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題一覧
1
실험실 안전규칙
눈보호 : 보안경을 쓰고 눈을 다치면 10분이상 씻는다, 부상 : 가열유리는 스탠드에 올리고 집게를 사용, 망가진 실험기구 사용x, 부상 시 즉시 알려 치료받기, 유독한 화학약품 : 후드에서 실험, 냄새는 손으로 바람을 일으켜 맡기, 손을 항상씻기, 음식물x, 신발 : 슬리퍼x, 앞이 막아진 딱딱한 신발, 예방 : 모든지시 따르기, 이탈x, 시약명 확인, 흡연x
2
고체,액체,기체의 부피 측정방법
고체 : 모양이 규칙적이면 자로 측정한다 모양이 불규칙적이면 눈금실린더에 액체를 채우고 측정하려는 고체를 넣어 늘어난 부피를 측정한다, 액체 : 눈금실린더, 피펫, 뷰렛, 용량플라스크 사용, 기체 : 수조에 액체를 채우고 매스실린더를 거꾸로 세운 뒤 기체를 주입해 측정한다
3
온도의 정의란?
물체의 차고 뜨거운 정도를 수로 나타낸 것, 각각의 입자들이 갖는 평균 운동에너지의 척도, 물리적으로 열평형을 나타내는 척도
4
지시약의 종류와 범위
페놀프탈레인 : pH 8.3, 메틸오렌지 : pH 3.1~4.3
5
산,염기 용액제조 시 사용 기구
용량플라스크, 전자저울, 피펫, 증류수, 비커, 매스실린더, 파라필름, 약수저 , 유산지
6
반응 속도란?
얼마나 빨리 반응물이 소모되고 생성물이 생성되는지, 단위 시간당 농도의 변화량 (M / 시간)
7
크로마토그래피란?
혼합물의 성분물질이 용매에 녹아 용매를 따라 이동하는데 이때 속도의 차이를 이용해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8
분배계수란
K = 고정상 내의 용질의 몰농도 / 이동상 내의 용질의 몰농도 (Cs / Cm)
9
벤조산의 분자량, 용해도, 작용기는?
122.12g/mol, 0.43g / 100g H₂O, 카르복실기(COOH)
10
아세트아닐라이드의 분자량, 용해도, 작용기는?
135.17g/mol, 0.4g / 100g H₂O, 아미드기(CONH)
11
반응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물질의 종류, 농도, 온도, 촉매
12
중화반응이란?
산과 염기가 반응해 산,염기로써의 특성을 잃어버리고 염과 물을 생성하는 반응
13
종말점을 확인하는 방법
지시약, 리트머스시험지, pH미터기, pH시험지
14
TLC의 풀네임, 한글이름 , 설명
Thin layer chromatography,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 모세관 현상으로 고정상을 타고 올라가는데 이때의 속도차이에 따라 분리되는 크로마토그래피
15
증류,분별증류,거름,추출,재결정,분별결정의 분리방법
끓는점차이 : 증류, 분별증류, 용해도차이 : 재결정, 거름, 추출, 분별결정
16
화합물이란?
둘 이상의 원자들이 일정한 비율로 결합한 물질
17
홑원소란?
한 종류의 원자이지만 둘 이상의 원자가 화학결합한것
18
동소체란?
원자의 종류는 같은데 배열방법,결합방법에 따라 성질이 전혀 다른 홑원소 물질
19
비중이란?
어떤 물질의 질량과 이것과 같은 부피를 가진 표준물질의 질량과 비
20
표준용액이란?
농도를 알고있는 용액
21
적정이란?
표준용액으로 농도를 모르는 용액을 반응시켜 농도를 알아가는 과정
22
당량점이란?
산용액에 중화될만큼 염기용액을 가한상태
23
용해도란?
특정온도에서 용매 100g에 녹을 수 있는 용질의 양(g)
24
포화용액이란?
용매에 용질이 더 이상 녹을수 없는 용액
25
부피 측정도구
뷰렛,피펫,용량플라스크,매스실린더,자
26
질량 측정도구
양팔저울,윗접시저울,전자저울
27
Rf란? 구하는방법
머무름인자, 성분물질의 이동거리 / 용매의 이동거리
28
벤조산와 아세트아닐라이드의 분리원리
벤조산과 아세트아닐라이드는 유기화합물로써 작용기를 가지고 있어 수용액의 상태에 따라 용해도가 달라진다 . 여기서 벤조산은 산성에서는 잘녹지 않고 염기용액에서는 잘녹는다 즉 벤조산+아세트아닐라이드 혼합용액에 NaOH용액을 가해 아세트아닐라이드를 분리시키고 남은 여액에 HCl을 가해 벤조산을 분리한다
29
TLC실험 조작과정
TLC판을 용매에 담구면 모세관 현상으로 용매가 판을 따라 위로 이동한다 이때 각 성분물질들이 각 속도에 따라 올라가는데 이때의 속도차이로 성분을 분리한다
30
유리의 특징
유리는 결정 구조를 가지지 않으며 유리전이온도(Tg)를 넘으면 액체상이된다
31
종말점이란?
중화반응이 완전히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는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