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리눅스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기작업 로그 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cron
2
TCP/IP 프로토콜을 가지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포트번호는?
21
3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포트번호는?
25
4
IP 자체의 보안 취약성을 악용한 것으로 자신의 IP주소를 속여서 접속하는 공격
ip 스푸핑
5
한 개의 ICMP 패킷으로 많은 부하를 일으켜 정상적인 서비스를 방해하는 공격 기법
ping of death
6
인터넷에서 TCP 포트를 사용하여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 이용되는 프로토콜은?
smtp
7
텍스트 기반의 통신규약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 하이퍼텍스트를 빠르게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http
8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에서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포트번호는?
23
9
SSH(Secure Shell) 의 포트번호는?
22
10
서명문과 해시값에서 h(M')= H 되는 M' 찾는 것 계산상 불가인 해시함수 기본성질은?
강일방향성
11
리눅스 시스템에서 로그인실패 정보 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btmp
12
TCP/IP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라우터나 허브 등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며,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보내는 데 사용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의 포트번호는?
161
13
하나의 IP 패킷이 분할된 IP 단편의 offset값을 서로 중첩되도록 조작하여 이를 재조합하는 공격 대상 시스템에 에러와 부하 유발
teardrop attack
14
다량의 TCP SYN 패킷을 전송하여 공격대상 시스템을 마비시키는 공격
syn flooding
15
다음에 수행할 주기억장치 주소 기억하는 레지스터는?
pc
16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의 포트번호는?
80
17
주기억 장치 -> 인출한 명령코드 기억하는 레지스터는?
ir
18
해시값 H에서 h(M) = H되는 서명문 M 찾는 것 계산상 불가인 해시함수 기본성질은?
약일방향성
19
시스템이 시작할때 사용하는 하드웨어 프로파일 정보 가 들어있는 레지스트 루트키는?
HKEY_CURRENT_CONFIG
20
리눅스 시스템 로그에서 로그인 로그아웃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wtmp
21
주기억 장치 입/출력 자료 기억하는 레지스터는?
mbr
22
리눅스 시스템에서 부팅 출력메시지 로그 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dmesg
23
주기억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주기억장치 주소 기억하는 레지스터는?
mar
24
Telnet보다 강력한 보안을 제공하는 원격접속 프로토콜은? → 인증, 암호화, 압축, 무결성을 제공
ssh
25
하드웨어, 드라이버, 설정사항 정보 가 저장된 레지스트 루트키는?
HKEY_LOCAL_MACHINE
26
telnet의 포트번호는?
23
27
원격 서버로부터 TCP/IP 연결을 통해 이메일을 가져오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포트번호는?
143
28
IMAP(Internet Messaging Access Protocol)의 포트번호는?
143
29
TCP/IP 프로토콜을 가지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은?
ftp
30
다량의 UDP 패킷을 전송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고갈시키는 공격
udp flooding
31
POP3(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의 포트번호는?
110
32
리눅스 시스템에서 현재 로그인 사용자 정보 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utmp
33
IP스푸핑을 이용한 SYN 공격
land attack
34
원격 서버로부터 TCP/IP 연결을 통해 이메일을 가져오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imap
35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하고 있는 사용자와 관련된 시스템 정보 가 저장된 레지스트 루트키는?
HKEY_CURRENT_USER
36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로그인 중 입력정보 로그 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pacct
37
출발지를 공격 대상 IP로 위조한 ICMP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여 공격 대상이 다수의 ICMP 응답 받게 만들어 부하 유발
smurf attack
38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의 포트번호는?
161
39
FTP(File Transfer Protocol)의 포트번호는?
21
40
리눅스 시스템에서 시스템 메시지 로그 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message
41
TCP/IP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로, 라우터나 허브 등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며,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보내는 데 사용하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은?
snmp
42
텍스트 기반의 통신규약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 하이퍼텍스트를 빠르게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의 포트번호는?
80
43
Telnet보다 강력한 보안을 제공하는 원격접속 프로토콜의 포트번호는? → 인증, 암호화, 압축, 무결성을 제공
22
44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에서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telnet
45
h(M) = h(M') 되는 서명문 쌍 찾는것이 계산상 불가인 해시함수 기본 성질은?
충돌회피성
46
원격 서버로부터 TCP/IP 연결을 통해 이메일을 가져오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pop3
47
원격 서버로부터 TCP/IP 연결을 통해 이메일을 가져오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포트번호는?
110
48
시스템에 등록된 파일확장자, 애플리케이션 매핑정보, COM오브젝트 등록정보 가 저장된 레지스트 루트키는?
HKEY_CLASS_ROOT
49
리눅스 시스템에서 su명령 로그 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sulog
50
WEB 서버가 GET, POST 요청 받을시 파라미터를 관리하기 위한 Hash Table 사용 파라미터가 많은 POST 요청시 Hash Table 충돌 발생 → CPU 부하 발생
hash ddos
51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실행명령, 인자 로그 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history
52
인터넷에서 TCP 포트를 사용하여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 이용되는 프로토콜의 포트번호는?
25
53
리눅스 시스템에서 원격접속 로그 를 확인하는 명령어는?
secure
54
시스템에 있는 모든 계정과 그룹에 관한 정보 가 저장된 레지스트 루트키는?
HKEY_US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