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교목
수고가 높고 원줄기가 곧게 자라며 원줄기와 가지의 구분이 명확한 수목
2
침엽수의 종류
소나무,주목,향나무,전나무,메타세퀘이아,가문비나무,백향목,잣나무,잎갈나무,은행나무
3
장식용
꽃이나 열매,잎이 아름다워야한다
4
녹음용
녹음이 필요한 계절에 많은 그늘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5
방음용,차폐용
잎이 치밀한 상록교목이 적합하다
6
방풍용
심근성 수종이 적합하다
7
가로수용
공해에 강한 낙엽교목이 적합
8
수고
지표면으로부터 수관의 상단부까지의 수직 높이를 m로 표시한다
9
수관 폭
수관의 직경을 m로 표시한다 수관의 평면도가 타원일 경우 최대폭과 최소폭의 평균값으로 한다
10
흉고직경
사람의 가슴높이(1~2m)에서 측정한 수목의 직경을 cm로 표시한다
11
근원직경
지표면에서 측정한 수목의 직경을cm로 표시
12
낙엽수
휴면기인 가을~이른봄사이
13
뿌리돌림을 해야하는 수목
대형목,노거수(수세가 약한것)
14
굴취
이식이잘되는 수목,어린 묘목->나근상태로 굴취해도됨 이식력이약한,진귀한 이식시기가 적합하지 않은 수목->근원직경의 약 4배 크기로 뿌리분을 만들어 옮겨 심기를하면 활착이 잘됨
15
식재
1.원하는 곳에 식재하기 위해서 뿌리분의 1.5배 이상의 식재 구덩이를 파고 속흙과 겉흙을 분리하여 놓는다 2.겉흙을 비료대용으로 넣는다 3.2/3가량 채웠을떄 죽쑤기를하여 수목을 안정시키고 나머지 흙을 마저 채우고 밟아준다
16
전정의 목적
-수목의 생장조절 -개화 및 결실 조절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리적 균형맞춤 -노목의 세력갱신
17
안으로향한가지
내향지,역지
18
한국잔디
-난지형 -포복형 -밟힘(단압)에 강하고 병해충과 공해에도 강함 -주로 떼심기를 함
19
서양잔디
-한지형 -불완정포복형 -잔디밭 조성쉽고 푸른색을 띠는 시간이 길어 회복력이 빠름 -밟힘(단압)에 약함 -주로 종자파종을 함
20
배토(똇밥넣기)의 효과
건조 및 동해를 예방 태치의 분해를 촉진
21
잔디 깍기의 효과
잎의 발생부위가 낮아져 표면이 균일해지고 밀도가 높아져 잔디 세력이 좋아짐,잡초나 병해충의 핌입을 억제할 수 있음
22
통기작업의 정의
단단하게 다져진 토양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뚫는것
23
유기농산물
유기합성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산물
24
무농약 농산물
유기합성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 시비량의 1/3이하를 사용하여 재배한 농산물
25
닭의 품종 산란용닭
레그혼,미노르카
26
닭의 품종 육용닭
코니시,코친,한국토종닭
27
한국토종닭
-몸이 가벼우며 날개는 강해서 나는힘이 좋음 -성질이 활발하며 취소성이 강함 특히 병아리를 잘기름 -볏은 적색,단관이고 고기수염이 길며 목의 깃털이 많음 -근육은 기름이 적고,비육이 잘되지는 않지만 맛이좋음 -체중은 암탉이 1.9kg 수탉이 2.4Kg내외이며 연간 산란수는 180개 내외이다
28
취소성
알을 품거나 병아리를 기르는 조류 암컷의 행동
29
랜드레이스
귀가 앞으로 늘어져 눈을 가리고 있다
30
라지화이트
귀가 반드시 서있는것이 특징
31
한우
-원산지->대한민국 -육우중 우리나라에서 가장많이 사육되고있음 -체질이 강건하고 성질이 온순하여 다루기가 쉬우며, 좋지못한 사육환경에서도 잘자람 -털색은 황갈색이 표준이며,피부가 두껍고 질겨 ,고품질 가죽의 생산이 가능 -개체별로 체격이 고르지 못하고 몸집이 작으며,후구가 빈약
32
닭몸의 특징
-닭은 머리 몸통 날개 꼬리등으로 나눌 수있음 -닭은 이가 없고 뼈에는 기실이있으며 깃털은 얼굴과 정강이를 제외한 온몸을 감싸고 있음 -방광이 없고 항문은 총배설강으로 되어있음 -땀샘이 없다
33
병아리의 육추단계
어린병아리->첫모이를 주기부터 폐온까지 중간병아리->폐온이후부터 3개월령까지 큰병아리->3개월령부터 초산까지
34
새끼 돼지의 사양관리
-초유먹이기 -철분주사 놓기 -꼬리자르기(단미) -송곳니(견치) 자르기 -거세 -이유(젖떼기)
35
비육돈의 발육과정
골격->근육->지방
36
송아지의 사양관리
-갓태어난 송아지의 제 4위의 용적이 1.5L 정도이므로 1회에 먹이는 양이 1.5L를 넘지 않게해야함 -7일령~14일령->제각을 실시(뿔을 제거하는것)
37
육성기의 사양관리
질이좋은 사료를 충분히 먹임 (제 1위의 발달,등이 곧고 튼튼한 체질의 소로 자라기위해) -조사료는 초록색이 많은 부드러운 건초,풋베기 사료등이 좋음 (*풋베기 사료에는 수분이 많아 설사의 우려가 있으므로 건초를 섞는것이 좋음)
38
유우의 비유생리
-유방의 중량은 11~27kg인데 착유전에는 30~70Kg까지 증가 -유우의 유방은 서로 독립된 4개의 분방으로 나뉨 -함성된 우유는 다른 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비 -1Kg의 우유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500L정도의 혈액이 필요 -착유는 옥시토신이라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이루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