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증산에서 수분의 이동과 확산속도는 기공의 기도와 같은 확산저항 등에 의해 결정된다.
0
2
콩은 밤 기온이 20°C 정도일 때 꼬투리가 맺히는 비율이 높다.
0
3
콩의 밤의 기온이 15°C일 때 결협률이 최대가 된다.
x
4
맥류는 밤 기온이 높고 변온이 작을 때 개화가 촉진된다.
0
5
원원종은 각 도 농업기술원에서, 원종은 각 도 농산물 원종장에서 생산하였다.
0
6
중력수는 중력에 의하여 비모관공극으로 흘러내는 수분이다.
0
7
돌연변이처리가 된 종자의 세대는?
M1
8
붕소는 촉매 또는 반응조절물질로 작용하며, 석회결핍의 영향을 덜 받게 한다.
0
9
칼슘은 체내에서 이동이 쉽다.
x
10
꽃가루에 돌연변이처리를 하면 키메라 현상을 회피할 수 있다.
0
11
벼눈 분얼최성기까지는 밤의 저온이 신장과 분얼을 증가시킨다.
x
12
기본식물은 일반농가에서 생산한 종자이다.
x
13
계속되는 야간의 고온은 콩의 낙뇌낙화를 조장한다.
0
14
벼의 온도 감응형 유전자웅성불임성은 30°C 이상의 고온에서 임성이 95%이상 회복한다
x
15
감자는 밤 기온이 25°C 정도일 때 덩이줄기 발달이 잘된다.
x
16
기공은 관다발처럼 단자엽식물에서는 산재하고 있으나 쌍자엽식물에서는 평행으로 나열되어 있다.
x
17
우리나라에서 자포니카벼에 알맞은 등숙기간(출수 후 40일 동안)의 일평균 기온은 21~23°C이다.
0
18
포장용수량은 중력수를 배제하고 남은 상태의 수분으로 pF는 1.0~2.0이다.
x
19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 이산화탄소 포화점까지는 광합성속도가 증가하나 광포화점은 낮아진다.
x
20
자연계에서 진화된 정배수체는 대부분 동질배수체이다.
x
21
고립상태에서 일반작물의 광포화점은 생육적온까지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진다.
0
22
흡수된 질소는 세포막의 구성성분으로도 이용된다.
0
23
외생균근의 균사는 토양양분 흡수를 용이하게 하나 병원균의 침입을 조장한다.
x
24
동질배수체는 사료작물과 화훼류에 많이 이용된다.
0
25
옥수수 배추 수박은 00성 작물이다.
타식
26
호흡작용과 엽록소 형성에 관여하며, 체내 이동성이 낮다.
망간
27
벼잎에 투사된 광은 10% 정도가 잎을 투과한다.
0
28
단립구조에서는 대공극이 많고 소공극이 적으며, 토양통기와 투수성이 좋다.
0
29
토양미생물인 균근은 인산흡수를 도와주는 대표적인 공생미생물이다.
0
30
내건성이 강한 작물은 잎조직이 치밀하며, 엽맥과 울타리 조직이 발달한다.
0
31
우량한 변이체를 선발하고자 할 때 형질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면 목표형질을 선발하기 쉽다.
0
32
붕소결핍은 개간지에서 잘 나타나는데 뿌리혹형성과 질소고정이 잘 안된다.
0
33
유기물이 분해될 때 생기는 유기산은 토양염기의 용탈을 감소시킨다.
x
34
M1 식물의 이삭(00작물), 가지(00작물), 또는 과방(000)단위로 채종하여 M2 계통ㅇ으로 재배하고 돌연변이체를 선발한다.
볏과 콩과 토마토
35
관개방법 중 개거법은 지하수위가 낮지 않은 사질토 지대에서 이용된다.
0
36
다른 s유전자형을 가진 자가불화합성 자식계통을 함께 재배하면 자방친과 화분친 모두에서 1대잡종 종자를 생산할 수 있다.
0
37
내건성 작물의 형태적 특성 - 뿌리가 깊고 지상부보다 근군 발달이 좋다.
x
38
압력과 온도가 낮아지면 수분퍼텐셜이 증가한다.
x
39
종속간 교배 방법은?
기내 수분 방법, 배배양 또는 배주배양(자방배양), 유전자 조작 및 세포융합 방법
40
극히 강한 것 : 땅콩 수박 토란 강한 것 : 목화
0
41
화진벼는 반수체육종에 의한 최초의 뱌 품종이다.
x
42
식물 체세포 잡종과 세포질 잡종을 구분하눈 핵심적인 차이는? ~잡종의 유무
핵
43
사탕수수가 밀보다 이산화탄소보상점이 높다.
x
44
산성토양 적응도 : 가지 기장 고추
1: 기장 4 : 가지, 고추
45
이슬은 기공을 막아서 증산과 광합성을 방해하나, 병원균의 침입을 억제한다.
x
46
철은 엽록소와 호흡효소의 성분이다.
0
47
노후화답의 개량을 위해서는 심경을 피해야 한다.
x
48
작물의 내습성은 대체로 옥수수> 고구마> 보리> 감자> 토마토 순이다.
0
49
지온상승에 따른 유기태질소의 무기화함량은 습토보다 건토에서 월등히 많다.
x
50
우리나라에서 벼. 보리. 콩 등 자식성 작물의 종자갱신 연한은 3년 1기이다.
x
51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수중의 오탁 유기물을 무기성 산화물과 가스채로 안정화하는 과정에 필요한 총산소량을 ppm 단위로 표시한 것이다.
x
52
광합성의 결과 틸라코이드에서 산소가 발생한다.
0
53
내습성이 가장 약한 것
파 양파 당근 자운영 / 꽃양배추 멜론 피망 파양당자 꽃양멜피
54
관개방법 중 수반법은 포장을 수평으로 구획하고 관개하는 방법이다.
0
55
타식성작물은 이형접합체가 많으므로 돌연변이체를 선발하기 쉬워 많이 이용한다.
x
56
옥수수는 당근에 비해 내습성이 강하다.
0
57
광합성은 적색광이 녹색광보다 효율이 높다.
0
58
전광의 70%를 차광했을 경우 광포화점이 낮은 작물보다 높은 작물의 피해가 적다.
x
59
Tritium aestivum L.
밀
60
수광능률은 군락의 수광태세와 총엽면적에 영향을 받는다.
0
61
밭토양 / 논토양 철의 형태
밭 : fe³+ 논 : fe²+
62
칼슘은 알루미늄의 과잉 흡수를 조장한다.
x
63
아조변이는 생장점이나 햇가지의 체세포에서 돌연변이가 나타난다.
0
64
엽면적지수가 1에서 3으로 커지면 광포화점이 높아진다.
0
65
분지에서 재배된 벼가 해안지에서 재배된 버보다 등숙이 느리다.
x
66
질소의 흡수.이용을 촉진하며, 체내 이동성이 높다.
칼슘
67
흡수계수는 상대습도 98%(25°c)의 공기 중에서 건조토양이 흡수하는 수분 상태로 pF는 4.5이다.
0
68
유전자원을 간척지 포장에서 생육평가 후 선발된 내염성 개체는 변이특성이 후대로 유전된다.
0
69
웅성불임친의 임성회복을 위해 3~10%의 이산화탄소를 처리한다.
x
70
노후화답은 철분이나 망간 등이 심토의 산화층에 집적된다.
0
71
식물체 내에서 이동이 어렵고, 결핍되면 어린 잎의 엽맥 사이가 황백화되는 무기성분은?
fe
72
이형접합성이 높은 영양번식작물은 이형접합체의 어느 한쪽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면 즉시 동형접합성 세포를 형성시킨다.
0
73
웅성불임성을 이용하여 종자를 생산하는 작물은 고추, 상추, 당근 등이 있다.
0
74
용성인비는 구용성 인산을 함유하고 마그네슘 함량도 높아 산성토양에서도 효과가 크다.
0
75
동일한 개체를 분주하여 재배하는 포장에서 초장의 변이를 보이는 개체의 변리 특성은 후대로 유전된다.
x
76
고온일 때 뿌리의 당류농도가 높아져 잎으로부터의 전류가 억제된다.
x
77
생육 최적온도가 높은 작물부터 낮은 순으로 완두 오이 귀리 옥수수 담배 보리 멜론 사탕무 벼
멜론> 오이> 옥수수, 벼> 완두> 담배> 귀리, 사탕무> 보리
78
작물의 광포화점은 군락의 수광태세가 좋을수록 증가한다.
x
79
광이 보상점 이하일 겅우라도 생육 적온까지는 온도가 높아지면 진정광합성은 증가한다.
0
80
내건성이 강한 작물은 탈수될 때 원형질의 응집이 덜하다.
0
81
광합성 효소의 활성화에 관여하며, 체내 이동성이 높다.
마그네슘
82
북태평양기단은 봄과 겨울에 발생하며 한랭다습하다.
x
83
오호츠크해기단은 주로 장마기에 발생하며 한량다습하다.
0
84
엽록소 형성에는 청색광역과 적색광역이 효과적이다.
0
85
광합성량은 개화기보다 황숙기와 같은 등숙 후기에서 더 높다.
x
86
버는 조기재배하고 논물을 수시로 말려주는 것이 좋다.
x
87
작물의 한해(건조해) 대책 - 수리불안전답은 건답딕파나 만식적응재배를 고려한다.
0
88
세포질.유전자웅성불임성의 임성회복은 화분친의 임성회복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
0
89
토마토의 배꼽썩음병과 상추의 팁번은 인산의 부족 때문이다.
x
90
밭에서는 휴립휴파를 하고, 습답에서는 휴립재배를 한다.
0
91
이른 봄에 방목이나 채초를 한 후 추비를 늦추면 스프링플러시가 왼화된다.
0
92
이질재수체는 임성이 낮아지고 생육이 지연되지만 영양 및 생식 기관의 생육이 증진된다.
x
93
잉여수분은 최대용수량 이상의 과습한 상태의 토양수분을 말한다.
x
94
남북이랑 방향은 동서이랑 방향보다 수광량이 많아 작물생육에 유리하다.
0
95
벼 감수분열기의 광 부족은 단위면적당 이삭수를 감소시킨다.
x
96
작물의 유기물축적이 최대가 되는 온도는 호흡이 최고가 되는 온도보다 낮다.
0
97
식물 신품종 보호협약은?
UPOV협약
98
CAM작물은 밤에 기공을 열며 3탄소화합물을 고정한다.
x
99
동질뱌수체는 감수분열 시 다가염색체를 형성하고 생육이 빠르다.
x
100
탈질균은 호기성인 유기영양세균이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