옮기는데 이 시대를 헤이안 시대라 한다.
헤이안쿄,교토
58
헤이안 시대 말 귀족과 외척의 정치 개입으로 왕권이 약화되자 귀족과 지방 세력이 장원을 확대하고 이를 지키기 위해 --를 고용하는데 이는 --체제가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무사,막부
59
헤이안 시대에는 한자를 변형한 --문자가 만들어졌고, 주택과 관복 등에도 일본 고유의 특색이 나타났다.
가나
60
당의 제도와 문화가 주변 국가에 전해져 --, --, --, -- 등의 공통된 동아시아 문화권이 형성 되었다.
한자,율령,불교,유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