暗記メーカー
ログイン
국어 100인의 지혜 [고전 시가] - 2
  • ユーザ名非公開

  • 問題数 30 • 2/15/2025

    記憶度

    完璧

    4

    覚えた

    12

    うろ覚え

    0

    苦手

    0

    未解答

    0

    アカウント登録して、解答結果を保存しよう

    問題一覧

  • 1

    우리 고유의 정형시

    시조

  • 2

    시조 - 형식상 특징 3개

    1. 초장, 중장, 종장 (3행) 각 장이 2구씩 6구, 45자 내외 2. 3.4조, 4.4조 음수율, 4음보 운율 3. 종장 첫 음보는 3음절

  • 3

    시조 - 시조의 종류

    평시조 - 3장 6구 45자 내외 엇시조 - 평시조에서 종장제외 한 구 길어진 사설시조 - 초장이나 중장이 두 구 이상 (조선 후기)

  • 4

    시조 - 평시조가 두개 이상 모여 한 작품을 이루면?

    연시조

  • 5

    시조 - 변화

    1. 고려시대 - (충,의) 절의가, (늙음) 탄로가 2. 조선 초기 - (사대부) 자연 예찬, (기생) 남녀간의 사랑 3. 조선 후기 - 임병양란 이후 사대부- 나라를 걱정 평민들이 사설시조 - 불합리합 풍자, 고달픔 해학적

  • 6

    고려말에 발생하여 조선 초기의 자리잡은 4음보의 운율만 지키면 행수가 상관없는 국문시가는? (시가와 산문의 중간)

    가사

  • 7

    가사 - 형식상 특징 3

    1. 3.4조, 4,4조의 음소수율, 4음보의 연속체 2. 서사-본사-결사의 짜임 낙구 - 종장 역할 3. 마지막행이 (3.5.4.3 or 3.5.4.4)정격가사, 분격(변형)가사

  • 8

    가사 - 내용 4

    1. 은일가사 2. 유배가사 2. 기행가사 4.내방(규방)가사

  • 9

    백성들사이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돼 구전된 노래

    민요요

  • 10

    민요 - 형식상 특징

    1. 3음보 or 4음보, 3.4조, 4.4조

  • 11

    민요 - 분류3

    1. 선후창 - 한 사람이 먼저 노래 나머지는 후렴구 2. 교환창 - 두 사람 이상이 변화하는 노랫말 주고받음 3. 제창 - 두 사람 ㅇ;상이 같은 노랫말 함께

  • 12

    충의와 효도를 강조한 가치

    유교적 가치

  • 13

    유교적가치 - 3

    1. 자기수양 (수기치인) 2. 충효 3. 애민정신

  • 14

    충과 관련된 개념 - 임금을 향한 변함없는 사랑

    연군지정

  • 15

    충과 관련된 개념 - 임금과 신하의 관계를 남녀간의 사랑으로 표현한 작품

    충신연주지사, 충신연군지사

  • 16

    충과 관련된 개념 - 고려가 망한 뒤, 고여에 충신했던 신라들이 과거를 생각하며 지은 작품

    회고가

  • 17

    충과 관련된 개념 - 이임금이나 나라에 대한 충성과 의리를 노래한 작품

    절의가

  • 18

    충과 관련된 개념 -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로 `충`의 관습적 상징으로 사용

    사군자

  • 19

    자연을 자기수양의 본보기, 자연을 혼란한 세상과 대조되는 공간으로 여김

    자연과 함께하는 삶

  • 20

    자연과 함께하는 삶 - 표현, 의미, 갈등

    강호가도, 강호안정 자연 예찬, 소박한 삶 긍정 사와 대부 사이 갈등

  • 21

    강호가도, 강호안정 -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즐겨 지킴

    안빈낙도

  • 22

    강호가도, 강호안정 - 자기 분수에 만족하여 부나 명예를 좇지않음

    안분지족

  • 23

    강호가도, 강호안정 - 속세를 떠나 아무런 속박 없이 조용하고 편안하게 삶

    유유자적

  • 24

    강호가도, 강호안정 - 자연과 어울려 하나가 됨

    몰아일체

  • 25

    부정적인 현싷과 백성들의 삶

    1. 탐관오리에 대한 비판 2. 여성들의 고통

  • 26

    사랑과 이별

    1. 기녀들의 시조에 나타난 이별의 슬픔과 그리움 2. 평민들의 시조에 나타난 기다리는 마음

  • 27

    중세국어에서 하지 않았던 3가지

    구개음화, 원순모음화, 두음법칙

  • 28

    구개음화란

    ㄷ,ㅌ + ㅣ,반모음 -> ㅈ,ㅊ + ㅣ,반모음

  • 29

    원순모음화란?

    ㅁ,ㅂ,ㅍ,ㅃ + ㅡ -> ㅁ,ㅂ,ㅍ,ㅃ + ㅜ

  • 30

    두음법칙

    (단어의 첫음절에서) ㄴ + ㅣ,반모음 -> ㅇ + ㅣ,반모음