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고구려 태조왕의 업적은?
옥저 정복, 랴오둥 진출
2
고구려 미천왕의 업적은?
낙랑군 축출
3
백제 고이왕의 업적은?
목지국 공격, 체제정비
4
백제 근초고왕의 업적은?
고구려 공격, 마한 잔여 세력 복속, 왜와 교류
5
신라 내물왕의 업적은?
진한 지역 대부분 차지
6
왕의 계승의 안정: ○○ 활동을 주도한 ○의 ○○ ○○로 다른 ○와의 ○○ 차이 발생 -> ○○○ ○○ ○○ 확립
정복, 왕, 권력 강화, 부, 세력, 일원적 왕위 계승
7
고구려 소수림왕의 업적은?
율령 반포, 태학 설립
8
고구려 광개토 대왕의 업적은?
영토 확장
9
고구려 장수왕의 업적은?
평양 천도, 백제 공격
10
3세기 후반 백제는 ○○ ○○의 기틀을 마련하고 ○○을 정비함
관료 체계, 법령
11
백제 무령왕과 성왕의 업적은?
사비 천도, 중앙 22부 설치
12
신라 지증왕의 업적은?
왕호 변경, 국호 신라 확정
13
신라 법흥왕의 업적은?
병부 설치, 율령 반포, 관리의 공복 제정, 상대등 설치
14
신라 진흥왕 업적은?
화랑도 개편, 한강 유역 병합, 대가야 정복, 적성비 순수비 건립
15
[신라의 왕호 변천] ○○○(귀인) -> ○○○(무당) -> ○○○(연장자) ○○○(대군장) -> ○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마립간, 왕
16
백제의 고이왕은 ○○○의 ○○○를 마련하고 ○○을 반포하는 등 ○○ ○○ ○○의 토대를 형성
6좌평, 관등제, 율령, 중앙 집권 국가
17
삼국의 관등제 특징은 ○○ ○○을 ○○에 편입시키고 ○○○○ 확립
지배 세력, 관등, 위계질서
18
신라의 ○○○는 ○○○ ○○을 ○○ ○○으로 포섭하는 과정에서 ○의 세력에 따라 ○○ 부여
골품제, 부족장 세력, 중앙 귀족, 부, 지위
19
신라의 ○○○는 ○○○와 결합하여 ○○에 따라 ○○ ○○ 제한
골품제, 관등제, 골품, 승진 등급
20
삼국의 관등제에 따른 회의 기구의 변화: ○○들이 ○○ ○○ -> ○의 ○○ 후 결과 발표
귀족, 국정 논의, 왕, 제가
21
삼국의 지방 통치 체제 특징 : ○○ ○○ 체제 정비에 따라 각 ○의 ○○ ○○ 유지 불가능
중앙 집권, 부, 독자 세력
22
삼국의 지방 통치 체제의 특징 : 넓어진 ○○를 ○○○으로 관리하기 위해 ○○ ○○ 설치, ○○○ 파견
영토, 효율적, 행정 구역, 지방관
23
고구려의 지방 통치 체제 : ○ 중심의 ○○ ○○ 편성
성, 행정 구역
24
백제의 지방 통치 체제 : ○○○ 때 ○○○○에 ○○ 파견, ○○ 때 ○○을 ○○으로 편성
무령왕, 22담로, 왕족, 성왕, 전국, 5방
25
신라의 지방 통치 체제 : ○•○ 설치, 그 아래에 ○ 존재
주, 군, 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