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경구 감염병
병원균이 먹는 물과 음식을 통하여 감염되는 병
2
호흡기계 감염병
병원균이 공기,호흡,비말(대화나 기침 재채기에 튀어나오는 수분 알갱이)들을 통하여 감염되는 병
3
피부점막 감염병
병원균이 있는 피부나 눈,가구 그릇등과 접촉하여 감염되는 병
4
동물 및 곤충에 의한 감염병
병원균이 쥐,파리,진드기,바퀴벌레등을 통하여 감염되는 병
5
경구 감염병과 세균성 식중독 차이
사진
6
경구 감염병의 종류
콜레라 폴리오 비브리오 패혈증 웨일씨병 보툴리눔 독소증
7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
소각->오염되었거나 오염이 의심되는 소독 대상 물건중 소각해야 할 물건은 불에 완전히 태워야한다 증기소독->유통증기를 사용하여 소독기 안의 공기를 빼고 1시간 이상 100*C이상의 습열 소독을 해야한다. 증기 소독을 할 경우 더럽혀지고 손상될 우려가 있는 물건은 다른 방법으로 소독해야한다 끓는 물 소독-> 소독할 물건은 30분 이상 100*c이상의 물속에 넣어 살균해야한다 약물소독->소독 대산 물건에 뿌린다 의류,침구,용구,도서,서류나 그 밖의 물건을 대상으로한다
8
채소류를 통하여 감염되는 기생충
회충증 편충증 요충증 십이지장충증
9
육류를 통하여 감염되는 기생충
무고 조충증(민 촌충증) ->민촌충이라고도하며 머리에 흡반(빨판) 4개가 있으며 소장 점막에 흡착한다 유고조충증(갈고리촌충증)->머리에 갈고리가 있어서 갈고리 촌충이라고 한다 흡반 갈고리로 소장 상부점막에 붙어있다 선모충->소장 점막에 기생.성충과 유충이 함께 기생한다 톡소플라즈마(고양이 원충증,인수공통 감염증)->톡소포자충은 고양이에 기생,포자낭을 형성해 감염을 일으킴
10
육류 및 어패류를 통하여 침입하는 기생충
사진
11
익충
-이익을 주는 곤충 -벌은 과일과 곡식의 열매를 맺도록 수분작용을 하고 꿀을 만듬 -연지벌레는 염료를 생산 -메뚜기는 식량 -굼벵이는 한약재로 쓰인다
12
위생 해충에 의한 질병의 생물학적 전파
-증식형->곤충에 물린 피부 상처를 통하여 감염되는 전파형 -배설형->곤충 체내에서 배설된 병원체가 손상된 피부 점막을 통하여 감염 -발육형->병원체가 양적으로 늘지는 않고 발육만하며 모기등이 있음 -발육증식형->병원균이 곤충의 체내에서 발육과 증식을 동시에 하면서 전파되며 체체파리 등이 있다 -경란형->병원체가 진드기에서 증식한후 난소에서 알이 부화하여 다음세대로 감염
13
쥐의 생태
-집에는 집쥐,곰쥐,지붕쥐,생쥐등이산다 -22일에 약 8마리정도 출산,수명 약 1년 -시각보다 촉각후각 발달 -하루에 체중의 약 1/4의 먹이를 먹고 먹는양의 10배 먹이를 배설물로 더럽힌다(잡식성) -사람의 손이 미치지 않는 곳에서 살며 야간에 주로 활동
14
쥐의 구제
-부분규제 효과X(전국동시실시->효과큼) -먹이 없애고 은신처도 없애기 -구제는 쥐덫,쥐틀,끈끈이 초음파 방서기등을 사용하여 잡거나 물리치고천적 고양이를 키운다
15
소포제
거품생성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것
16
유화제
물과 기름과 같이 섞이지 않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균일하게 섞어주거나 이를 유지 시켜주는것
17
응고제
과일이나 채소의 조직을 견고하게 유지되도록하거나 겔화제와 상호작용하여 겔을 형성하거나 강화하는것
18
보존제
미생물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여 식품의 보존기간을 연장시키는 것
19
증점제
식품의 점성을 증가시키는것
20
식품의 보존성 향상및 식중독예방
-식품의 보존성을 향상시켜 식중독을 예방하는것 -산화방지제,보존료,살균제등으로 예방
21
식품가공 및 제조시 필요
-제조와 가공을 돕는데도 사용 -두부는 콩 단백질을 응고하기위해->응고제 -중화면은 식감을 높이기 위해-> 면류 알칼리제 첨가 -기름 채취->추출용제 -청주나 맥주의 불순물을 제거-> 활성탄,규조토
22
영양소 보충 및 강화
가공식품의 제조 과정에서 손실되는 비타민이나 무기질 보충
23
식품 품질 향상과 식품의. 풍미 및 외관 향상
-광택제->색 -향미증진제,감미료,산미료->맛 -착향료->향기 -유화제,팽창제,증점제->식감보정 하여 식품품질 일정하게 유지
24
식품첨가물의 구비조건
1.인체에 유해하지 않을것 2.소량으로도 효과를 낼 것 3.식품의 제조‘가공에 필수 불가결할것 4.식품의 영양가를 유지할것 5.식품에 나쁜 이화학적 변화를 주지 않을것 6.식품의 화학분석등에 의해서 그 첨가물을 확인할 수 있을것 7.식품의 외관을 좋게할 것 8.식품을 소비자에게 이롭게할것
25
번식시험
암수의 생식능력,임신,분만,출산,사산,보육 등 차세대 번식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시험
26
최기형성 시험
임신중인 실험동물에게 화학 물질을 투여하여 최기형성 태아의 생존성,발생,발육에 대한 영향을 조사학 위한 시험
27
발암성 시험
화학물질의 발암성을 조사하는 시험
28
항원성 시험
알레르기의 유무를 조사
29
변이원성 시험
돌연변이를 일으키는지를 조사하는 시험
30
감미료
인공 감미료는 설탕보다 싸고,칼로리가 없고,갈변을 일으키지 않으며, 미생물에 의해 발효가 되지 않고 운반,보관 취급이 간편하여 식품 공업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31
감미료 종류
사카린 나트륨(용성 나트륨) 감초추출물 아스파탐 아미노산 아세설팜 칼륨 자일리톨
32
보존료
부패 미생물에 대한 발육을 억제하는 정균작용과 효소의 발효 억제작용, 살균작용 등으로 식품의 보존성을 높여서 영양가 및 신선도를 유지하는 물질로 식중독을 예방하고 저장성을 높여서 식량자원 확보에 도움을 준다 보통 방부제라고한다
33
증점제 종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나트륨 펙틴 잔탄검 구아검
34
산도조절제 및 산미료
-식품의 pH는 보존료나 산화방지 효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보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식품의 pH를 조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음료류,과즙,캔디,젤리 등에 산미료 또는 pH조정제로 사용되지만 단독으로 사용되는 일은 적고 대부분 구연산이나 사과산과 함께 사용된다 -주석산은 생체 내에서는 대사되지 않고 소변으로 배설되거나 장내 세균에 의해 분해되기도 한다 -산미료는 식품에 산미를 부여하여 맛을 조정하는것 -산미료는 유기산을 발효나 합성하여 제조 -1일 섭취 허용량은 ‘제한하지 않음’이다
35
구연산
식물에 널리 존재하는 유기산으로 감귤류에 많다
36
젖산
식품 중 요구르트,치즈,버터,청주 등에 많으며 청주 양조시에 젖산을 첨가하면 pH가 낮아져 잡균의 증식이 억제되고 풍미기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