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건국신화는 이상적 공동체의 원리 실현으로 널리 인간 세상을 이롭게 하고자 하는 ____ 정신은 우리 민족이 지향하는 이상적 공동체의 이념으로, 힘이나 법이 아니라 교화로 다스리는 ____로 실현된다.
홍익인간, 제세이화
2
도로써 세상을 다스린다는 고구려의 사상
이도여치
3
세상을 밝게 다스린다는 신라의 사상
광명이세
4
유교는 __과 같은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는 사상으로, __이 창시하였다.
인륜, 공자
5
도가는 기본적으로 __와 __의 사상에 바탕을 두고 ____을 주장하며 모든 사람은 만물을 차별하지 않는 __을 실천하고 자유롭게 노니는 __의 경지에 이르러야 한다고 여긴다.
노자, 장자, 무위자연, 제물, 소요
6
불교에 따르면, 세계의 모든 존재는 서로 인과적으로 의존하고, 이러한 진리를 모르는 중생은 ___에 빠져있다. 그래서 불교는 __을 깨달아 괴로움에서 벗어난 경지인 __을 추구하고, __을 실천하여 중생을 깨우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괴로움, 연기, 해탈, 자비
7
아울러 불교는 ___을 바탕으로 태어나기 전이나 다음의 문제, 나의 행위와 사후의 관계를 설명하여 삶과 죽음을 이해하는 동양의 사유에 큰 영향을 미친다.
윤회설
8
신라의 최치원은 난랑비 서문에서 "나라에 현묘한 도가 있으니 __라고 하는데,그 내용에는 유교, 불교, 도교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라고 하였다. 아울러 풍류는 ___의 정신적 밑거름이 되어 조화, 자연 친화, 평화 애호 등을 추구하도록 하였다.
풍류, 화랑도
9
공자는 인을 올바르게 알려면 공부를 하여 __을 키워야하고, 인을 실천하려면 __가 있어야 한다고 존다. 그래서 그는 인과 함께 지.용의 덕을 중시하고 이러한 덕을 닦아 인을 실천하는이상적 인격을 지닌 사람을 __라고 부른다.
지혜, 용기, 군자
10
공자는 인의 실천 원리로서 _을 제시한다. _은 내가 싫어하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지 않고, 오히려 내가 이루고 싶은 것을 다른 사람이 이루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서
11
공자가 제시한 인의 정치 적용 사상 2가지 ____ : 덕에 근본을 두고 예을 우선으로 해야한다. ____ : 자기의 명분에 부합하는 덕을 갖추고 자기 역할을 온전히 수행해야 한다
덕치사상, 정명사상
12
맹자는 타인을 사랑하는 __ __과 옳고그름을 분별하는 _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어진 마음, 의
13
맹자는 올바른 향동을 반복적으로 실천하여 ____를 잘 길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____: 지극히 크고 강한 기개로, 잘 기르면 천지간에 충만하게 된다.
호연지기
14
맹자는 군주가 백성을 아끼고 사랑하며 덕으로 다스리는 ____를 도덕적 정치로 제시하고 군주보다 백성이 귀하고 국가도 백성을 위해 존재하는 ____이 있다. 또 나라가 나라답지 못하면 왕조를 바꾸는 ____도 정당하고 여긴다.
왕도정치, 민본사상, 역성혁명
15
맹자는 귀를 누려도 마음이 방탕하지 않으며, 빈천에 처해도 평소의 지조를 바꾸지 않으며, 권력과 무력에도 굴복하지 않는 사람을 ___라고 부른다.
대장부
16
원인에 의해 생겨난 모든 현상은 원인이 없어지면 소멸하면서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점에서 영원하지 않다는 의미의 삼학중 하나는?
제행무상
17
연기의 원리에 따라 상호의존적이며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현상에는 '나'라는 불변의 자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의 삼법인중 하나는?
제법무아
18
영원성에 집착하는 중생에게 모든 현상은 본질적으로 괴롭다는 의미의 삼법인은?
일체개고
19
연기의 원리를 인생에 적용하여 인간이 겪는 고통의 원인과 그것을 제거하여 해탈에 이르는 방법인 사성제 4가지를 모두 쓰시오.
고성제, 집성제, 멸성제, 도성제
20
교종의 한가지 경향으로 스스로의 힘으로 단계적인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추구하는 경향인 3가지를 말하시오.
화엄종, 천태종, 법상종
21
교종의 한가지 경향으로 부처와 보살의 함에 의지하여 해탈을 추구하는 경향 한가지를 말하시오.
정토종
22
의천은 경전 공부와 명상 실천을 균형 있게 강조하는 _____를 주장한다.
교관겸수
23
지눌 사상의 의의에서 깨달음을 위해 정과 혜를 함께 닦아야 한다는 것은?
정혜쌍수
24
부처의 가르침을 말이느 글에 의하지 않고 바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여 진리를 깨닫게 하는 방법은?
교외별전
25
지눌이 참된 깨달음에 이르려면 __후에 __를 해야한다는 <____를 제시한다.> <-이 부분만 답
돈오점수
26
원효눈 교판에 대한 비판 의식을 바탕으로 모든 불경에 담긴 부처의 가르침 사이에 서로 모순이 없다는 것을 밝혀 종파 사이의 다툼을 화해하고자 하는 __을 시도 하였고 특히 ____에 주목하였다. ____이란 중생의 마음에 청정한 본래의 마음인 __와 선악이 뒤섞여 있는 현실의 마음인 __의 두 측면이 있지만 서로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화쟁, 일심사상, 진여, 생멸
27
__은 깨달음에 이르는 길로 중생 스스로가 자신의 본성이 곧 부처라는 것을 확실히 자각하는 __을 강조한다
혜능, 돈오
28
초기 불교의 수행법에서 대승불교의 수행법에 이르기까지 수행 단계를 설정한뒤 그에 따른 점진적 수행인 __의 과정을 거쳐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본 종단은? __
점수, 교종
29
대승 불교아 지향하는 __은 부처의 진리를 추구하며 모든 중생이 윤회의 고통에서 해방되도록 돕고자 하는 존재이다. __(제외)의 마음에는 ___과 __가 결합해 있다.
보살, 자비심, 지혜
30
부처가 열반에 든 후 시간이 흐르자 계율 해석을 둘러싸고 교단이 다양한 부파로 분열되었다. 이 시기의 불교를 __ __라고 한다. 이 불교는 초기 불교의 가르침을 체계화 하는 과정에서 복잡한 교리 연구를 중심으로 발전하면서 대중과 동떨어지게 되었다 __ __는 이러한 불교를 비판하면서 등장하였다.
부파 불교, 대승 불교
31
불교를 창시한 ___ _____는 인생의 괴로움을 자각하고 괴로움에서 영원히 자유로운 해탈의 길을 찾고다 출가를 단행하였다. 이는 흔히 ____라고 부른다.
고타마 싯다르타, 석가모니
32
성리학에서는 사람의 마음속에 ____(0)의 _(1)이 _(2)으로 부여되고, (2)은 _(3)으로 발현되며 구체적 내용은 __과 __이라고 설명한다.
인의예지, 덕, 성, 정, 사단, 칠정
33
__은 태극이 음약을 낳는다는 주역과 태극에 동정이 있다는 태극도설의 주장을 근거로 만물의 질료나 기운인 기뿐만 아니라 만물의 원리 혹은 법칙으로서 이 또한 운동성이 있다는 _____을 주장한다. 이에 따르면 이는 기의 주재자로서 기를 명령할 뿐 기에 구속되지 않는다고 하며 ____을 강조한다.
이황, 이기호발설, 이귀기천
34
__는 기는 형체와 운동성이 있지만 이는 형채도 운동성도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만물에 통하고 기는 형체에 국한된다는 ____을 주장한다. 또한 이는 운동성이 없고 기는 운동성이 있으므로 기가 발하고 그것에 이가 타는 것 한 가지일 뿐이라는 _______을 제시한다.
이이, 이통기국, 기발이승일도설
35
__에 따르면 사람의 근본 본성은 곧 이와 일치한다, 즉 인간에게는 하늘로부터 받은 순수하고 선한 본성인 ____또는 ____이 있다. 그리고 현실에서 이가 기를 떠나 존재하지 않듯이 인간에게는 타고난 기질의 영향을 받는 현실적 본성인 ____도 있다.
주희, 본연지성, 천명지성, 기질지성
36
___에 따르면, 모든 사람의 마음에는 __가 있다. __은 사단 가운데 시비지심과 같은 것으로, 선악과 시비를 판단하는 능력이라면서도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감정을 가리키기도 한다.
왕수인, 양지
37
대표적 실학자인 ___은 성리학의 '성즉리'를 비판하고 ____을 주장한다. 그는 기호를 생존을 위한 육체적 욕망인 ___ __와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고자 하는 욕구인 ___ __로 분류한다.
정약용, 성기호설, 형구의 기호, 영지의 기호
38
정약용은 인간에게는 선하고자 하면 선할 수 있고 악하고자 하면 악할 수 있는 _____이 있다고 여긴다.
자주지권
39
정약용에 따르면, 하늘을 두려워 하고 몸과 마음을 함부로 하지 않는 공부인 __을 강조한다.
신독
40
원효는 중생 구재를 위해 깨달음을 추구하는 보살의 정신에 따라 출가 수행자의 계율에 구속되지 않고 ___을 실천하였다.
무애행
41
의천의 선교 통합 노력과 의미부분에서 _ : 경전 속 부처의 가르침을 지적으로 이해하는 수행 방법 _ : 명상 속에서 부처의 가르침을 음미하면서 진리를 통찰하는 수행 방법
교, 관
42
지눌의 선종과 교종의 일치점을 찾으려 노력한 것으로 _ : 명상을 통해 자신의 본성을 고요히 관조하는 방법 _ : 경전 속 부처의 가르침에 담긴 의미를 통찰하는 방법
정, 혜
43
부처는 열반에 이르는 열반에 이르는 여덟 가지 올바른 길로 ___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를 도덕적 생활인 _,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고 고요한 상태에 머무는 _, 사물의 본성을 통찰하는 지혜인 _의 삼학으로 분류한다.
팔정도, 계, 정, 혜
44
삼학에서 계부분에 해당하는 팔정도를 순서대로 쓰시오 1. __ : 올바른 말 2. __ : 올바른 행위 3. __ : 올바른 생업
정어, 정업, 정명
45
삼학에서 정부분에 해당하는 팔정도를 순서대로 쓰시오 1. __ : 올바른 노력 2. __ : 올바른 집중 3. __ : 올바른 명상
정정진, 정념, 정정
46
삼학에서 혜부분에 해당하는 팔정도를 순서대로 쓰시오 1. __ : 올바른 수행 2. __ : 올바른 생각
정견, 정사
47
지눌의 __ __론은 선종의 깨달음을 추구하면서도 "말로 말미암아 도를 깨닫고, 가르침에 의지하여 부처의 근본 의도를 밝힌다."
선교 일치
48
순자는 공자나 맹자와 달리 하늘을 도덕의 근원이 아닌 자연 현상으로 파악하고, 하늘과 사람의 일을 구분하는 ____을 강조한다.
천인지분
49
순자는 인간의 본성을 그대로 두면 갈등과 투쟁으로 사회가 혼란에 빠질 수 있기에 본성을 변화시켜 인위를 일으켜야 한다는 ____를 주장한다
화성기위
50
주희는 이는 형체와 운동성이 있는 기와 개념적으로 구분되는 ___, 현실에서는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는 ___를 주장한다.
불상잡, 불상리
51
주희는 사람의 근본 본성은 이와 일치하는 ___를 강조한다.
성즉리
52
주희는 도덕적으로 살려면 마음속의 천리를 잘 보전하고 인욕을 없애도록 ______ 해야한다고 주장한다.
존천리거인욕
53
주희는 선한 본성을 보존하고 함양하는 한편 나음을 잘 성찰하는 ____을 하고 인욕이 싹트지 않게 해야한다고 한다.
존양성찰
54
주희는 몸가짐을 바르게 하고 마음을 경건하게 하는 경의 공부 __와 인간의 본성과 사물의 원리를 올바르게 인식하기 위한 이치의 탐구 __가 필요한다고 한다.
거경, 궁리
55
주희는 인간을 포함한 사물의 본성과 인간 사회의 마땅한 이치를 깊고 넓게 연구하는 ____해야한다고 본다.
격물치지
56
주희는 먼저 올바른 지식을 갖추어야 참된 실천을 할 수 있다는 ____을 해야한다고 여긴다.
선지후행
57
왕수인은 욕심에 가라지 않은 본래의 마음이 바로 이라고 하는 ___을 강조한다.
심즉리
58
왕수인은 인간 본심에 있는 도덕적 마음을 떠나 도덕적 이치가 외부에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 ____를 강조한다.
심외무리
59
양명학에서는 자기 마음의 양지를 실천하는 ___를 강조하고 실제에서 벗어난 공부와 수양이 아니라 현실 생활 속에서 구체적인 일을 하며 마음의 사욕을 제거하고 양지를 실천하는 공부인 ____을 중시한다.
치양리, 사상마련
60
양명학은 앎과 행동은 둘이 아니고 하나라고 ____을 강조한다.
지행합일
61
이황은 몸가짐을 바르게 하고 엄숙한 태도를 유지해야한다는 ____과 마음을 한곳에 집중하여 잡념이 들지 않게 해야하는 ____과 항상 또렷한 정신 상태를 유지해야한다는 ___을 주장한다.
정제엄숙, 주일무적, 상성성
62
대승 불교는 부파 불교 일부에서 주장한 __개념을 비판한다. 이것이란 각각의 현상을 다른 현상과 구별하게 하는 불변의 고유한 본질이다.
자성
63
용수은 초기 불교의 연기를 재해석하여 연기는 개별 현상에 고유한 본질이 없다는 공의 원리 즉 __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공성
64
용수는 자신의 관점이 현상에 불변하는 본질이 있다고 보아 유에 집착하는 관점과 모든 현상이 우연적으로 존재한다고 보아 무에 집착하는 관점의 양극단을 벗어났기 때문에 __라고 부르고 이를 지향한다는 의미의 사상을 __ __이라고 한다.
중도, 중관 사상
65
이이는 기는 형체와 운동성이 있다는 ____과 이는 형체도 운동성도 없다는 ____을 강조한다.
유형유위, 무형무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